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활치료를 받는 뇌졸중과 척추손상 외래환자들의 주거환경개선에 대한 요구도 조사
Need Survey of Home Modification on Outpatient with Stroke and Spinal Cord Injury in Rehabilitation Center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8, 2013년, pp.324 - 333  

임경민 (세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이유나 (신촌 연세의료원 재활의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재활치료를 받는 뇌졸중과 척수손상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주거 유형, 장애유형, 일상생활 수행 정도에 따른 주거환경개선에 대한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의 재활병원이나 종합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는 환자 54명을 대상으로 2012년 1월 2일부터 2월 4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기술통계와 $x^2$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주거환경개선에 대한 요구도가 장애 유형에 따라 현관의 계단이나 출입문의 폭, 욕실의 공간이용, 세면대, 양변기, 욕조, 샤워기 걸이와 세면대 높이, 거실과 침실 부엌, 베란다 공간이용 등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주거 유형에 따른 주거환경 개선요구는 출입문의 센서 등, 욕실의 휴지걸이와 콘센트 덮개의 개선이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상생활 수행정도에 따라 출입문의 폭과 문턱, 욕실의 휴지걸이와 수건걸이, 미끄럼 방지 바닥재, 샤워기, 부엌의 공간과 식탁, 의자, 베란다의 공간이용과 문턱, 조명 밝기의 개선 요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주거 환경 개선에 대한 요구 정도가 장애유형, 주거 유형, 일상생활 수행 정도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 주거환경개선에 대한 평가와 치료적인 접근의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eed of home modification for outpatient with stroke and spinal cord injur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4 outpatients who have experience in rehabilitation therapy at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do.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coll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재활치료를 받는 뇌졸중과 척수손상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주거 유형, 장애유형, 일상생활 수행정도에 따른 주거환경개선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하여 재활프로그램의 하나로써 주거환경의 개선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립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재활치료를 받는 뇌졸중과 척수손상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주거 유형, 장애유형, 일상생활 수행정도에 따른 주거환경개선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하여 재활프로그램의 하나로써 주거환경개선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립하는 것이다. 따라서 재활치료를 받는 외래환자의 주거환경 실태를 파악하여 대상자가 거주하는 주거환경 내에서 개선을 바라는 사항을 장애유형, 주거 유형, 일상생활수행정도에 따라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재활치료를 받는 뇌졸중과 척수손상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주거 유형, 장애유형, 일상생활 수행정도에 따른 주거환경개선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고 주거환경개선에 대한 평가와 치료적 접근의 기초자료로써 활용하고자 함이다.
  • 본 연구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주거환경을 이미 개선한 대상자들은 개선비용을 큰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대부분의 주거환경개선이 환자를 파악하지 못한 인테리어 업자의 생각으로 개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적절한 비용 산출이 되지 않는 것으로 고려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활치료를 받는 뇌졸중과 척수손상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주거 유형, 장애유형, 일상생활 수행 정도에 따른 주거환경개선에 대한 요구도를 알아본 결과는? 서울 경기 지역의 재활병원이나 종합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는 환자 54명을 대상으로 2012년 1월 2일부터 2월 4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기술통계와 $x^2$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주거환경개선에 대한 요구도가 장애 유형에 따라 현관의 계단이나 출입문의 폭, 욕실의 공간이용, 세면대, 양변기, 욕조, 샤워기 걸이와 세면대 높이, 거실과 침실 부엌, 베란다 공간이용 등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주거 유형에 따른 주거환경 개선요구는 출입문의 센서 등, 욕실의 휴지걸이와 콘센트 덮개의 개선이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상생활 수행정도에 따라 출입문의 폭과 문턱, 욕실의 휴지걸이와 수건걸이, 미끄럼 방지 바닥재, 샤워기, 부엌의 공간과 식탁, 의자, 베란다의 공간이용과 문턱, 조명 밝기의 개선 요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주거 환경 개선에 대한 요구 정도가 장애유형, 주거 유형, 일상생활 수행 정도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 주거환경개선에 대한 평가와 치료적인 접근의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구조환경 변형은 무엇인가? 주거환경개선은 집안이나 현관에 있는 물리적인 환경의 장애물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리프트 제공, 경사로, 화장실 구조 변경 같은 집의 구조적인 변형을 말한다[6]. 구조환경 변형은 기능적인 제한으로 인해 샤워하기, 옷 입기 같은 일상생활 능력과 집안일, 식료품 사기 같은 수단적인 일상생활능력이 감소한 사람들에게 개인적인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는 것으로 환경적인 변화에 적응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6].
주거환경개선이란? 주거환경개선은 집안이나 현관에 있는 물리적인 환경의 장애물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리프트 제공, 경사로, 화장실 구조 변경 같은 집의 구조적인 변형을 말한다[6]. 구조환경 변형은 기능적인 제한으로 인해 샤워하기, 옷 입기 같은 일상생활 능력과 집안일, 식료품 사기 같은 수단적인 일상생활능력이 감소한 사람들에게 개인적인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는 것으로 환경적인 변화에 적응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년도 장애인실태조사, 2001. 

  2. 박창식, 송병호, "뇌졸중 환자의 낮병동 프로그램이 도구적 일상생활 활동 수행능력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1호, pp.267-277, 2012. 

  3. 리해근, 하규수, "일상생활요인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280-292, 2012. 

