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동강 하구역 식물플랑크톤 생물상 변동과 출현종 고찰
Literature Survey on the Phytoplankton Flora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6 no.4, 2013년, pp.467 - 487  

정익교 (부산대학교 해양학과) ,  김남림 (부산대학교 해양학과) ,  송은혜 (부산대학교 해양학과) ,  이지은 (부산대학교 해양연구소) ,  이상래 (부산대학교 해양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ong-term and systematic monitoring of phytoplankton is important, as phytoplankton serve as indicators of water quality status in aquatic environments. In the present study, the plankton community structure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over the past 30 years was investigated by literature survey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낙동강 하류 수역의 종다양성을 변동을 문헌들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지난 30여 년간 문헌에 보고된 플랑크톤 출현종은 검토 결과 18개의 분류군이 보고되었고, 총 876종이 확인되었다.
  • , 2012). 본 연구는 최근 30여 년 동안 낙동강 하구역에서 보고된 플랑크톤 다양성에 대한 자료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출현 종을 파악하여, 추후 인위적인 유역과 연안역 환경 변화 및 기후변화 등 연구에 바탕이 되는 수생태계 플랑크톤 연구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플랑크톤 군집구조 연구는 수생태계 연구의 근간인 이유는? 이들은 일반적으로 광합성을 하는 식물플랑크톤과 식물플랑크톤이나 다른 생물을 포식하는 동물플랑크톤, 박테리아 등이 속하는 미소플랑크톤으로 나눌 수 있으며, 저서 환경에 서식하는 조개류, 굴, 해조류와 같은 생물은 생활사 중 일부인 유생시기를 플랑크톤 생활형으로 보내는 종도 포함한다. 이러한 플랑크톤 중 식물플랑크톤은 수생태계에서 일차 생산자로서 먹이사슬의 바탕을 이루며, 동물플랑크톤은 일차 소비자로 영양염 순환 과정에 기여하는 동시에 어류나 다른 생물의 먹이로써 생태계 먹이망 안에서 중요한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들의 플랑크톤 군집구조 연구는 수생태계 연구의 근간이다.
플랑크톤이란? 플랑크톤은 바다, 강, 호수 등 수생태계의 표영계 상부에 서식하는 생물의 총칭이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광합성을 하는 식물플랑크톤과 식물플랑크톤이나 다른 생물을 포식하는 동물플랑크톤, 박테리아 등이 속하는 미소플랑크톤으로 나눌 수 있으며, 저서 환경에 서식하는 조개류, 굴, 해조류와 같은 생물은 생활사 중 일부인 유생시기를 플랑크톤 생활형으로 보내는 종도 포함한다.
식물플랑크톤은 무엇인가? 이들은 일반적으로 광합성을 하는 식물플랑크톤과 식물플랑크톤이나 다른 생물을 포식하는 동물플랑크톤, 박테리아 등이 속하는 미소플랑크톤으로 나눌 수 있으며, 저서 환경에 서식하는 조개류, 굴, 해조류와 같은 생물은 생활사 중 일부인 유생시기를 플랑크톤 생활형으로 보내는 종도 포함한다. 이러한 플랑크톤 중 식물플랑크톤은 수생태계에서 일차 생산자로서 먹이사슬의 바탕을 이루며, 동물플랑크톤은 일차 소비자로 영양염 순환 과정에 기여하는 동시에 어류나 다른 생물의 먹이로써 생태계 먹이망 안에서 중요한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들의 플랑크톤 군집구조 연구는 수생태계 연구의 근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ahk JR, Ha K, Son YJ and Joo GJ. 2001. Seasonal variation in the phytoplankton and bacterial fauna in the mid to lower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J Korean Environ Sci Soc 10, 259-267. 

  2. Cho KJ. 1989. The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diatoms along environmental gradient of sediment from the Naktong river estuary, Korea.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91, 28 Plates. 

  3. Cho KJ. 2001. Phytoplankton and eutrophication of the lower Nakdong River. In: Ecology and application of algae in Korea. Lee IK, ed. Academy Publ Co, 75-94. 

  4. Cho KJ and Shin JK. 1997. Dynamics of inorganic N P nutrient and planktonic algae during summer and winter in downstream of the Naktona River. Korean J Limnol 31, 67-75. 

  5. Cho KJ, Chung IK and Lee JA. 1993. Seasonal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Naktong River estuary, Korea. Korean J Phycol 8, 15-28. 

  6. Choi AR, Oh HM and Lee JA. 2002. Ecological study on the toxic Microcystis in the lower Nakdong River. Algae 17, 171-186. 

  7. Choi CM, Kim JH, Kim WI, Lee JS, Jung GB, Lee JT and Moon SG. 2007. Phytoplankton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in the lower Nakdong River. Korean J Environ Agriculture 26, 159-170. 

  8. Chung IK, Kang YJ, Kwon OS and Seo JK. 2000. The ecology of phytoplankton in the Naktong estuary. Algae 15, 99-110. 

  9. Chung J, Kim HS and Kim YJ 1994. Structure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dam. Korean J Limnol 27, 33-46. 

  10. Chung YH, Noh KH and Lee OM. 1987. As s standpoint of phytoplankton, the guideline of water quality management in Nakdong estuary. Korean J Environ Biol 5, 51-60. 

