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바나나 숙도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Effects of ripeness degre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banana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0 no.4, 2013년, pp.475 - 481  

김재원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전공) ,  윤광섭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바나나 과피와 과육의 숙도에 따른 이화학적 및 기능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수분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반면 과육의 경우에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색도에서는 과피와 과육 모두 완숙일 때 높은 L 값을 보였고, 후숙 됨에 따라 급격히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b 값의 경우 후숙과로 경과되면서 급격히 저하되었다. 숙도가 진행됨에 따라 산도는 감소하고 가용성고형분 및 당산비는 증가하였다. 숙도가 진행됨에 따라 과피, 과육의 총당 및 환원당 함량은 증가하였고, 유리당 함량은 전반적으로 fructose 및 glucose가 주요한 구성당으로 그 함량이 증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전반적으로 과육에 비해 과피에서 높은 폴리페놀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숙도가 진행됨에 따라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항산화능의 경우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을수록 라디칼 소거활성이 높아지는 양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compare the changes in fruit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depending on the ripeness degree of the banana flesh and peel (unripe, ripe, and over ripe) when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6 days. The moisture contents showed differences such as the significant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나나의 과피 및 과육의 미숙, 완숙, 후숙에 따른 품질 및 항산화 특성을 검토하고 기능성 소재로서의 이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바나나 과피와 과육의 숙도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수분함량의 변화는? 바나나 과피와 과육의 숙도에 따른 이화학적 및 기능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수분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반면 과육의 경우에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색도에서는 과피와 과육 모두 완숙일 때 높은 L 값을 보였고, 후숙 됨에 따라 급격히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b 값의 경우 후숙과로 경과되면서 급격히 저하되었다.
바나나란 무엇인가? 동남아시아가 원산지로 알려진 바나나는 Musa속 musa-ceae과에 속하는 다년생 목상초본으로 열대 및 아열대 지방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는 과일이다. 농산물 수입자유화로 인하여 대부분 필리핀, 대만, 남미 등에서 수입되고 있으며 미숙과를 수확하여 운반이나 저장기간 동안 숙성 하여 식용하고 있다.
바나나의 약리학적 효능은 무엇인가? 바나나에 함유된 당질은 소화흡수가 잘되므로 위장 장애나 설사 또는 위하수 증세가 있는 사람에게도 좋은 식품이며,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칼로리에 비해 지방 함유가 적은 과실로 알려지고 있다(2). 약리적으로는 혈당저하, 체중감량, 인체 면역력 증강, 뇌졸중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면역 증강및 항산화 성분인 vitamin A와 β-carotene, 백혈구 형성에 필수적인 비타민 B6 등을 함유하여 노화방지 및 면역 증강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li M, Bhutani KK, Atal CK (1984) Chemical constituents of banana. J Sci Ind Res, 43, 316-323 

  2. Yu TJ (1991) Illustrated Guide to Korean food. Munundang, Seoul, Korea. p 159-160 

  3. Mitsou EK, Kougia E, Nomikos T, Yannakoulia M, Mountzouris KC, Kyriacou A (2011) Effect of banana consumption on faecal microbiota: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Anaerobe, 17, 384-397 

  4. Chiang BH, Chu WC, Chu CL (1987) A pilot scale study for banana starch production. Starch/Starke, 39, 5-8 

  5. Palmer JK (1963) Banana polyphenol oxidase. Preparation and properties. Plant Physiol, 38, 508-513 

  6. Horigome T, Sakaguchi E, Kishimoto C (1992) Hypocholes-terolaemic effect of banana (Musa sapientem L. Var. Cavendishii) pulp in the rat fed on a cholesterol containing diet. Br J Nutr, 68, 231-244 

  7. Cho YS, Jeong JH, Ryu CH (1996) Effect of condensed tannins prepared from banana (Musa Sapientum L.) fruit on digestive enzyme in vitro. Agric Chem Biotech 39, 477-481 

  8. Youn KS, Chang KS, Choi YH (1999) Optimization of osmotic dehydration for the manufacturing of dried banana.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55-60 

  9. Park JS, Lee YJ, Chum S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added with banana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509-1515 

  10. Koh HY, Park HW, Kang TS (1988) Effect of packaging methods on the storage of banana.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737-741 

  11. Soo HK, Koh, Young H (1999) Effects of ripening and storage temperatures on the quality of banana.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148-152 

  12. Garcia E, Lajolo FM (1988) Starch transformation during banana ripening: the amylose and glucosidase behavior. J Food Sci, 53, 1184-1181 

  13. Wainwrighy H, Hughes PA (1989) Objective measurement of banana pulp colour. Int J Food Sci Technol, 24, 553-558 

  14. Shantha HS, Siddappa GS (1970) Physicochemical nature of banana pseudostem starch. J Food Sci, 35, 72-74 

  15. Lee KO, Choi JY, Park SO, Lee TS (1995) Changes in free sugars and organic acids of banana fruit at various storage temperatures. Agric Chem Biotechnol, 38, 340-344 

  16. Kim HK, Lee BY, Shin DB, Kwon JH (1998) Effect of roasting conditions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chicory roo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279-1284 

  17. Kim JY, Yi YH (2010) pH, acidity, color, amino acids, reducing sugars, total sugars, and alcohol in puffed millet powder containing millet Takju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727-732 

  18.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19. Wilson AM, Work TM, Bushway AA, Bushway RJ (1981) HPLC determination of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in potatoes. J Food Sci, 46, 300-306 

  20. Dewanto V, Wu X, Adom KK, Liu RH (2002) Thermal processing enhances the nutritional value of tomatoes by increasing total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3010-3014 

  21. Saleh ES, Hameed A (2008) Total phenolic content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ertain Egyptian Ficus species leaf samples. Food Chem, 114, 1271-1277 

  2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23.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24. Saeedeh AD, Asna U (2007) Antioxidant proper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of mulberry (Morus indica L.) leaves. Food Chem, 102, 1233-1240 

  25. Franck C, Lammertyn J, Ho QT, Verboven P, Verlinden B, Nicolai BM (2007) Browning disorders in pear fruit. Postharvest Biol Technol, 43, 1-13 

  26. Kays JS (1991) Postharvest physiology of perishable plant product. AVI Publishing, New York 

  27. Wang SY, Lin HS (2000) Antioxidant activity in fruits and leaves of blackberry, raspberry and strawberry varies with cultivate and developmental stage. J Agric Food Chem, 48, 140-146 

  28. Ribereau-Gayon P, Glories Y, Maujean A, Dubourdieu D (2000) Handbook of Enology, volume 2: The chemistry of wine stabilization and treatments. John Wiley & Sons Ltd, Chichest, UK, p 129-157 

  29. Choi HG, Kang NJ, Moon BY, Kwon JK, Rho IR, Park KS, Lee SY (2013) Changes in fruit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depending on ripening levels, storage temperature, and storage periods in strawberry cultivars. Korean J Hort Sci Technol, 31, 194-202 

  30. Cha HS, Youn AR, Park PJ, Choi HR, Kim BS (2007) Comparison of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uel during matur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683-688 

  31. Middleton E, Kandaswami C, Theoharides TC (2000) The effects of plant flavonoids on mammalian cells: implications for inflammation, heart disease, and cancer. Pharmacol Rev, 52, 673-7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