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독도 돌피의 분류학적 실체
Taxonomic Identity of Echinochloa crus-galli (L.) Beauv. var. crus-galli in Dokdo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6 no.4, 2013년, pp.457 - 462  

최경수 (영남대학교 이과대학 생명과학과) ,  손오경 (영남대학교 이과대학 생명과학과) ,  손성원 (국립수목원) ,  김상준 (국립수목원) ,  유광필 (동북아식물연구소) ,  박선주 (영남대학교 이과대학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독도에 자생하는 벼과(Poaceae) 식물인 돌피(Echinochloa crus-galli (L.) Beauv.)와 물피(Echinochloa crus-galli var. echinata (Willd.) Honda)의 분류학적 실체를 조사하였다. Echinochloa crus-galli complex에 속하는 2분류군 26개체에 대한 ITS, trnH-psbA 및 trnL-F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독도의 돌피와 물피를 포함한 조사된 두 분류군은 유전자구간에서 동일한 염기서열을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호영 및 까락 등의 연속적인 형질로 두 분류군을 구분하는 기존의 형태형질에 근거한 분류학적 처리는 재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ITS 경우, 독도에서 채집된 물피와 돌피 개체들은 울릉도 및 육지에서 채집된 개체들과는 별개의 분계조를 형성함으로써 독립된 진화 경로를 거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lecular study were conducted to evaluate taxonomic identities of Echinochloa crus-galli (L.) Beauv. and Echinochloa crus-galli var. echinata (Willd.) Honda in Dokdo. Echinochloa crus-galli complex of two species 26 individuals analyse based on nuclear ribosomal DNA (ITS region) and cpDNA (trnH-ps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pDNA trnH-psbA, trnL-F 지역의 분석결과도 이를 뒷받침해준다. trnH-psbA 지역의 염기서열를 보면 물피와 돌피의 종의 한계성보다는 포항과 경산의 돌피 한 개씩 2bp 씩의 차이점을 확인 할 수 있다(Fig.
  • 따라서, 본 연구는 이전부터 제기 되어온 독도의 돌피와 물피의 종의 실체를 확인하고, 나아가 울릉도 및 육지의 돌피, 물피를 비교하여 이들의 지리적 특징 및 종의 실체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 분포하는 Echinochloa속에는? riukiuensis Ohwi, Panicum oryzicola Vasinger 등의 이명이 존재한다(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국내에 분포하는 Echinochloa속에는 돌피(E. crus-galli (L.) Beauv. var. crus-galli), 물피(E. crus-galli var. echinata (Willd.) Honda), 좀돌피 (E. crus-galli var. praticola Ohwi), 논피(E. oryzoides (Ard.) Fritsch)가 분포한다고 알려져 있다(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Echinochloa속의 돌피와 물피의 경우 Lee(1980)는 물피는 첫째 포영의 길이가 소수의 1/2~3/5로서 포영이 때때로 굳어지고 물에서 자란다는 형질로 돌피와 분류했다.
독도에 자생하는 벼과식물은? 독도에 자생하는 벼과(Poaceae) 식물인 돌피(Echinochloa crus-galli (L.) Beauv.)와 물피(Echinochloa crus-galli var. echinata (Willd.) Honda)의 분류학적 실체를 조사하였다. Echinochloa crus-galli complex에 속하는 2분류군 26개체에 대한 ITS, trnH-psbA 및 trnL-F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Echinochloa crus-galli complex에 속하는 2분류군 26개체에 대한 ITS, trnH-psbA 및 trnL-F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는? Echinochloa crus-galli complex에 속하는 2분류군 26개체에 대한 ITS, trnH-psbA 및 trnL-F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독도의 돌피와 물피를 포함한 조사된 두 분류군은 유전자구간에서 동일한 염기서열을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호영 및 까락 등의 연속적인 형질로 두 분류군을 구분하는 기존의 형태형질에 근거한 분류학적 처리는 재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un, J.C., H.S. Shin and J.S. Kim. 1988. Gross morphological and herbicide susceptibility variation in collections of Echinochloa species. Korean J. Weed Sci. 8(1):9-14 (in Korean). 

  2. Clegg, M.T., G.H. Learn and E.M. Golenberg. 1991. Molecular evolution of chloroplast DNA. In Evolution at the Molecular Level. Selander, R.K., A.G. Clark and T.S. Whittman (eds.), Sinauer Associates, Sunderland, Massachusetts (USA). pp. 135-149. 

  3. Drummond, A.J., B. Ashton, S. Buxton, M. Cheung, A. Cooper, J. Heled, M. Kearse, R. Moir, S. Stomes-Havas, S. Sturrock, T. Thierer and A. Wilson. 2011. Geneious v. 5.5, Available from http://www.geneious.com. 

