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copolamine 유도 치매동물모델에서 고려인삼(백삼, 홍삼 및 흑삼)의 기억력 개선 효과
The Effects of Korean Ginseng on Memory Loss in a Rat Model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8, 2013년, pp.1190 - 1196  

강신정 (중부대학교 한약자원학과) ,  우정화 (경희대학교 임상영양연구소) ,  김애정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에서는 백삼이나 홍삼의 기억력 개선 효과 연구를 기초로 흑삼의 기억력 개선효과 여부를 판단하고자 scopolamine으로 유도된 시험동물에게 7주간 시료 물질(백삼, WG; 홍삼, RG; 흑삼, BG) 추출액을 투여한 후, 행동학적인 평가 및 뇌 조직 내 malondialdehyde 농도, ChAT 활성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기억력 및 학습능력 손상에 대한 개선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동회피시험에서 BG군과 RG군의 latency time이 scopolamine 투여한 PC군(positive control)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길어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수중미로시험에서도 BG군과 RG군의 scopolamine에 의한 기억 손상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어 NC군의 escape latency 수준 정도로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robe test에서도 BG군과 RG군에서 장기 기억력 손상이 유의적으로 개선됨이 확인되었다. BG군과 RG군의 뇌조직 ChAT 효소 활성은 PC군에 비해 각각 42%, 71% 수준의 유의성 있는 활성증가를 보였다. 지질 과산화도 malondialdehyde 측정 결과에서 PC군 대비 RG군과 BG군에서 각각 37%, 33% 수준의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시험물질 가운데 흑삼의 반복 경구투여는 scopolamine으로 유도된 흰쥐에서 기억력 감퇴를 개선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and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ginseng on memory improvement in an experimental rat model. In this study, SD rats were induced for memory deficits through scopolamine treatment (1 mg/kg, i.p.) then administrated with ginseng extract for 7...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백삼이나 홍삼의 기억력 개선 효과 연구를 기초로 흑삼의 기억력 개선 여부를 알아보고자 치매모델(scopolamine을 1 mg/kg 농도로 단회 복강 투여하여 알츠하이머병)을 대상으로 인삼(백삼, 홍삼 및 흑삼) 유래 시험물질을 7주간 투여한 후 행동학적 평가 및 관련 효소활성 평가를 통해 기억력 및 학습능력 손상에 대한 3종류의 인삼(백삼, 홍삼 및 흑삼) 시험물질의 개선효과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백삼이나 홍삼의 기억력 개선 효과 연구를 기초로 흑삼의 기억력 개선효과 여부를 판단하고자 scopolamine으로 유도된 시험동물에게 7주간 시료 물질(백삼, WG; 홍삼, RG; 흑삼, BG) 추출액을 투여한 후, 행동학적인 평가 및 뇌 조직 내 malondialdehyde 농도, ChAT 활성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기억력 및 학습능력 손상에 대한 개선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동회피시험에서 BG군과 RG군의 latency time이 scopolamine 투여한 PC군(positive control)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길어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동회피시험은 무엇입니까? 수동회피시험은 설치류의 working memory ability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수많은 연구자들이 학습 및 기억력 측정을 위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험으로서 본 실험에서는 Le- Doux의 방법(14)을 응용하여 시행하였다. 수동회피시험의 원리는 설치류가 어두운 곳을 선호하는 성향을 이용하여 기억력을 측정하는 실험방법이다.
인지기능과 기억력의 감퇴로 인한 피해는 무엇입니까? 현대 사회에서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인지기능과 기억력은 청소년에서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기억력 감퇴 및 Alzheimer's disease(AD)에 의한 인지능력 감퇴는 정상적인 개인생활은 물론 사회생활 자체를 불가능하게 만들며, 많은 사회적 비용 증가를 유발시킨다. 특히 치매환자의 경우 사회생활 가능 여부는 기억력 저하가 주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이러한 이유로 기억력 저하 개선과 예방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대두되어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Alzheimer's disease로 인한 신체적인 피해 및 이것의 발병원인은 무엇입니까? Alzheimer's disease는 발병 원인이 뚜렷치 않으나, 일반 적으로 콜린성 신경의 손상, 산화적 스트레스, 아밀로이드 침착, 염증성 인자, 스테로이드호르몬의 결핍, 흥분성 신경 독성 등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고, 콜린성 신경세포 퇴화에 의한 acetylcholine의 부족이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Oh SK. 2005. Neurotransmetters and brain disease. Shinil Books Company, Seoul, Korea. p 345-364. 