  4. F. C. Martin, D. Hart, T. Spector, D. V. Doyle, and D. Harari, "Fear of falling limiting activity in young-old women is associated with reduced functional mobility rather than psychological factors," Age Ageing, Vol.34, No.3, pp.281-287, 2005 

  5. A. Fange and S. Iwarsson, "Changes in accessibility and usability in housing: an exploration of the housing adaptation process,"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Vol.12, No.1, pp.44-59, 2005. 

  6. I. Petersson, M. Lilja, J. Hammel, and A. Kottorp, "Impact of home modification services on ability in everyday life for people ageing with disabilities," J.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40, No.4, pp.253-260, 2009. 

  7. W. C. Mann, K. J. Ottenbacher, L. Fraas, M. Tomita, and C. V. Granger, "Effectiveness of assistive technology and environmental interventions in maintaining independence and reducing home care costs for the frail elderl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ives of Family Medicine, Vol.8, No.3, pp.210-217, 1999. 

  8. K. Makigami and J. Pynoos, "The evolution of home modification programs in Japan," Ageing International, Vol.27, No.3, pp.95-112, 2002. 

  9. L. N. Gitlin, M. Corcoran, L. Winter, A. Boyce, and W. W. Hauck,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 home environmental intervention: effect on efficacy and upset in caregivers and on daily function of persons with dementia," Gerontologist, Vol.41, No.1, pp.4-14, 2001. 

  10. A. Fange and S. Iwarsson, "Changes in ADL dependence and aspects of usability following housing adaptation : A longitudinal perspective,"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59, No.3, pp.296-304, 2005 

  11. H. Hoenig, L. R. Landerman, K. M. Shipp, and L. George, "Activity restriction among wheelchair users," J.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51, No.9, pp.1244-1251, 2003. 

  12. H. W. Wahl, A. Fange, F. Oswald, L. N. Gitlin, and S. Iwarsson, "The home environment and disability-related outcomes in aging individuals: what is the empirical evidence?," The Gerontologist, Vol.49, No.3, pp.355-367, 2009. 

  13. 이현희, "휠체어 사용 중증 지체장애인의 자립 생활을 위한 주택개조 사례 연구", 재활복지, 제11권, 제3호, pp.96-119, 2007. 

  14. 박혜연, 조덕연, 이주현, 김한솔, 정민예, "안전한 노인주거환경 개선의 효과",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제2권, 제2호, pp.11-22, 2010. 

  15. 김한솔, 가정환경 수정이 농촌 노인들의 작업 수행도 및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원주, 2011. 

  16. 이성아, 김현아, "지체장애인을 위한 주거환경 개선 : 팀접근식", 제12권, 제2호, pp.1-14, 2004. 

  17. 김정자, 백현희, "척추손상인의 주택개조 요구도",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2권, 제1호, pp.49-57, 2008. 

  18. 박주열, 중증장애인 주거생활실태와 주거개선 욕구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공회대학교, 서울, 2006. 

  19. 하해화, 노화특성 유형별 유비쿼터스 홈서비스를 적용한 주택개조,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서울, 2010. 

  20. K. Hachisuka, H. Ogata, H. Ohkuma, S. Tanaka, and K.. Dozono, "Test-retest and inter-method reliability of the self-rating Barthel Index," Clinical rehabilitation, Vol.11, No.1, pp.28-35, 1997. 

  21. J. Close, M. Ellis, R. Hooper, E. Glucksman, S. Jackson, and C. Swift, "Prevention of falls in the elderly trial (PROFET) :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Lancet, Vol.353, No.9147, pp.93-97, 1999. 

  22. W. Permsirivanich, S. Tipchatyotin, K. Piravej, U. Juntawises, V. Kuptniratsaikul, and A. Ma-A-Lee, "Factors Influencing Home Modification of Stroke Patients," Medical journal of the Medical Association of Thailand, Vol.92, No.1, pp.101-107, 2009. 

  23. S. Allen, L. Resnik, and J. Roy, "Promoting independence for wheelchair users: The role of home accommodations," The Gerontologist, Vol.46, No.1, pp.115-123, 2006. 

  24. 안성준, 김상운, 강병근, "후천적장애인의 주거 개조 방향에 관한 연구-휠체어 사용자를 중심으로-", 대한 건축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24권, 제 2호, pp.347-350, 20004. 

  25. K. Johansson, M. Lilja, I. Petersson, and L. Borell, "Performanc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a sample of applicants for home modification services,"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14, No.1, pp.44-53, 2007. 

  26. I. Petersson, A. Kottorp, J. Bergstrom, and M. Lilja, "Longitudinal changes in everyday life after home modifications for people aging with disabilities,"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16, No.2, pp.78-87, 2009. 

  27. M. Haak, A. Fange, V. Horstmann, and S. Iwarsson, "Two dimensions of participation in very old age and their relations to home and neighborhood environment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62, No.1, pp.77-86, 2008. 

  28. L. Clemson, A. Cusick, and C. Fozzard, "Managing risk and exerting control: determining follow through with falls prevention," Disability Rehabilitation, Vol.21, No.12, pp.531-541, 1999. 

  29. L. N. Gitlin, K. S. Miller, and A. Boyce, "Bathroom modifications for frail elderly renters: Outcomes of a community-based program," Technology and Disability, Vol.10, No.3, pp.141-149, 1999.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