  4. Farris, J.S. 1989. The retention index and the rescaled consistency index. Cladistics 5:417-419. 

  5. Felsenstein, J. 1985. Confidence limits on phylogenies: an approach using the bootstrap. Evolution 39:783-791. 

  6. Kim, K.U., J.H. Kim and I.J. Lee. 1989. Classification of Echinochloa species collected in Korea by method of seed morphology and their response to annual herbicides. Korean J. Weed Sci. 9(2):141-148 (in Korean). 

  7. Kim, K.U., K.S. Jae, D.H. Shin and K.M. Kim. 1998. Analysis of genetic diversity in Echinochloa species using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s (RAPDs) Markers. Kor. J. Weed Sci. 18(1):76-83 (in Korean). 

  8. Kluge, A.G. and J.S. Farris. 1969. Quantitative phyletics and the evolution of anurans. Syst. Zool. 18:1-32. 

  9.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203 (in Korean). 

  10. Lee, D.B and S.W. Joo. 1958. Review of Flora of Ulleung. Collection of Dissertations for Liberal Arts and Sciences of Korea University. 3:223-296 (in Korean). 

  11. Lee, D.H., S.H. Cho and J.H. Park. 2007. The analysis of vascular plant species composition in Dok-do Island. Korean J. Pl. Taxon 37(4):545-563 (in Korean). 

  12. Lee, T.B. 1978. Flora of Dokdo. Nature Conservation. 22:16-19 (in Korean). 

  13. Lee, T.B. 1980. Illustration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Korea. pp. 827-829 (in Korean). 

  14. Lee, W.T. 1996.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ress, Seoul, Korea. pp. 795-797 (in Korean). 

  15. Lookerman, D.J. and R.K. Jansen. 1996. The use of herbarium material for DNA studies. In Sampling the Green World. Stussey, T.J. and S. Sohmer (eds.),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USA. pp. 205-220. 

  16. Micheal, P. 1994. Distribution and taxonomy of Echinochloa-A world view with a key to the species occurring in China. In Proceedings of the 5th Weed Science Conference of China (Kunming, China, 25-30 November 1994). Weed Science Society of China, Kunming, China. pp. 161-166. 

  17. Micheal, P. 2001. The taxonomy and distribution of Echinochloa species (barnyard grasses) in the Asian-Pacific region, with a review of pertinent biological studies. In Proceeding of the 18th APWSS Conference (Beijing, China, 28 May-2 June 2001). Standard Press of China. Beijing, pp. 57-66. 

  18. Ohwi, J. 1962. [On Japanese Echinochloa.] Acta Phytotax. Geobot. 20:50-55 (in Japanese with Latin diagnosis). 

  19. Palmer, J.D., B. Osorio and W.F. Thompson. 1988. Evolutionary significance of inversions in legume chloroplast DNAs. Curr. Genet. 14:65-74. 

  20. Park, S.J., I.G. Song, S.J. Park and D.O. Lim. 2010. The Flora and Vegetation of Dokdo Island in Ulleung-gun, Gyeongsanbuk- do. Kor. J. Env. Eco. 24(3):264-278. 

  21. Sang, T., D.J. Crawford and T.F. Stuessy. 1997. Chloroplast DNA phylogeny, reticular evolution, and biogeography of Paeonia (Paeoniaceae). Ame. J. Bot. 84:1120-1136. 

  22. Sworfford, D.L. 2003. PAUP* : Phylogenetic analysis using parsimony (*and other methods), ver. 4.0. Sinauer Associates, Sunderland, MA. 

  23. Soltis, D.E., P.E. Soltis and B.G. Milligan. 1992. Intraspecific chloroplast DNA variation: Systematic and phylogenetic implications. In Molecular Systematics of Plants. Soltis, P.S., D.E. Soltis and J.J. Doyle (eds.), Chapman and Hall, New York, USA. pp. 117-150. 

  24. Sun, B.U., M.R. Sul, J.A. Im, C.H. Kim and T.J. Kim. 2002. Evolution of endemic vascular plants of Ulleungdo and Dokdo in Korea-floristic and cytotaxonomic characteristics of vascular flora of Dokdo. Kor. J. Pl. Tax. 32(2):143-158. 

  25. Taberlet, P., L. Gielly, G. Pautou and J. Bouvet. 1991. Universal primers for amplification of three non-coding regions of chloroplast DNA. Plant Mol. Biol. 17:1105-1109. 

  26. White, T.J., T. Birns, S. Lee and J. Taylor. 1990.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al ribosomal RNA genes for phylogenetics. In PCR Protocols :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Innis, M., D. Gelfand, J. Sninsky and T. White (eds.), Academic Press, San Diego, USA. pp. 315-322. 

  27. Yabuno, T. 1984. A biosystematic study of Echinochloa oryzoides (Ard.) Fritsc. Cytologia 49:673-67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