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취약계층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상태와 어머니의 아동 건강관리실태
Health Status of Vulnerable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Mothers' Health Management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19 no.3, 2013년, pp.159 - 167  

강영실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  권인수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취약계층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상태와 어머니의 아동 건강관리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대상자는 259명의 취약계층 가정의 어머니이며, 연구도구는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연구자가 구성한 설문지이다. 자료는 2010년 1월부터 2월까지 경상남도 20개 보건소의 방문간호사가 가정방문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SA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비만 아동이 6.5%, 저체중 아동이 19.3%였으며, 건강문제는 아토피가 14.7%였다. 손 씻기 수행율은 화장실 사용 후 69.1%, 식사 전 63.3%였으며, 아침 결식 아동이 15.8%, 규칙적으로 식사하지 않는 아동이 32.0%였다. 어머니의 아동 성교육률은 45.7%, 정기적인 치과검진율은 56.3%였고, 시력검사와 청력검사를 하는 경우가 각각 66.8%와 61.1%였다. 성장발달 촉진을 위한 가정환경은 41점 중 34.3점이었고, 질병유무와 어머니의 연령과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사고예방을 위한 가정환경은 22점 중 17.5점이었고, 유치원 등원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결론 비만 아동과 저체중 아동의 비율이 높고, 기본적인 개인위생 습관과 식습관이 적절하지 못한 아동의 비율이 높았으며, 어머니의 아동건강관리실태는 기초적인 건강관리와 아동의 성장발달 증진과 사고예방을 위한 가정환경의 조성이 미흡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가정방문 간호사들이 취약가정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과 성장발달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가정방문용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preschool children's health status and their mothers' health management in the vulnerable classes. Methods: The assessment tool was developed, taken into consideration existing studies, materials produced by the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syst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취약계층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상태와 어머니의 건강관리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취약계층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상태와 어머니의 아동 건강관리실태를 포괄적으로 사정함으로써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과 성장발달의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에서 어머니의 아동 건강관리실태는 어머니가 가정에서 아동의 성장발달과 건강증진을 위해 수행하는 돌보기의 내용으로, 성교육과 추가 예방접종 등의 기초 건강관리, 성장발달 증진과 사고예방을 위한 가정환경의 조성을 의미한다.
  • 본 연구에서는 취약계층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상태와 부모의 아동 건강관리실태를 파악함으로써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증진과 성장발달증진을 도모하고 나아가 아동과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취약계층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상태와 어머니의 아동 건강관리실태를 파악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취학 전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우리나라의 아동양육지원정책은 무엇에 치중되어 있는가? 아동의 건강관리는 국가의 정책적 전략과 개인적 노력으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으나 취학 전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우리나라의 아동양육지원정책은 저출산에 대한 대비와, 여성근로가 요구되는 취약계층을 겨냥하여 다자녀 가족의 교육지원과 보육지원, 장애아동을 위한 의료지원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Kim & Lee, 2006) 아동의 포괄적인 성장발달과 건강문제에 대한 접근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Hwang, 2008).
학령전기의 특징은 무엇인가? 학령전기는 성장속도가 영아기에 비해 느리고 유병률이 낮은 건강한 시기라고 할 수 있으나, 전반적인 신체 성장과 기능의 발달이 성인의 기초를 형성하는 시기로, 발달특성상 이 단계에서는 건강에 대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지각, 신념과 가치, 건강습관이 형성되기 시작하기 때문에 추후의 건강의 기반을 마련하는 중요한 시기로 볼 수 있다 (Kim, Lee, Lee, & Ham, 2004). 특히 이 시기에는 전신 운동 능력이 현저하게 발달하고 활동 범위가 확대되어 외부 환경과의 접촉 기회가 많아지나 면역계의 발달이 미숙하고, 침을 흘리거나 음식을 먹을 때 분비물을 공유하기 쉬우며, 손 씻기나 화장실 사용 등의 개인위생 관리가 미숙하여 감염성 질환에 대한 감수성이 높고, 위험을 인지하고 이에 대해 대처하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사고 위험이 크며(Kim & Lee, 2000; You, Lee, & Ryu, 2004), 성장발달이 가정환경을 포함한 육아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Park, Lee, & Kim, 2007).
학령전기란? 학령전기는 성장속도가 영아기에 비해 느리고 유병률이 낮은 건강한 시기라고 할 수 있으나, 전반적인 신체 성장과 기능의 발달이 성인의 기초를 형성하는 시기로, 발달특성상 이 단계에서는 건강에 대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지각, 신념과 가치, 건강습관이 형성되기 시작하기 때문에 추후의 건강의 기반을 마련하는 중요한 시기로 볼 수 있다 (Kim, Lee, Lee, & Ham, 2004). 특히 이 시기에는 전신 운동 능력이 현저하게 발달하고 활동 범위가 확대되어 외부 환경과의 접촉 기회가 많아지나 면역계의 발달이 미숙하고, 침을 흘리거나 음식을 먹을 때 분비물을 공유하기 쉬우며, 손 씻기나 화장실 사용 등의 개인위생 관리가 미숙하여 감염성 질환에 대한 감수성이 높고, 위험을 인지하고 이에 대해 대처하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사고 위험이 크며(Kim & Lee, 2000; You, Lee, & Ryu, 2004), 성장발달이 가정환경을 포함한 육아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Park, Lee, & Kim,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ng, K. S. (2006). Health status of preschoolers depending on the socioeconomic status. Korean Parent Child Health Journal, 9(2), 140-149. 

