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도심 지하공간의 커뮤니티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Planning of Community in Urban Underground Space for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22 no.3 = no.98, 2013년, pp.205 - 216  

하미경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김아현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이효창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공간디자인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n cities need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based on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space and resource. Especially a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needs the activation of community in the urban underground space as urban development cen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elements and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도심 ‘지하공간’의 커뮤니티 활성화 공간계획 요소를 파악하기 위하여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종속변수, 도심 ‘지하공간’의 커뮤니티 활성화 공간계획 요소를 독립 변수로 설정하여 단계선택 방식의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과 같다.
  • 본 연구는 다중선형회귀분석 결과, 중요도가 높게 나타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의 4개 전략, 즉, ‘지속가능하고 건강한 도시환경 복원’, ‘지속가능한 토지 이용’, ‘역사 문화 자원을 통한 지역 정체성 확보’ ‘지속가능한 도시 교통 시스템’ 등의 전략에 다중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는 ‘지하공간’의 커뮤니티 활성화 공간계획 요소를 기준으로 그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설문조사 항목의 수는 조사대상자 일반사항 6개 항목,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전략 10개 항목,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도심 ‘지하공간’의 커뮤니티 활성화 공간계획 34개 항목 등 총 50개 항목이다. 본 연구는 중요도 최대 5점, 최저 1점 범위 내에서 5점 척도의 방식에 의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 설문조사의 목적은 전문가를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전략에 따른 도심 ‘지하공간’의 커뮤니티 활성화 공간계획 요소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도심 ‘지하공간’의 역할과 필요성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공간계획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하여 도심 ‘지하공간’의 커뮤니티를 활성화하기 위한 공간계획 요소 및 유형과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전략에 따른 도심 ‘지하공간’의 커뮤니티 활성화 공간계획의 특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해 필요한 것은?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해서는 도시의 거점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도시 ‘지상공간’의 자연생태 자원의 보존과 보호, 기존 도시 시설의 연계와 활용, 다양한 도시 자원 활용, 도시민의 생활 욕구 충족 등이 가능해야 하며, 사회, 경제, 산업, 문화적 파급효과 유발이 가능해야 한다.
국외의 ‘도시재생’의 사례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러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의 의미와 같이 국외의 ‘도시재생’에 대한 개념도 낙후된 도시를 정비 사업을 통하여 도시의 환경, 산업・경제, 사회・문화적 측면 등 도시의 모든 분야를 부흥시킨다는 포괄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미국의 ‘도시재생’은 ‘커뮤니티 운동’과 연계되어 중심시가지 활성화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일본은 ‘마치츠쿠리(마을 만들기 운동)’으로 ‘도시재생’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영국의 경우 ‘근린지역재생 운동(New Deal for Communities)’과 연계되어 ‘도시재생’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도시재생’ 사업은 기존 도시정비사업이 물리 환경의 개선에 치중되던 것에서 벗어나 ‘지속가능한 도시의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물리적, 사회적, 경제적 부분을 모두 고려하는 통합적인 접근 방식의 개념이라 할 수 있다.
도시재생이란? ‘도시재생’은 단지 특정 공간의 물리적 재편만이 아니라 도시를 둘러싼 사회・경제적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면서, 도시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도시의 경제・사회・환경 전반을 적극적인 방식으로 개선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개념을 구체화하면 ‘도시재생’은 첫째, 건축물 및 기반시설의 입체화를 통한 도시기능의 회복 및 전환, 둘째, 주거, 상업, 문화, 업무 등 각종 도시기능의 복합화를 통한 도시 커뮤니티의 부활, 셋째, 건축물 및 기반시설의 리모델링을 통한 도시의 활력 및 매력 창출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권용우.왕광익.유선철, 해외 저탄소 녹색수변도시, 대한지리학회지 제45권 1호, 2010.04 

  2. 김민석.이우형,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고려한 창조도시 접근 체계에 관한 연구, Journal of Digital Interaction 60 Design v.11 n.1, 2012.03 

  3. 김성준.이효창.하미경, 문화기반 도시재생을 위한 지하도시공간 환경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제28호, 2009.11 

  4. 김영우.최재필, 지하철역사 유휴공간의 유형분석을 통한 활용 방안 연구, 퍼실리티매니지먼트논문집 제6권 제1호, 2011.12 

  5. 김영환, 성장관리형 도심재생 가이드라인 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4권 제8호, 2008.08 

  6. 김영환, 영국의 지속가능한 주거지 재생계획의 특성, 국토계획 제36권 제1호, 2001.02 

  7. 김완준.이상호, 지하공간의 구성요소 및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5권 제3호, 2006.06 

