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융복합 공간정보의 국토계획 분야 활용가능성 분석 - LH 국토·주택관련 미래사업 예시를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the Possibility for Using Converged Spatial Information(CSI) in National Territorial Planning - The Case Study of LH's Future Business about Land and Housing 원문보기

한국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21 no.4, 2013년, pp.71 - 81  

최준영 (Spatial information office,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간정보의 폭발적 증가와 공간정보 활용 기술의 발전으로 국토의 비교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공간정보와 도시계획 및 부동산 정보 융복합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토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융복합 공간정보의 장래 국토공간 계획 및 이용 활용도를 전망해 보았다. 이를 위해 국토, 주택분야 공기업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장래 2029년까지 6대 분야별 미래사업을 도출하였다. 또한 문헌조사를 통해 도출한 7종의 융복합 공간정보의 미래사업 분야별 활용도를 설문조사하여 국토주택개발 분야의 미래 활용을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3D, 모바일 데이터, 정형 빅데이터, 지오센서, 참여형 공간정보 순으로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업분야에서는 도시 및 지역개발이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 융복합 공간정보 활성화를 위해서는 토지이용 이외에 해양이용, 연안이용, 지하공간 등 균형있는 국토이용 공간정보의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explosively increasing utilization in spatial information and a rapid development in geospatial technology related to national territorial and housing, there are increasing demands for converging spatial information on not only urban planning and real estate data but also newly generated dat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국토가 경쟁하면서 기업을 유치하고 외부 직접 투자를 유인하기 위해 물리적 외부효과, 접근성, 환경의 질과 같은 요소를 통한 입지경쟁력 강화와 같은 국토계획에 공간정보가 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문에서는 국토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활용될 수 있는 공간정보의 범위를 공간정보와 연계하여 활용이 가능한 모든 정보라고 할 수 있는 융복합 공간정보(Converged Spatial Information)로 확장하여 활용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최근에는 공간정보 기반의 융복합화 현상이 공간정보의 활용을 확산시키고 있어 공간정보산업의 경제적 잠재성과 발전가능성까지도 증가시키고 있다[5].
  • 토지이용정보1) 및 주택공간정보의 계획분야 활용 사례에서와 같이 분석목적에 맞는 공간단위(spatial unit of analysis)의 설정과 연계정보의 구축 및 활용방안 마련이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9, 25]. 따라서 공간정보기술이 계획업무에 적용되는 시차를 감안할 때 현재보다는 미래 국토계획업무의 적용가능성을 분석하여 활용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미래 국토는 인구구조 양상 및 도시비전의 변화에 따른 도시의 축소(urban shrinkage), 미이용 국토공간의 이용 등과 같은 패러다임의 변화가 예상되어 다양한 공간정보 활용 및 분석 방법이 요구된다[21].
  • 본 논문은 융복합 공간정보의 국토분야 활용 가능성을 전망해 보기 위해 LH의 국토 및 주택과 관련된 미래 사업을 사례로 선정하여 활용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계획에서의 정보수요 분석을 통해 융복합 공간정보를 도출하기 위한 계획단계별 공간정보 분석 및 활용사례 발굴을 제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융복합은 무엇으로 해석할 수 있는가? 융복합(融複合)은 융합(融合)과 복합(複合)의 개념이 합쳐 조어된 용어로 해석할 수 있다. 사전적으로 융합(fusion)은 녹아서 하나로 합쳐지는 것이고, 복합 (complex)은 두 가지가 하나로 합쳐지는 것을 의미한다.
복합이 의미하는 것은? 융복합(融複合)은 융합(融合)과 복합(複合)의 개념이 합쳐 조어된 용어로 해석할 수 있다. 사전적으로 융합(fusion)은 녹아서 하나로 합쳐지는 것이고, 복합 (complex)은 두 가지가 하나로 합쳐지는 것을 의미한다. 융복합(convergence)이라는 개념은 공간정보 분야에서는 공간정보와 다른 요소를 융합 혹은 복합하는 활동으로 정의하고 있고, 기업 활동과 관련해서는 서로 다른 경영과 기술 등을 결합하여 신기술․신제품․신서비스를 개발함으로써 새로운 분야로의 사업화 능력을 높이는 활동 등으로 정의할 수 있다[31].
도시정보 피라미드는 층마다 어떤 업무기능을 두었는가? 도시정보를 다루는 조직과 관련해서 도시정보 피라미드(Urban Information Pyramid)의 개념을 도입한 Huxhold는 계획 단계별 정보 수요를 분석하였다[18]. 이 피라미드에서는 최하층에 시행(operation), 중간에 관리(management), 최상위층에 정책(policy)의 업무 기능을 두었다. 이때에 수평단계에서는 서로 다른 정보가 결합되고 수직방향으로는 데이터가 요약되어 총체적인 정보가 이용된다고 보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tty, M. 2012, Editorial: Smart Cities, big data,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39:191-193. 

