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생활양식 유형별 소형아파트 LDK 선호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Preferences on LDK at Small-sized Apartment according to Lifestyle Types by Housing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4 no.4, 2013년, pp.83 - 96  

모정현 ((주)예인건축연구소, 건국대학교 건축학부) ,  강순주 (건국대학교 건축학부 주거환경전공) ,  권오정 (건국대학교 건축학부 주거환경전공) ,  최정민 (건국대학교 건축학부 주거환경전공) ,  김수진 (포스코 E&C 건축사업본부 디자인그룹)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one- and two-person households, demand for small-sized apartments has been on the rise, and lifestyles have seen swift changes to cater to smaller-sized housing. The construction market is shifting toward small-sized apartments, and research is now needed 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소형평형의 라이프스타일 대응형 주택상품개발을 위하여 주생활양식을 중심으로 측정요인을 도출하고 주생활양식을 유형화하여 각 유형별로 단위세대 계획개념을 도출하였다. 결과내용을 요약하고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주택상품의 특화공간개발을 위한 개념 도출이 목적이므로 거시적 개념의 라이프스타일 분석보다는 주거공간과의 관계에 따른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인 주생활양식을 분석하고 유형을 도출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첫 단계로 라이프스타일 연구 중 측정변수를 검토, 분석하고 그 다음 단계로 주생활양식의 측정요인을 도출하였다.
  • , 싸이코그래픽스(Psychographics)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AIO 분석방법을 기본적으로 채택하고 LOV의 측정요인을 일부 보완하여 최종 측정요인을 도출하였다. 그 이유는 AIO 방법이 라이프스타일을 측정하기 위하여 가장 폭넓게 사용되는 방법이며 현재까지 나온 논문의 대부분 측정요인들이 AIO분석 항목에서 추출한 것이며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의 행동으로 표현된 측면 등의 라이프스타일을 포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 즉 소형평형 거주자의 주생활양식 유형을 파악하며, 각 유형별 LDK 선호도를 분석하여 주생활양식 유형별 맞춤형 주택상품수립을 위한 계획개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향후 다품종 소량 생산을 위한 라이프스타일 대응형 상품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소형평형 거주자의 라이프스타일 중에서 주생활을 중심으로 유형화하여 각 유형별로 단위평면 계획시 가장 기본이 되는 LDK에 관하여 거주자의 선호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즉 소형평형 거주자의 주생활양식 유형을 파악하며, 각 유형별 LDK 선호도를 분석하여 주생활양식 유형별 맞춤형 주택상품수립을 위한 계획개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소형평형 거주자의 라이프스타일 중에서 주생활을 중심으로 유형화하여 각 유형별로 단위평면 계획시 가장 기본이 되는 LDK에 관하여 거주자의 선호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즉 소형평형 거주자의 주생활양식 유형을 파악하며, 각 유형별 LDK 선호도를 분석하여 주생활양식 유형별 맞춤형 주택상품수립을 위한 계획개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향후 다품종 소량 생산을 위한 라이프스타일 대응형 상품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파트 개발에 있어 해결되지 못한 중요한 이슈가 불특정 다수를 위한 보편적 공간인가 혹은 라이프스타일 맞춤형 공간인가에 관한 문제인 이유는? 1,2인 가구의 증가는 소형평형의 수요를 증대시키고 이에 대응하여 건설시장의 대응도 신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라이프스타일은 그 변화속도에 대응하기도 어렵지만 점차 다양화되는 라이프스타일에 맞춤형으로 대응하기는 더더욱 어렵다. 이러한 연유로 현재까지 아파트 개발에 있어 해결되지 못한 중요한 이슈는 불특정 다수를 위한 보편적 공간인가 혹은 라이프스타일 맞춤형 공간인가에 관한 문제이다.
주생활양식이란? 즉 인간이 주택이라는 공간환경에 대응하면서 발생하는 행위 체계를 의미한다1). 또한 주생활양식은 주택을 중심으로 행해지는 일정한 생활 양상, 즉, 생활의 유형을 말하며 주생활 면에서 나타나는 전통·습관화된 생활 행동의 상태로서, 가족의 구성 조건, 사회적 계층, 지역적인 기후 풍토 조건 등에 따라 달라지고 시대적인 변천에 따라 항상 변화 발전하게 되는 것2), 주생활에 관한 개인의 행위, 흥미 , 의견 등에 의해 구체화되어지는 주생활방식3) 등으로 정의되고 있다. 한편 주생활양식에 대해 일본의 경우는 ‘주양식’이라는 용어의 사용이 일반화되고 있음에 비해 국내는 ‘생활양식’, ‘주생활양식’, ‘주거생활양식’, ‘주거양식’ 등 다양한 용어가 같이 사용되고 있으며, 같은 용어의 해석에도 연구자에 따라 차이가 있다.
주생활양식은 어떤 3개의 범주 속에서 개념이 지어지는가? 4) 이렇듯 주생활양식의 개념 범위는 학자들마다 다르게 설정하여 연구하고 있으나 그간의 연구들을 종합해보면 주생활양식은 3개의 범주 속에서 개념 지어진다. 첫째는 사용자의 주거요구, 의견, 의식으로 형성되는 주거가치관 측면, 둘째는 주거공간 구성과 주거 내에 어떤 가구와 기기들을 사용하고 장식하고 있는가의 주거공간 태도 측면, 셋째는 주거공간을 어떻게 관습적으로 사용하고 행위하느냐의 주생활 행태 측면이다. 이러한 주생활양식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경제, 사회적 구조변화와 더불어 발전하는 것이므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다양한 주생활양식에 대응하는 주거환경이 제공되어야 하며 주거계획을 할 때는 거주자들의 주생활양식을 분석하고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강순주 (2010). 주거론 (제I장). 대한건축학회편, 서울: 기문당. 