  2. Kuhl DE, Koeppe RA, Minoshima S, Snyder SE, Ficaro EP, Foster NL, Frey KA, Kilbourn MR. 1999. In vivo mapping of cerebral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in aging and Alzheimer' disease. Neurology 52: 691-699. 

  3. Evans DA, Funkenstein HH, Albert MS, Scherr PA, Cook NR, Chown MJ, Hebert LE, Hennekens CH, Taylor JO. 1989. Prevalence of Alzheimer's disease in a community population of older persons. Higher than previously reported. JAMA 262: 2551-2556. 

  4. Bartus RT, Dean RL, Beer B, Lipas AS. 1982. The cholinergic hyphothesis of geriatic memory dysfuntion. Science 217: 408-414. 

  5. Colye JT, Price DL, DeLong MR. 1983. Alzheimer's disease: a disorder of cortical cholinergic innervation. Science 219:1184-1190. 

  6. Shudo K, Kagechike H, Yamazaki N, Igarashi M, Tateda C. 2004. A synthetic retnoid am80 (tamibarotene) rescues the memory deficit caused by scopolamine in a passive avoidance paradigm. Biol Pharm Bull 27: 1887-1899. 

  7. Tanabe F, Miyasaka N, Kubota T, Aso T. 2004. Estrogen and progesterone improve scopolamine-induced impairment of spartial memory. J Med Dent Sci 51: 89-98. 

  8. Davies P, Maloney AJ. 1976. Selective loss of central cholinergic neurons in Alzheimer's disease. Lancet 2: 1403. 

  9. Davis KL, Thal LJ, Gamzu ER, Davis CS, Woolson RF, Gracon SI, Drachman DA, Schneider LS, Whitehouse PJ, Hoover TM. 1992.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multicenter study of tacrine for Alzheimer's disease. N Engl J Med 327: 1253-1259. 

  10. Rogers SL, Farlow MR, Doody RS, Mohs R, Friedhoff LT. 1998. A 24-week, double-blind, pacebo-cotrolled trial of donepezil in patients with Alzheimer' disease. Neurology 50:136-145. 

  11. Rosler M, Anand R, Cicin-Sain A, Gauthier S, Agid Y, Dal-Bianco P. 1999. Efficacy and safety of rivastigmine in patients with Alzheimer' disease, internation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MJ 318: 633-638. 

  12. Tariot PN, Solomon PR, Morris JC, Kershaw P, Lilienfeld S, Ding C. 2000. A 5-month,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of galantamine in AD. The Galantamine USA-10 Study Group. Neurology 54: 2269-2276. 

  13. Lawrence CH, Wang BW, Lee TF 2006. Effects of ginseng saponins on ${\beta}$ -amyloid-imduced amnesia in rats. J Ethnopharmacol 103: 103-108. 

  14. LeDoux JE. 1993. Emotional memory system in the brain. Behav Brain Res 20: 69-79. 

  15. Morris R. 1984. Developments of a water-maze procedure for studying spatial learning in the rat. J Neurosci Methods 11: 47-60. 

  16. Lee MR, Yun BS, Park SY, Lym SY, Kim SN, Han BH, Sung CK. 2010. Anti-amnesic effect of Chong-Myung-Tang on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s in mice. J Ethnopharmacol 132: 70-74. 

  17. Villa-Caballero L, Nava-Ocampo AA, Frati-Munari AC, Ponce-Monter H. 2000. Oxidative stress should it be measured in the diabetic patient? Gac med Mex 136: 249-256. 

  18. Van der Zee EA, Biemans BA, Gekema MP, Daan S. 2004. Habitutation to a test apparatus during associative learning is sufficient to enhance muscarinic acetycholine receptorimmunoreactivity in rat suprachiasmatic nucleus. J Neurosci Res 78: 508-519. 

  19. Lozenzini CA, Bal E, Bucherelli C, Sacchetti B, Tassoni G. 1996. Role of dorsal hippocampus in acquisition, consolidation and retrieval of rat's passive avoidance response: a tetrodotoxin functional inactivation study. Brain Research 730: 32-39. 

  20. Seo JH, Woo SY, Kim YT, Kim MY, Park YM, Jin ZH, Bu YM, Kim HC. 2007. Enhancing effect of multiherb extracts HT008-1 on memory and cognitive function. Kor J Herbology 22: 51-58. 