  2. Caldwell, B. M., & Bradley, R. H. (1984). Home observation for measurement of the environment. Little Rock, AR: Center for child development and education, University of Arkansas. 

  3.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2), 175-191. 

  4. Hwang, N. M. (2008). Future directions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policy for healthy start in life.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141, 5-19. 

  5. Ireton, H. (1992). Child development inventory, manual. Minneapolis: Behavior Science Systems. 

  6. Jeong, J. S., Choe, J. H., Lee, S. H., & Kim, Y. S. (2003). Hand hygiene effects measured by hand culture in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4(2), 21-30. 

  7. Kim, E. J., & Lee, J. I. (2006). Study on current policies and desirable policy directions of child raising support benefits for disadvantaged families: Focusing on poor, single parent, and disabled families. Social Welfare Policy, 25, 253-278. 

  8. Kim, H. J., Yoo, J. S., Kim, H. S., Tak, Y. J., Bang. K. S., & Huh, B. Y. (2010). Development of health assessment tools and tailored home visiting nursing service model for children in poverty. Korean Parent Child Health Journal, 13(2), 63-77. 

  9. Kim, H. K., & Kim, J. H. (2006). A preliminary study on nutrition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in day-care cent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5(7), 866-873. 

  10. Kim, H. R. (2003). Policy directions to improve the health and nutrition services for children in child care center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85, 65-76. 

  11. Kim, H. S., Lee, C. Y., Lee, T. W., & Ham, O. K. (2004). Health problems and health behaviors of preschool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1), 182-190. 

  12. Kim, J. M., & Kwak, K. J. (2007). The effect of the parent variables,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and social support on poverty in early childhood. Journal of Korean Child Studies, 28(4), 305-317. 

  13. Kim, S. J. (2005). Prevalence rate and factors of myopia in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2), 390-398. 

  14. Kim, S. J., & Lee, J. E. (2000). The effect of safety education on accident proneness prospect in preschooler.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6(3), 372-386. 

  15. Kim, W. Y., Cho, M. S., & Lee, H. S. (200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ini dietary assessment index for Koreans. Korean Journal of Nutrition, 36, 83-92. 

  16. Lee, Y. M., & Hwang, S. W. (2008).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atopic dermatitis in preschool and school aged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4(3), 285-294.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8). Teaching materials for tailored home visiting health management projec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 Oh, K. J., Kim, E. Y., Do, R. M., & Uh, Y. K. (2005). Exploration of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Poverty and psychosocial adjustment of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4(1), 53-71. 

  20. Park, S. Y., Lee, J. I., & Kim, H. K. (2007). Effects of hom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three year-old children's physical growth.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24, 91-117. 

  21. Shin, H. S., & Kim, J. M. (2006). A study to standardize the child development review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2(3), 333-340. 

  22. Shin, Y. H. (2005). A review of childhood obesity.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1(2), 240-245. 

  23. Tong, S., Baghurst, P., Vimpani, G., & McMichael, A. (2007). Socioeconomic position, maternal IQ, home environment, and cognitive development. Journal of Pediatrics, 151, 284-288. 

  24. You, J. Y., Lee, J. I., & Ryu, J. Y. (2004). A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in pediatric trauma patients under 7 yea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Traumatology, 17(2), 197-2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