  11. Ha K, Cho EA, Kim HW and Joo GJ 1999. Microcystis bloom formation in the lower Nakdong River, South Korea: importance of hydrodynamics and nutrient loading. Marine Freshwater Res 50, 89-94. 

  12. Ha K, Jang MH and Joo GJ. 2003. Winter Stephanodiscus bloom development in the Nakdong River regulated by an estuary dam and tributaries. Hydrobiologia 506, 221-227. 

  13. Hyun BG, Shin KS, Kim, DS, Kim YO, Joo HM and Baek S-H. 2011. Understanding of phytoplankton community dynamics through algae bioassay experiment during winter season of Jinhae Bay, Korea. J Ocean Soc Korea: The Sea 16, 27-38. 

  14. Industrial Sites & Water Resources Development Corporation (ISWACO) 1987. The ecological baseline studies in the estuary of Nakdong river (1986-87). 409. 

  15. Jeong KS, Recknagel F, and Joo GJ. 2006. Prediction and elucidation of population dynamics of the blue-green algae Microcystis aeruginosa and the diatom Stephanodiscus hantzschii in the Nakdong River-Reservoir System (South Korea) by a recurrent artificial neural network. In: Ecological Informatics. Springer Berlin Heidelberg. 255-273. 

  16. Kim BK, Lee SR, Lee JA and Chung IK. 2010. Molecular monitoring of plankton diversity in the Seonakdong River and along the coast of Namhae. J Ocean Soc Korea: The Sea 15, 25-35. 

  17. Kim HS, Kim YJ, Park CW and Chung J. 1994. Unreported fresh-water algae in Korea. J Plant Biol 37, 131-139. 

  18. Kim HW, Chang KH and Joo GJ. 2005. Characteristics and inter-annual variability of zooplankton dynamics in the middle part of the river (Nakdong River). Korean J Limnol 38, 412-419. 

  19. Kim HW, Ha K and Joo GJ. 1998. Eutrophication of the lower Nakdong River after the construction of an estuarine dam in 1987. Int Rev Hydrobiol 83, 65-72. 

  20. Kim HW, Hwang SJ and Joo GJ. 2000. Zooplankton grazing on bacteria and phytoplankton in a regulated large river (Nakdong River, Korea). J Plankton Res 22, 1559-1577. 

  21. Kim JW and Lee HY. 1991. Study on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reservoir of Nakdong river estuary. Korean J Limnol 24, 143-151. 

  22. Kim YJ. 2004. Monthly variation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med and lower parts of the Nakdong River. Algae 19, 329-337. 

  23. Lee JA, Choi AR and Watanabe M. 1997. Taxonomic implications of the Genus Microcystis (Cyanophyceae) from the Naktong river. Algae 12, 167-176. 

  24. Lee JE, Lee SR, Youn SH, Chung SO, Lee JA and Chung IK. 2012. Molecular Monitoring of Eukaryotic Plankton Diversity at Mulgeum and Eulsukdo in the Lower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J Ocean Soc Korea: The Sea 17, 160-180. 

  25. Lee JH, Choi JS, Kim YJ and Chung J. 1995. Flora of planktonic diatoms in the Naktong River estuary, Korea. Korean J Limnol 28, 35-47. 

  26. Lee JH, Kwon JN and Yang SY. 2002. Seasonal varia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Nakdong river. Algae 17, 267-273. 

  27. Lee SR, Oak JH, Chung IK and Lee JA. 2010. Effective molecular examination of eukaryotic plankton species diversity in environmental seawater using environmental PCR, PCRRFLP, and sequencing. J Appl Phycol 22, 699-707. 

  28. Lim BJ, Kim BC, Yoo KI and Ryu JK. 1997. Changes in zooplankton community during the Blue - green algal bloom in the Nakdong River. Korean J Limnol 30, 337-346. 

  29. Moon CH and Choi HJ. 1991. Studies o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phytoploankton community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J Ocean Soc Korea 26, 144-154. 

  30. Moon SG, Chung JM and Choi CM. 2001. The structure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middle-lower part of the Nakdong River. J Korean Environ Sci Soc 10, 41-45. 

  31. Noh JS, Kim SG, Ryu JI. 1994. A research on algae dynamics in downstream of Nakdong River. J Korean Soc Water Waste Water Treatment Technol 2, 11-23. 

  32. Seo JK and Chung IK. 1994. The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in the Nakdong River mouth. Korean J Limnol 27, 227-250. 

  33. Seo JK, Lee HJ and Chung IK. 2010. The community dynamics of microbial food web during algal bloom by Stephanodiscus spp. in downstream of Nakdong River. Korean J Envirron Biol 28, 172-178. 

  34. Suthers IM and Rissik D. 2008. Plankton: a guide to their ecology and monitoring for water quality. CSIRO Publishing, Collingwood. Australia. 256. 

  35. Yang SR, Song HS, Moon CH, Kwon KW and Han-Seob Yang HW. 2001. Changes in Marine Environment and Primary Production due to Freshwater Input in the Nakdong Estuary. Algae 16, 165-177. 

  36. Yoon J, Lee JE, Lee SR, Rho T, Lee JA, Chung IK and Lee T. 2012. Metagenomic approach on the eukaryotic plankton biodiversity in coastal water of Busan (Korea). J Ocean Soc Korea: The Sea 17, 59-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