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서장애 아동의 심리치료를 위한 동물로봇 디자인의 가이드라인
Guideline of Animal Robot Design for Psychotherapy of Emotionally Disturbed Childre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8, 2013년, pp.109 - 117  

문금희 (세명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정서장애 아동의 심리치료를 목적으로 한 동물로봇 디자인을 위해 필요한 대상동물 선정과 가이드라인 수립을 위한 연구이다. 정서장애 아동의 경우 자신의 정서 상태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므로 기존의 치료 및 교육 방법에 제약이 많다. 1990년대 후반부터 시도되기 시작한 동물모양 로봇의 활용연구 방법은 학습장애아들에게 효과적이다. 정서장애 아동의 심리치료를 위한 동물로봇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우선 어떤 동물을 대상으로 선정하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연구의 초기단계에는 정서장애 아동을 포함한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동물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통해 동물로봇의 대상을 결정하였다. 또한 어떤 형태의 동물을 가장 선호하는가에 대한 것도 선호도 조사하였다. 로봇의 외형디자인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인 형태, 색상, 표정, 소리 및 움직임 등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정서장애 아동의 심리치료를 위한 동물로봇을 디자인하는데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s for selection of animal and establishment of guideline which for animal robot design for the purpose of emotionally disturbed children's psychotherapy. In the case of emotionally disturbed children because of poor expression about themselves's emotional condition, there are many r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의 초기단계에는 정서 장애 아동을 포함한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동물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통해 동물로봇의 대상을 결정하였다. 그리고 어린이들이 선호하는 동물의 외형디자인을 파악하기 위해 어떤 형태의 동물을 가장 선호하는가에 대한 것도 연구 조사하였다. 동물의 형태는 캐릭터화된 형태, 기계적인 로봇의 형태, 실제 동물과 닮은 형태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 앞장의 기존 동물치료 로봇 연구동향 중 3. 동물치료 로봇의 디자 인 연구에서 선행 연구자들이 연구한 로봇디자인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파악하였다. 양승호 (2007)는 소재, 소재의 표면처리, 조형구조, 색상 등으로 구분하였고, 정성필(2008)은 주로 얼굴에 대해 눈의 형태, 눈의 수량, 코, 얼굴형태, 입 등으로 구분하였다.
  • 본 연구는 정서장애 아동의 심리치료를 목적으로 한 동물로봇 디자인을 위해 필요한 대상동물 선정과 가이드라인 수립을 위한 연구이다. 정서장애 아동의 경우 자신의 정서 상태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므로 기존의 치료 및 교육 방법에 제약이 많다.
  • 어떤 동물을 가장 선호하는가 하는 조사와 병행해서 어떤 형태의 동물을 가장 선호하는가에 대한 것도 연구 조사하였다. 동물의 형태는 캐릭터화된 형태, 기계적인 로봇의 형태, 실제 동물과 닮은 형태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 동물의 형태는 캐릭터화된 형태, 기계적인 로봇의 형태, 실제 동물과 닮은 형태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이 후 로봇의 외형디자인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동물로봇의 형태, 색상, 표정, 소리 및 움직임 등)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정서장애 아동의 심리치료를 위한 동물로봇을 디자인 하는데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치료사1 : 움직임이 많다면 일반적인 딱딱한 로봇과 비슷하게 디자인 될 것 같다. 촉감의 질도 떨어지지 않을까 생각 된다.
  • 치료사3 : 하얀색이나 실제 동물들의 색이 아이들에게 친숙하니까 가장 좋을 것 같다. 치료사1: 색이나 생김새는 경우에 따라 실제 동물의 모습과 가장 흡사한 것이 좋을 것 같다. 치료사1: 여자아이들의 경우에는 분홍색을 좋아한다.
  • 치료사1: 색이나 생김새는 경우에 따라 실제 동물의 모습과 가장 흡사한 것이 좋을 것 같다. 치료사1: 여자아이들의 경우에는 분홍색을 좋아한다. 남자아이들의 경우는 따로 선호하는 색은 없는 것 같다.
  • 치료사2: 고장 나는 것이 가장 문제점인 것 같다. 비슷하게 만들어진다고 해도 우선 살아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아이들이 힘 조절을 잘 못했을 경우 자주 고장이 날 것 같다.
  • 치료사2: 장애 아동의 경우 소리에 굉장히 민감하다. 소리가 기계음인 경우 싫어하는 아이들이 있고 굉장히 좋아하는 아이가 있다.
  • 남자아이들의 경우는 따로 선호하는 색은 없는 것 같다. 치료사2: 특별히 싫어하는 색은 없는 것 같다. 표현하기에 어려운 점도 있겠지만 옷이나 장난감을 선택하는 것에 있어서 색이 싫어서 거부감을 표현하는 경우는 없었다.
  • 치료사3 : 다양한 표정이 있다면 아이들에게 확실히 좋은 것 같다. 슬픔, 기쁨, 화난 모습 등이 표현된다면 효과적으로 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이 든다.
  • 치료사1: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강아지 형태의 로봇을 구매했는데 처음에는 아이들이 관심을 보였지만 너무 시끄럽고 기계음이 심해서 나중에는 아이들이 싫어했다. 치료사3: 아이들이 실제 동물소리를 내는 로봇이라면 충분히 흥미를 보이고 치료에도 효과가 있을 것 같다. 하지만 로봇의 경우에는 소리가 항상 나는 것도 아니고 고장이 나서 소리가 나지 않는 다면 그것도 문제가 되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990년대 후반부터 시도되기 시작한 동물모양 로봇의 활용 연구 방법은 누구에게 효과적인가? 따라서 이러한 동물 매개치료의 효과를 지니면서도 실제 동물이 가진 위험 요인이나 관리의 어려움이 없는 로봇치료가 대체 치료 방법으로 선택되어왔다. 1990년대 후반부터 시도되기 시작한 동물모양 로봇의 활용연구 방법은 학습장애아 들에게 효과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동물모양 로봇의 적용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하고, 그동안의 선행연구들도 주로 일본에서 노인요양시설의 노인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라 다양한 형태의 로봇개발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국내 ETRI의 KOBIE는 무엇인가? 최근 인간과 감성을 교류하기 위한 로봇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국내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KOBIE란 로봇은 사람과 로봇이 정서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만들어진 감성로봇이다. KOBIE는 얼굴, 소리 그리고 몸짓을 통하여 7 가지 감정표현(공포, 놀 라움, 기쁨, 분노, 슬픔, 부끄러움, 애매한)을 할 수 있다.
장애 아동의 정서를 실시간으로 인지하여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치료 시스템 개발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정서장애 아동의 심리치료를 목적으로 한 동물로봇 디자인을 위해 필요한 대상동물 선정과 가이드라인 수립을 위한 연구이다. 정서장애 아동의 경우 자신의 정서 상태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므로 기존의 치료 및 교육 방법에 제약이 많다. 따라서 장애 아동의 정서를 실시간으로 인지하여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치료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곽소나, 김은호, "인간의 공감을 위한 감성로봇디자인", 디자인학연구, 제22권, 제5호, pp.27-36, 2009. 

