$\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 독거노인과 저소득 독거노인간의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요인 차이: 서울시 일개 지역을 중심으로
Different Influence of Risk Factors on Self-rated Health between The Economically Poor and Non-poor Elderly Populations Living Alone: Based on One Sub-area in Seoul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0 no.2, 2013년, pp.41 - 53  

고영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조영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As the size of elderly population living alone grows, socioeconomic diversity has also increased. This study examined if social risk factors of poor self-rated health were distinguishable between the low income elderly and their non-low income counterparts both living alone. Methods: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도시 독거노인의 사회경제적수준에 따라 일반 독거노인과 저소득 독거노인으로 분류하여 이들 집단 간의 이질성을 검증하고, 주관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독거노인의 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출발점으로 한 이 연구는 독거노인의 건강 연구 및 차별화된 건강증진 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일반 독거노인과 저소득 독거노인간의 비교를 통해 독거노인의 다양성을 관찰하고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요인의 차이점에 주목하였다. 서울시 일개 구 4개동 지역의 독거노인만을 대상으로 조사되어 연구의 결과를 전체 독거노인집단에 일반화하는데 제한이 있으며, 단면조사 자료로 주관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 들과 건강간의 원인적 인과관계를 밝히고 있지 못한 한계 점을 지닌다.
  • 이 연구는 도시 독거노인의 사회경제적수준에 따라 일반 독거노인과 저소득 독거노인으로 분류하여 이들 집단 간의 이질성을 검증하고, 주관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독거노인의 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출발점으로 한 이 연구는 독거노인의 건강 연구 및 차별화된 건강증진 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도시지역 일반 독거노인과 저소득 독거노인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의 주관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우선, 두 집단 간 특성의 차이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이 연구에서는 일상생활 활동을 수행하는데 있어 어느 한 가지 영역이라도 ‘부분적 도움’ 및 ‘완전 도움’이 필요한 경우는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제한이 있는 것으로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은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가? 건강은 노화로 인해 생물학적 기능이 감소되는 노년기에 그 중요성이 한층 강조되며, 홀로 거주하는 노인들에서 독립적인 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주요 자원 중에 하나로 인식된다. 노년기의 건강은 신체적 심리적 경제적 요인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복합적인 의미를 반영하는 주관적 건강 (Self-rated health)을 통해서 측정할 수 있다(Farmer & Ferraro, 1997; Lee, 1995).
독거노인의 특징은 어떠한가? 건강, 경제)의 자원, 사회인구학적 특성 등의 거주형태에 미치는 요인들로 설명될 수 있다(Choi, 1999; Da Vanzo & Chan, 1994; Goldscheider & Jones, 1989; Kim & Rhee, 1999; Logan & Fuqin, 1999; Yoo, 1996). 독거노인은 고령의 여성 및 농어촌지역, 저학력, 저소득층에 집중 되어 있으며, 신체 정신 사회적 측면의 건강상태가 좋지 않아 건강 위험집단으로 분류되고 있다(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IHSA], 2011; Kharicha et al.,2007).
일반 독거노인과 저소득 독거노인의 특성 및 주관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비교 분석결과는 어떠한가? 일반 독거노인과 저소득 독거노인의 특성 및 주관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비교 분석을 통해 두 집단 간의 다양성 및 건강영향요인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일반 독거노인에서는 사회적지지와 성별 영향이, 저소득 독거노인 에서는 자녀와의 관계, 복지서비스 및 지역 안전도가 주요 하게 관찰되었다. 한편, 건강 관련요인은 두 집단에서 각기 다른 양상으로 주관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독거노인 집단 내 이질적인 특성이 존재하며, 이러한 특성들이 독거노인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도 반영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독거노인의 건강문제를 이해하고 접근하는데 있어 이들의 다양성이 고려되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차별화된 건강증진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Antonucci, T. C., Sherman, A. M. & Akiyama, H. (1996). Social networks, support, and integration. In J. E. Birren (Ed.), Encyclopedia of Gerontology (pp. 505-515). San Diego, CA:Academic Press. 

  2. Arber, S. (2004). Gender, marital status, and ageing: Linking material, health, and social resources. Journal of Aging Studies, 18, 91-108. 

  3. Atchley, R. L. (Ed.). (2000). Social forces and aging (9th ed). Belmont, CA. Wadsworth. 

  4. Baek, H. Y. (2006).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poverty among the poor elderly people who live alon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31, 5-39. 

  5. Chae, H. T. (2004). The current conditions and improvement devices of the formal networks for elderly living alone. Journal of Social Welfare Development, 10(2), 185-206. 

  6. Cheng, C. Y. (2006). Living alone: The choice and health of older women.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32(9), 16-23. 

  7. Cho, Y. T. & Jung, S. W. (2005).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health under Korean context.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Public Health, 38(3), 259-266. 

  8. Choi, G. (2002).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visiting nursing & home care cooperating program.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2(2), 147-162. 

  9. Choi, N. G. (1999). Living arrangements and household compositions of elderly couples and singles.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ork, 31(1-2), 21-25. 

  10. Choi, Y. A. (2003). A survey on the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f the aged in an area.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3(3), 129-142. 

  11. Chung, K. H. (2012). An outlook of baby boomers' old age life.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187, 40-49. 

  12. Da Vanzo J., & Chan A. (1994). Living arrangements of older Malaysians: Who coresides with their adult children?. Demography, 31(1), 95-113. 

  13. Farmer, M. M., & Ferraro, K. F. (1997). Distress and perceived health: Mechanisms of health declin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9, 298-311. 