  21. Kim EJ, Jung IH, Le TKV, Jeong JJ, Kim NJ, Kim DH. 2013. Ginsenosides Rg5 and Rh3 protect scopolamine-induced memory deficits in mice. J Ethnopharmacol 146:294-299. 

  22. Zhao H, Li Q, Pei X, Zhang Z, Yang R, Wang J, Li Y. 2009. Long-term ginsenoside administration prevents memory impairment in aged C57BL/6J mice by up-regulating the synaptic-related proteins in hippocampus. Behav Brain Res 201: 311-317. 

  23. Yamaguchi Y, Higashi M, Kobayashi H. 1997. Effects of ginsenosides on maze performance and brain choline acetyltransferase activity in scopolamine-treated young rats and aged rats. Eur J Pharmacol 329: 37-41. 

  24. Lee ML, Yun BS, Liu L, Zhang DL, Wang Z, Wang CL, Gu LJ, Wang CY, Mo EK, Sung CK. 2010. Effect of black ginseng on memory improvement in the amnesic mice induced by scopolamine. J Ginseng Res 34: 51-58. 

  25. Lee ML, Sun BS, Gu LJ, Wang CY, Mo EK, Yang SA, Ly SY, Sung CK. 2008. Effects of white ginseng and red ginseng extract on learning performance and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inhibition. J Ginseng Res 4: 341-346. 

  26. Saito H, Suba K, Schwab M, Thonen H. 1977. Potentiation of the NGF-mediated nerve fiber outgrowth by ginsenoside Rb1 in organ cultures of chick dorsal root ganglia. Jpn J Pharmacol 27: 445-451. 

  27. Benishin CG. 1992. Actions of ginsenoside Rb1 on cholin uptake in central cholinergic nerve ending. Neurochem Int 21: 1-5. 

  28. Choi X, Saji H, Iida Y, Magata Y, Yokoyma A. 1996. Ginseng pretreatment protects against transient global cerebral ischemia in the rat: measurement of local cerebral glucose utilization by deoxyglucose autoradiography. Biol Pharm Bull 19: 644-646. 

  29. Chu GX, Chen X. 1989. Protective effect of ginsenosides on acute cerebral ischemia-reperfusion injury of rats. China J Pharmacol Toxicol 3: 18-23. 

  30. Sloley BD, Pang PK, Huang BH, Ba F, Li FL, Benishin CG. 1999. American ginseng extract reduces scopolamine induced amnesia in spatial learning task. J Psychiatry Neurosci 24: 442-452. 

  31. Zang JT, Qu ZW, Liu Y, Deng HL. 1990. Preliminary study on antiamnestic mechanism of ginsenoside Rg1 and Rb1. Clin Med J 103: 932-938. 

  32. Salim KN, McEwen BS, Chao HM. 1997. Ginsenoside Rb1 regulates ChAT, NGF and tr kA mRNA expression in the rat brain. Brain Res Mol Brain Res 47: 177-182. 

  33. Bassett CN, Montine TJ. 2003. Lipoproteins and lipid peroxidation in Alzhimer's disease. J Nutr Health Aging 7:446-451. 

  34. Yokozawa T, Satoh A, Cho EJ. 2004. Ginsenoside Rd attenuates oxidative damage related to aging in senescenceaccelerated mice. J Pharm Pharmacol 56: 107-113. 

  35. Chun H, David DK. 2001. Free radical scavenging capacity as related to antioxidant activity and ginsenoside composition of Asian and North American ginseng extracts. JAOCS 78: 249-255. 

  36. Tian J, Fu F, Geng M, Jang Y, Yang J, Jiang W, Wang C, Liu K. 2005. Neuroprotective effect of 20(S)-ginsenoside Rg3 on cerebral ischemia in rats. Neurosci Lett 374: 92-97. 

  37. Liu ZQ, Luo XY, Liu GZ, Chen YP, Wang ZC, Sun YX. 2003. In vitro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e of ginsenoside and its antioxidative or prooxidative activity in free radical induced 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J Agric Food Chem 51: 2555-2558. 

  38. Kang KS, Kim HY, Beak SH, Yoo HH, Park JH, Yokozawa T. 2007. Study on the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changes of ginseng and ginsenoside-Rb2 by heat processing. Biol Pharm Bull 30: 724-728. 

  39. Lee SY, Kim DH, Woo WH. 2011.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Panax ginseng.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5: 115-1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