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단방사선 일반촬영에서의 X-ray Beam Collimator 사용 전국 실태조사
Nationwise Survey of the X-ray Beam Collimator Utilization in General Diagnostic Radiograph 원문보기

Progress in Medical Physics = 의학물리, v.24 no.2, 2013년, pp.119 - 126  

김지혜 (경희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성동욱 (경희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김정욱 (경희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신진호 (경희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이순근 (경희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정경일 (경희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엄종권 (동아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이기남 (동아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성호진 (전남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김윤현 (전남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김혁주 (식품의약품안전청 방사선안전과)

초록

방사선 검사에서 CR, DR의 도입으로 인해 X-선속 조사야의 사용이 경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방사선 검사에서 검사 부위별 조사야를 적절히 사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현장 실태 조사와 설문 조사하고, 조사야의 기준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표준 조사야를 제시하고자 한다. 서울, 경기도, 전라도, 충청도, 강원도, 부산 지역 총 333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X-선속 조사야의 사용 실태를 현장 조사하여, 검사부위별, 의료기관종별, 영상종류별로 조사야 조절의 사용 여부를 분석하였다. 또한 조사야 조절이 방사선피폭에 미치는 영향과 인식을 평가하기 위해 종합병원 10곳, 병원 10곳, 의원 10곳의 일반촬영실에 근무하는 168명의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X-선속 조사야 조절이 환자피폭선량 저감화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조사야 조절 방법과 실제 사용하고 있는 검사부위별 X-선속 조사야 크기를 설문 조사하였다. 검사부위별 적합한 조사야을 사용하고 있는 의료기관은 61.3%이었으나, 주요 장기가 밀집된 요추 검사의 경우에는 적합한 사용이 49.9%에 불과하였다. 의료기관종별에서는 종합병원이 약 69%, 영상종류별로 보면 DR을 사용하는 병원의 65.0%에서 적합한 조사야을 사용하였다. 설문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97.6%가 조사야 조절이 환자에게 끼치는 선량을 줄일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제로 부위별 X-선속 조사야의 크기를 조절하여 검사하는 경우는 83.3%이었다. 일반방사선 검사에서 적절한 조사야를 사용하는 경우가 실태조사를 통해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환자에 대한 방사선 피폭선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시급히 필요하며, 조사야에 대한 통일된 표준 규격이 필요하여 철저한 교육이 동반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the introduction of CR and DR, it has been neglected the use of the X-ray beam collimator and field size. This study examines nationwide survey of the proper use of collimator and field size by area in a specific field of plain radiography and the current status. Authors emphasized the need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전국적으로 일반방사선 검사에서 사용하는 X-선속 조사야 크기를 실태 조사하고, 조사야의 선택이 환자피폭선량 저감화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를 통해 알아보았으며 조사야 크기의 변화는 피폭선량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검사부위별 X-선속 조사야의 적합한 기준의 필요성을 제의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따라서 일정한 조건의 수동검사인가, 그 외 다양한 방법으로 검사하는 가에 따라 신체 장기 부위가 받는 선량은 차이가 날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하여야 한다.7) 또한 조사야를 작게 하는 경우 노출을 조절하지 않 으면 필름 농도는 감소하게 된다. 즉 14×17인치 크기에서 10×12인치 크기로 줄이게 되면 mAs를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사선 검사에서 CR, DR의 도입으로 인해 경시되는 것? 방사선 검사에서 CR, DR의 도입으로 인해 X-선속 조사야의 사용이 경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방사선 검사에서 검사 부위별 조사야를 적절히 사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현장 실태 조사와 설문 조사하고, 조사야의 기준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표준 조사야를 제시하고자 한다.
방사선 검사에서 방사선 피폭을 줄이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노력은?  방사선 검사에서 방사선 피폭을 줄이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노력은 방사선 검사의 정당화와 검사에서의 최적화이다. 정당화는 환자의 진단을 위해 방사선 검사가 꼭 필요하다는 것을 말하며, 최적화는 일단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기로 하였다면 환자나 방사선 관계종사자가 최소의 방사선 피폭으로 좋은 화질을 얻는 노력이다.
사선 검사의 정당화와 검사에서의 최적화는 각각 무엇을 의미하는가?  방사선 검사에서 방사선 피폭을 줄이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노력은 방사선 검사의 정당화와 검사에서의 최적화이다. 정당화는 환자의 진단을 위해 방사선 검사가 꼭 필요하다는 것을 말하며, 최적화는 일단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기로 하였다면 환자나 방사선 관계종사자가 최소의 방사선 피폭으로 좋은 화질을 얻는 노력이다. 최적화에서는 항상 합리적으로 달성 가능한 한 낮게(ALARA: as low as reasonably achievable) 원칙에 따라 환자의 방사선 피폭선량을 방사선 진료의 가치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최소한으로 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Zetterberg LG, Espeland A: Lumbar spine rediographypoor collimation practices after implementation of digitial technology. Br J Radiol 84(1002):566-569 (2011) 

  2. Yoo MK, Kim MS, Lee KJ, Lee J, Beak JM: The optimization method and absorbed dose of L-spine AP by collimation. In Seoul Radiological Technologists Association 118-119 (2009) 

  3. 임인철, 이상훈: 진단용 X선 발생장치의 X선관 가변조리개 성능검사와 조사야일치검사 및 중심선속 일치검사에 대한 평가. 한국컨텐츠학회논문지 9(3):250-254 (2009) 

  4. Parry RA, Glaze SA, Archer BR: Typical patient radiation doses in diagnostic radiology. Radiographics 19:1289-1302 (1999) 

  5. Martin CJ: Optimisation in general radiography. Biomed Imaging Interv J 3(2):e18-e42 (2007) 

  6. Johnstom JN, Fauber TL: Essentials of radiographic physics and imaging. Elsevier, St. Louis (2012), pp. 79-103 

  7. Powys R, Robinson J, Kench PL, Ryan J, Brennan PC: Strict X-ray beam collimation for facial bones examination can increase lens exposure. Br J Radiol 85:e497-e505 (2012) 

  8. Jeffery CD: The effect of collimation of the irradiated field on objectively meaasured image contrast. Radiography 3:165-177 (1997) 

  9. Falk A, Lindhe JE, Rohlin M, Nilsson M: Effects of collimator size of a dental X-ray unit on image contrast. Dentomaxillofac Rad 28:261-266 (1999) 

  10. Journy N, Sinno-Tellier S, Maccia C, et al: Main clinical, therapeutic and technical factors related to patient's maximum skin dose in interventional cardiology procedures. BJR 85:433- 442 (2012) 

  11. Granger WE, Bednarek DR, Rudin S: Primary beam exposure outside the fluoroscopic field of view. Med Phys 24: 703-707 (1997) 

  12. Clancy CL, O'Reilly G, Brennan PC, McEntee MF: The effect of patient shield position on gonad dose during lumbar spine radiography. Radiography 16:131-135 (2010) 

  13. Audet MF, Johnson DW: Credentialing of diagnostic X-ray technologists: a question of public health impact. Am J Public Health 75:270-274 (198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