  8. 김정곤.오덕성, 독일 생태주거단지의 발전 단계별 지속가능성 분석과 단지설계 특성의 심층사례 연구, 도시설계 제8권 제4호, 2007.12 

  9. 김학일.오덕성, 지속가능한 자원절약형 생태도시 개발전략 연구, 지역사회발전학회논문집 제35권 제1호, 2010.06 

  10. 김항집, 도시 수변공간의 활용 실태와 입지적 특성을 반영한 친환경 수변 도시개발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3호, 2012.02 

  11. 김효경.민들레.정성원, 도심부 보행활성화를 위한 기존 지하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6권 제1호 2010.01 

  12. 나현숙.이상홍, 대구 역세권 지하상가 공간분석을 통한 이용자 보행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5권 제12호, 2009.12 

  13. 명성준, 친환경 도시건설에 관한 연구 - 영국 레스터시와 브라질 꾸리찌바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 제25권 제2호, 2011 

  14. 박근철.주범.김홍기.김세용, 영국의 도시재생 전략체계와 실행전략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논문집 제45권 제1호, 2011.03 

  15. 서수정, 지속가능한 개발과 뉴어바니즘 이론의 적용에 의한 영국 버밍험시 도시재생의 특성, 국토계획 제42권 제7호, 2007.12 

  16. 안은희.강석진.이경훈, 대규모 지하 상업공간에서의 보행자의 움직임과 경로선택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0권 제9호, 2004.09 

  17. 엄나너.이광영,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고려한 공공디자인 접근체계 및 방법에 관한 연구, 인포디자인이슈 제29호, 2011.08 

  18. 오덕성.염인섭, 도심재생사업의 지속가능성 평가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제9권 제1호, 2008.03 

  19. 오덕성.염인섭, 지속가능한 자원절약형 도시재생 프로젝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4권 제1호, 2008.01 

  20. 오민준.정재용, 국내외 지속가능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방향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7권 제12호, 2011.12 

  21. 오상목.이주경.오세규, 독일의 지속가능한 수변주거단지 계획기법 연구-베를린시 루멜스부르크만 강변단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제9권 제2호, 2007.06 

  22. 우신구.조연경, 지하철 정거장 내부공간의 색채계획과 적용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6권 제2호, 2007.04 

  23. 이강주, 경남지역 지하공공보도시설의 시설현황 조사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4권 제2호, 2008.02 

  24. 이강주.정성환, 도시공공 지하공간의 시설현황 조사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7권 제11호, 2011.11 

  25. 이강주, 몬트리올 도시 지하공간 활용에 대한 분석적 고찰,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4권 제5호, 2008.05 

  26. 이강주.서충원, 지하공간 건축가이드라인 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2권 제4호, 2006.04 

  27. 이강주, 토론토 지하보행몰시스템 형성과정 및 요인,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2권 제5호, 2006.05 

  28. 이규인.이장욱,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주요과제와 계획목표 설정 및 단계적 추진모델 개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5권 제4호, 2009.04 

  29. 이규인.이장욱,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의 추진전략수립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6권 제3호, 2010.03 

  30. 이영수.김민경, 지하공간 활용을 위한 디자인 구성개념 및 요소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9권, 2001.12 

  31. 이일희.이주형,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도시설계 제12권 제6호, 2011.12 

  32. 이재준, 한국형 생태도시 계획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40권 제4호, 2005.08 

  33. 이효창.하미경, 복합용도건축물 지하 및 실내 오픈스페이스의 '건축적 공공성' 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6권 제12호, 2010.12 

  34. 이효창.한정호.하미경, 지하공간의 문화적 활성화를 위한 실내 환경계획요소의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9권 제5호, 2010.10 

  35. 이효창.하미경, 지하도상가 광장의 공공성 향상을 위한 이용자 의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4권 제4호, 2008.04 

  36. 이효창.하미경, 지하문화시설의 배치유형 및 실내계획요소의 중요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8권 제5호, 2012.05 

  37. 이효창.하미경, 지하상업공간 이용 활성화를 위한 조명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6권 제6호, 2007.12 

  38. 정규식.김영.서익진, 수변 재생을 통한 도시 재생의 사례도시 비교분석, 도시행정학보 제24권 제4호, 2011.12 

  39. 정재희.이상윤, 지속가능한 친환경 지하캠퍼스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교육시설 제17권 제6호, 2010.11 

  40. 황보민경.이정교, 구도심 재생을 위한 공공영역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3권 제3호, 2008.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