  2. BBSR. 2003, Szenarien zur Raumentwicklung, Raum - und Siedlungsstrukturen Deutschlands 2015/2040.(http://www.bbsr.bund.de) 

  3. Camagni, R. 2002, On the Concept of Territorial Competitiveness: Sound or Misleading?, Urban Studies, 39(13):2395-2411. 

  4. Cho, C. M; Chung, M. S. 2010, U-City Service Space Realization Strategies in Digital Convergence Era,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18(2):77-88. 

  5. Cho, W. S. 2011, Book review: Geospatial Information Convergence is prerequisite for acting geospatial information policy, Monthly National Territory, 358:156-157. 

  6. Choi, B. M; Kim, H. J; Seo, D. J. 2010, Urban Information and GIS, Daewangsa:Seoul. 

  7. Choi, B. N; Lee, Y. J; Kong, H. K. 2010, A Study on Value Chain and Dynamic Effects of Geospatial Information Convergence, KRIHS. 

  8. Choi, J. W. 2009, Urban Regeneration Information an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Seminar on the Smart Urban Renaissance based on the NSDI, KNHC. 

  9. Choi, J. Y; Kim, T. G. 2012,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Housing Geospatial Information for the Integrated use of Housing Supply Model,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0(6):1-11. 

  10. Cheshire, J; Batty, M. 2012, Editorial: Visualization tools for understanding big data,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39: 413-415. 

  11. DATAR. 2011, Territoires 2040.(http://www.datar.gouv.fr) 

  12. DIACT. 2006, Territoires 2030. 

  13. Drummond, W. J; Steve, P. F. 2008, The Future of GIS in Planning: Converging Technologies and Diverging Interests,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4(2):161-174. 

  14. ESPON. 2007, Scenarios on the territorial future of Europe, ESPON(http://www.eson.eu). 

  15. Haklay, M. 2010, How good is 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 A comparative study of OpenStreetMap and Ordnance Survey datasets,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37:682-703. 

  16. Heikkila, E. J. 1998, GIS is Dead; Long Live GIS!,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64(3):350-360. 

  17. Hur, J. Y; Kim, D. J; Kim, M. S; Kang, M. G; Park, J. H. 2012, Future Agenda and Policy Direction for National Territorial Development, KRIHS. 

  18. Huxhold, W. E. 1991, An introduction to urba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Oxford university press. 

  19. Kim, D. J; Lee, S. J; Lee, Y. W; Moon, J. H; Lee, S. J; Nam, G. C; Park, J. H; Lee, G. M. 2012, Pioneering the future national territory and new balanced development strategy, KRIHS. 

  20. Korea Planners' Association. 2010, GIS of spatial information utilization for urban planning and management, Bo-seong-gak. 

  21. Land, S; Haase, D; Seppelt, R; Schwarz, N. 2012, Simulating demography and housing demand in an urban region scenarios of growth and shrinkage,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39: 229-246. 

  22. Land and Housing Research Institute(LHI). 2010, Megatrend and 2030 LH Grand vision, LHI. 

  23. Land and Housing Research Institite. 2011, A study on the pilot system development for LH spatial information utilization, LHI. 

  24. Lee, H. J. 2009, Development strategy for Urban Renaissance Informatization(URI), Seminar on the Smart Urban Renaissance based on the NSDI, LH. 

  25. Lee, J. I; Kang, Y. O. 2005,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usage of urban land use information system in Seoul, Seoul Development Institute. 

  26. Lee, Y. W; Kim, S. H; Son, H. G; Kim, D. H; Park, J. H; Im, J. Y. 2012, Future Prospect Strategies for National Territorial Development(I), KRIHS. 

  27. LH. 2012, LH Sustainability Report 2012, LH. 

  28. MLTM. 2011, Development of overseas expansion consulting program for best practice case of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MLTM. 

  29. MLTM. 2012, Spatial Big Data Master Plan for envision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MLTM. 

  30. Reads, J; Calabresse, F; Ratti, C. 2009, Eigenplaces: analysing cities using the space-time structure of the mobile phone networks,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36:824-836. 

  31. Advanced search service in Dictionary of IT term(http://terms.naver.com).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