  2. 박종민.장석재 (2001). LOV를 이용한 한국인의 라이프스타 일과 인터넷, TV 이용패턴. 광고연구. 제 52호. 

  3. 이상태 (2000).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체계적 고찰과 응용논문에 관한 연구. 제주관광대학논문집, 6, 1-30. 

  4. Chaiy, S. (1992). Systematic Analysis of Korean Life Style. Journal of Consumer Studies, 3(1), 46-63. 

  5. Choi, Y. (200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Dance Performance Audience through the Analysis of their Value and Lifestyle. Doctoral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6. Huh, Y., & Cho, S. (1997). A Study on the Types of Housing Life Style for Multifamily Housing Design.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3(12), 35-45. 

  7. Jun, S., Park, S., Kim, S., & Choi M. (2006). A Study on the Preference for the Way of Composing the Unit Plan for Apartment Houses by Lifestyle.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7(5), 147-157. 

  8. Kim, M., & Moon, H. (1998). Types of Housing Life-Style among Multi-family Housing Resident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4(7), 11-19. 

  9. Kim, M., & Lee, Y. (2005). The Behavioral on Residential Spaces among Middle-size Apartment with 3 bed room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6(6), 21-27. 

  10. Lee, H., Park, S., Jung, H., & Lee, M. (2011). A Study on a Correlation Between Senior Lifestyle and Intelligent Home Service.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7(6), 131-141. 

  11. Mun, K. (2006). A Study on Lifestyle as a Basic Curriculum for Design Edu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19(1), 171-180. 

  12. Park, Y., Shin, I., Han, J., & Hwang, Y. (1994). A Study on the Life Style and the Interior Preference of Urban Residents in Apartment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5(1), 17-27. 

  13. Shin, S. (1997). A Study on the Housing Life-style of Urban resident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8(2), 37-47. 

  14. Yoon, C., & Park J., (2010). A Study on the Dwelling Style by Lifestyle of Middle-aged Marri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1(4), 81-88. 

  15. Bushman, F. (1982). Stylematic life style for product segmentation. Journal of the Academy of the Marketing Science, Vol. 10, Issue 4 (Fall 1982), 377-394. 

  16. Douglas, S., & and Urban, C. (1977). Life-Style Analysis to profile Women in International Market. Journal of Marketing, July 1977, 46-54. 

  17. Engel, J., & Blackwell, R. (1983). Consumer Behavior; Concepts and Strategies. NY: The Dryden Press. 

  18. Greyser, S. (1963). Toward Scientific Marketing. Chicago; A.M.A. 151-163. 

  19. Plummer, J. (1974). The Concept & Application for Life Style Segmentation. Journal of Marketing, Vol. 38, (January 1974), 33-37. 

  20. Wind, Y., & Green. (1978). Issues and Advances in Segmentation Research.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XV, (August 1978), 317-3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