  14. Goldscheider, C., & Jones, M. B. (1989). Living arrangements among the older population: Constraints, preferences, and power. In F. K. Goldscheider, & C. Goldscheider (Eds.), Ethnicity and new family economy: Living arrangements and intergenerational financial flows. Boulder, CO: Westview. 

  15. Heo, S. Y. (2010). Study on the lived experience of elderly men living alone in single room occupancy(Chokbang).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1), 241-260. 

  16. Jang, H. S., & Kim, Y. J. (2010). A study on physical health, economical state and social relations of women elderly living alone in an island.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17(2), 233-259. 

  17. Jang, I. S. (2003). A study on self-rated health of elderly women in a rural community.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7(1), 35-46. 

  18. Jang, I. S. (2006). The leisure type, health status,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Journal of Korea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0(2), 130-140. 

  19. Jeon, G. S. (2008). Gender differences in social factors of health in later lif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8(3), 459-475. 

  20. Jun, H. J. (2004). Providing informal support to others and mental health among older adults in Korea.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6, 337-361. 

  21. Jung, Y. M., & Kim, J. H. (2004). Comparison of cognitive levels, nutritional status, depression in the elderly according of living situati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3), 495-503. 

  22. Kharicha, K., Iliffe, S., Harari, D., Swift, C., Gillmann, G., & Stuck, A. E. (2007). Health risk appraisal in older people 1: Are older people living alone an 'at-risk' group? British Journal of General Practice, 57, 271-276. 

  23. Kim, C., Ko, M. H., Kim, M. J., Kim, J., Kim, H. J., Moon, J. H., . . . Choi, J. S. (2008). The life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5), 739-747. 

  24. Kim, C. S. (2005). Generational household composition of the oldest old in Korea. Family and Culture, 17(3), 3-18. 

  25. Kim, C. S., & Rhee, K. O. (1999). Living arrangements in old age: Views of elderly and middle aged adults in Korea. Hallym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1(2), 94-111. 

  26. Kim, H, R. (2005). The relationships of socioeconomic position and health behaviors with morbidity in Seoul, Korea.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5(2), 1-35. 

  27. Kim, K. T., & Park, B. G. (2000).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network of the elderly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0(1), 153-168. 

  28. Kim, Y. J. (2007). Differences in health, economic status, and social relations of female elderly living alone: A comparative analysis of residental areas including urban, rural, fishing and island communities in Chungcheong Province.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18(3), 417-431. 

  29.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1). Issue & Focus. 72, 1-8. 

  30. Ko, Y., & Lee, I. S. (2009). Factors affecting the self-rated health of vulnerabl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 31-40. 

  31. Kubzansky, L. D., Berkman, L. F., & Seeman, T. E. (2000). Social conditions and distress in elderly person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55(4), 238-246. 

  32. Lee, J. M., & Lee, S. Y. (2006). Factors affecting the elderly's preference of utilization of community care service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2, 203-222. 

  33. Lee, Y. H. (1995). An ethnographic study of health concept and health behavior in the urban, poor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7(2), 141-165. 

  34. Lee, Y. J. (2012). Determinants of welfare service utilization among the single and the married couples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2(4), 1119-1135. 

  35. Logan, J. R., & Fuqin, B. (1999). Family values and coresidence with married children in urban China. Social Forces, 77(4), 1253-1282. 

  36. Oh, Y. H., Bae, H, O., & Kim, Y, S. (2006).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e health status and self-perceived health of Korean older person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6(3), 461-476. 

  37. Park, K. S. (2000). Informal social ties of elderly Korean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34, 621-647. 

  38. Park, K. S. (2003). Factors influencing utilization of the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5, 283-307. 

  39. Park, J. S., & Lee, H. R. (2003). A comparative study on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between high and low incom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4(1), 157-166. 

  40. Park, M. J. (2010). The study of daily life of aged women living alone who receive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program.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0(1), 62-91. 

  41. Rho, B., & Mo, S. H. (2007). The effect of levels and dimensions of social support on geriatric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7(1), 53-69. 

  42. Ron, P. (2009). Seeking help from health and welfare services among elderly single women. Journal of Women & Aging, 21, 279-292. 

  43. Ross, C. E., & Bird, C. E. (1994). Sex stratification and health lifestyle: Consequences of men's and women's perceived healt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5, 161-178. 

  44. Shin, K. R., Kim, J. S., & Kim, J. Y. (2005). A comparison on self-rated health,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between low income and non-low income elderly wome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7(5), 732-742. 

  45. Song, Y. J. (2007). Characteristics of the one-person households of the elderly during widowhood: Regional distribution,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determinants of living arrangement.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18(1), 147-160. 

  46. Suh, K. H., & Kim, Y. S. (2003). Investigation of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among the elderly people livng alone.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1, 7-26. 

  47. Sung, J. M., & Lee, Y. J. (2001). The economic status and inequality of the single elderly household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9(2), 111-240. 

  48. Sung, M. H., Lim, Y. M., & Joo, K. S.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5(1), 95-106. 

  49. Victor, C., Scambler, S., Bond, J., & Bowling, A. (2000). Being alone in later life: loneliness, social isolation and living alone. Reviews in Clinical Gerontology, 10, 407-417. 

  50. Won, C. W., Rho, Y. G., Kim, S. Y., Cho, B. R., & Lee, Y. S. (2002).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K-ADL) Scale.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6(2), 98-106 

  51. Yoo, S. H. (1996). Determinants of the independent living arrangements among Korean elderly and their adult children: A theoretical investigatio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16(1), 51-68. 

  52. You, K. S., & Lee, H. O. (2006). The physical, mental, and emotional health of older people who are living alone or with relatives.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20(4), 193-201. 

  53. You, K. S., & Park, H. S. (2003). Comparison of health status between senior people living alone and those who live with their families.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3(4), 163-17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