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피추출물 복합제 화장품의 여드름에 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for Effect of Herbal Cosmetics Containing Cortex Betulae Platyphyllae Extract Complex on Acne 원문보기

韓方眼耳鼻咽喉皮膚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v.26 no.3, 2013년, pp.1 - 19  

박수연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  나창수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경혈학 교실) ,  정원철 (주)메디플랜) ,  이종철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rimary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herbal cosmetics containing Cortex Betulae Platyphyllae extract complex on acne. The second is to comparatively evaluate safety of this cosmetics. Methods : We opened collecting of applicant that men and women(the 18~35-y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임상연구는 화피추출물 복합제를 활용한 한방화장품이 여드름성 피부에 대한 효과를 객관적으로 검증하고자 8주간의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위약비교 임상시험을 시행하여 여드름의 증상 개선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 본 임상연구는 화피추출물 복합제를 활용한 한방화장품의 여드름성 피부에 대한 효과를 객관적으로 검증하고자 8주간의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위약비교 임상시험을 시행하여 여드름의 증상 개선 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방 치료를 통해 여드름을 해결하고자 한 최근 연구들에서 미흡한 부분은 무엇인가? 그 외에도 서15)가 加味升麻胃風湯 이 胃經風熱로 인한 면포에, 유 등16)은 如意金黃散이, 최 등17)은 顚倒散이, 정18)은 三黃洗劑가 항염증 효능과 항산화 효능이 우수하므로 염증상태의 여드름 치료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하지만 아직까지 여드름에 관한 한방 외용약과 한방 화장품에 대한 임상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여드름은 무엇인가? 여드름은 털피지샘단위(pilosebaceous unit)의 만성염증질환으로 피부과 외래를 방문하는 환자들에게 흔하게 관찰되는 질환 중 하나이며 면포, 구진, 고름물집, 결절, 거짓낭(pseudocyst) 등1) 다양한 병변이 피지 분비가 많은 부위인 얼굴이나 목, 등, 어깨, 가슴에 나타난다1,2). 여드름은 주로 사춘기에 발생하여 20세 중반부터 소실되기 시작하지만, 최근에는 25세 이후까지 지속되거나 새로 발생하는 성인기 여드름이 증가하고 있다3) .
樺皮가 가진 효능에는 어떤 것이 있고, 그 효능을 통해 어떤 질환을 치료하는가? 樺皮(Cortex Betulae Platyphyllae)는 樺木科(자작나무과 ; Betulaceae)에 속한 落葉喬木인 만주자작나무 및 자작나무의 樹皮로 淸熱利濕・祛痰止咳・消腫解毒 등의 효능이 있어 癤腫, 癢疹, 痒疹, 肺風瘡, 여드름 등 피부질환을 치료한다19-22). 화피는 박23)의 석류피와 화피에 관한 문헌고찰과 김24)의 화피, 석류피, 염부수백피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효과에서 이미 여드름의 외용약으로 사용할 가치가 충분히 있음이 밝혀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Korean Dermatological Association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5th Edition Dermatology. Seoul:Ryo Moon Gak. 2008:446-54. 

  2. Jeong JY. Acne. Seoul:MD world. 2007:15, 32-5, 63-5, 142-58, 207-8, 210-2, 214, 517-38, 711-2, 812-25. 

  3. Jeong JY, Ha CM. Primary care of skin disease revision vol. 1. Chungbuk:MD world. 2006:391-8. 

  4. Kim BJ, Lee SJ. Aesthetic dermatology. Seoul:Ryo Moon Gak. 2009:115-37. 

  5. Chae BY. The Clinical Study of Acn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1998;11(1):253. 

  6. Lee SH, An BG. The Quality of Life of Acne Patients.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2003;41(10):1274-5. 

  7. Yoshiki M, Masahiro T, Fukumi F. The Latest Acne Treatment Techniques. Seoul: Koon Ja Publishing, Inc. 2009:220. 

  8. Baek SC, Jo EH, Mendgerel, Park MC. Effect of Sophorae Radix-Skin Lotion on Acne.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rolaryngology & Dermatology. 2011;24(1):111-20. 