  2. 조정수, 권정민, 신동욱, "인지로봇의 자폐범주성 장애 중재 적용가능성 탐색", 자폐성장애연구, 제9권, 제2호, pp.45-60, 2009. 

  3. 양승호, "아동 선호도 조사에 근거한 로봇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발표논문, pp.24-25, 2007 

  4. 이동규, "로봇디자인을 위한 평가시스템개발에 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대회발표논문집, pp.124-125, 2003. 

  5. 이효신, 백상수, 구현진, 강원석, 김영덕, 홍종욱, 안진웅, "로봇과 자폐아동의 상호작용에 관한 실험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제25권, 제2호, pp.141-168, 2010. 

  6. 정성필, 허성철, "로봇디자인에 대한 선호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조형요소의 특성",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139-142, 2008. 

  7. 최정건, 김명석, "로봇디자인에서 의인화 기법의 활용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HCI학회 2008 학술대회, pp.976-980, 2008.  

  8. C. Breazeal, "Emotion and Sociable Humanoid Robots," Int'l J Human-Computer studies, Vol.59, No.1-2, pp.119-155, 2003. 

  9. F. Amirabdollahian, B. Robins, K. Dautenhahn, Z. Ji, "Investigating tactile event recognition in child-robot interaction for use in autism therapy," 33rd IEEE, 2011. 

  10. D. Feil-Seifer and M. J. Matari'c, B3IA: "A control architecture for autonomous robot-assisted behavior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17th IEEE, pp.328-333, 2008. 

  11. K. Wadal and T. Shibata, Robot Therapy in a Care House-Results of Case Studies-, Mental Commit Robot, pp.581-586,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