  9. Hyoung YG. The study on the effect of Okyongsan in Acnes. Graduate School of Woo Suk University Master's thesis. 1998. 

  10. Kim MS, Kim JH, Chae BY. The Effects of Chungsangbangpoongtang Extact Solution by Oral Administration and Topical Application on Acne. Kyung Hee Medical. 1992;8(3): 265-75. 

  11. Im HS. The Experimental Study of Gagambipachungpe-Eum on Acne.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0. 

  12. Rho SW. 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of Gamidangguijakyaktang Extact Solution Applicatable to the Treatment of Acne.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0. 

  13. Yang SJ. Effects of Hedyotis diffusa in patients with acne. Graduate School of Complementary Alternative Medicine Pochon CHA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5. 

  14. Kim SB, Kim KJ. Effect of the addition temperament drugs of Yeongyopaedock-san on acne in the state of inflammation.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02;15(1):50-62. 

  15. Seo HS. Studies on the Effects of Gami-Shengmayuipung-tang on Acnes.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Society. 2005;26(1):134-47. 

  16. Yoo JG, Seo HS. The Effects of Yeouigeumhwang-san on Anti-Inflammation and Anti-Propionibacterium acnes.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07;20(2):77-88. 

  17. Choi KH, Seo HS. The Effects of Jeondo-san on Anti-Inflammation and Anti-Propionibacterium acnes.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07;20(2): 89-101. 

  18. Jung SY. The Effects of Samhwangseje on Anti-Inflammation, Antioxidant And Anti-Propionibacterium acnes. Graduate School of Sangji University Doctoral thesis. 2009. 

  19. Chae YM. Jungyakyakmyeongsajun. Beijing: Chinese Medicine Publisher. 1996:44. 

  20. Sin MG, Jeong BY. Dohae Hyangyakdaesajeon. Seoul:Yeongrimsa. 380-1, 735, 803-4. 

  21. Sin MG. Clinical Traditional Herbalogy. Seoul:Yeongrimsa. 2002:399-400, 844. 

  22. Chinese Medicine University Association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Herbalogy. Seoul:Yeongrimsa. 2004:681-2, 741. 

  23. Park SY, Na CS, Jeong WC, Lee JC. A Literature Study of Pericarpium Granati and Cortex Betulae Platyphyllae.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12;25(3): 13-33. 

  24. Kim WI, Kim JE, Lee SH, Moon YS, Lee SH, Park SY, Na CS.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Water- and Ethanol-Extracts from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Punica granatum and Rhus javanica. Kor. J. Herbology. 2013;28(3):45-51. 

  25. Department of Dermat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ermatology for medical students. Seoul:Korea Medical Book Publishing. 2006:229-33. 

  26. Ahn SG, Seong YO, Song JW. Acne Bible. Seoul:Chinsol. 2006:61-83,94-159,244-54,263-9,272-80,283-96,302-38,348-79,384-94. 

  27. Wang Q. Huangdi's Internal Classic Plain Questions Revisions. Seoul:Seongbosa. 1983:14. 

  28. Lou Y. Yi Xue Gang Mu. Beijing:Zhong Yi Gu Ji Publishing. Inc. 1999:506. 

  29. Wang K. Standards of Pattern Identification and Treatment. Taipei:Xin Wen Feng Chu Ban Gu Fen You Xian Gong Si. 1979:4,198. 

  30. Heo J. Treasured Mirror of Eastern Medicine. Seoul:Beobin Munhwasa. 1999:511,515-20. 

  31. Chen G, Yang S. Practical Diagnostics and Therapeutics of Integrated Traditional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Beijing:China Medical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1998:1496-8. 

  32. Wang H. Peaceful holy Benevolent Prescriptions. Seoul:Seongbosa. 1979:1207, 1212, 1214-5, 1217. 

  33. Cheng G. Medical Insights. Beijing:Zhong Yi Gu Ji Publishing Inc. 1999:146. 

  34. Gu B. Practical Surgery of TCM. Shanghai:Shanghai Ke Xue Ji Zhu Publishing. Inc. 1985:535-6. 

  35. Joo HA, Bae HJ, Hwang CY. A Literature Study about Comparion of Eastern-Western Medicine on the Acne.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12;25(2): 1-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