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새로운 단일원점 평면직각좌표계 설정
Establishment of New Single Origin Plane Rectangular Coordinate System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1 no.3, 2013년, pp.183 - 192  

김태우 (Dept.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  윤홍식 (Dept.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  이동하 (Dept.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  김건수 (Geographic Information Division,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  고영창 (Geospatial Imagery Information &Photogrammetry Division,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전 세계적으로 국가별, 기관별, 목적별로 다양하게 구축된 공간정보를 단일한 위치기반으로 하는 데이터로 통합함으로써 각 자료 간 연계성 및 활용성을 높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국가측지기준의 도입에 따른 위치기준의 변화와 공간정보 분야의 seamless 데이터 서비스 요구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새로운 국가 단일원점 평면직각좌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한반도 전역을 투영영역으로 설정하고 투영영역 내 발생하는 투영왜곡을 분석함으로써 이를 균질화 및 최소화할 수 있는 투영파라미터를 정의하였으며, 이에 대한 표준화 및 국제기구 등록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국가 단일원점 평면직각좌표계를 위한 최적의 투영식은 Hooijberg 투영식으로 분석되었으며, TM 투영을 위한 5가지 투영파라미터는 위도(${\Phi}$) $38^{\circ}N$, 경도(${\lambda}$) $128^{\circ}E$, 축척계수(K) 0.99924로 각각 분석되었다. 또한, 투영원점(${\Phi}$, ${\lambda}$)에 대한 가수값(false Northing & Easting)은 국가지점번호제도의 도입을 고려하여 북쪽방향 700,000m, 동쪽방향 400,000m로 각각 설정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 worldwide trend, the spatial information that is established by country, institution and purpose is integrated into the data with a single spatial reference to improve the data connectivity and usability. In this study, a new national single origin plane rectangular coordinate system was stud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 지도제작 범위를 고려하고 기본지리정보구축지침에 명시된 전 국토가 포괄하기 위해 Table 5의 국토지리정보 통계자료에 기초하여 경도 8˚ 간격(124˚ E∼132˚ E)으로 하는 투영영역을 새로이 정하였다.
  • 본 연구는 이러한 새로운 구조의 지리정보 서비스 도입에 따른 사용자들의 혼란을 방지하고, 국가 공간정보의 활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새로운 단일원점 평면직각좌표계 정립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중앙자오선을 투영영역의 중앙에 위치시킴으로써 TM투영 시에 발생하는 동·서방향의 왜곡을 균질하게 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육지와 섬을 포함한 투영영역의 가운데에 해당하는 경도 128° E를 중앙자오선으로 결정하였다.
  • 우선 행정안전부에서 국가 지점번호제도 도입을 위하여 고려한 UTM과 수정된 UTM-K 좌표계를 검토하였으며, 기존의 수정 TM투영체계(UTM-K)의 도입 근거와 배경을 조사 및 정리함으로써 새로운 국가표준의 단일원점 평면직각좌표계(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국가측지기준의 도입에 따른 위치기준의 변화와 한반도를 포괄하는 단위에서의 통합된 정보관리를 지원하고, 기관간의 정보공유를 위한 교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단일원점 평면직각좌표계 설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현행 단일원점 평면직각좌표계인 수정 TM투영체계에 대한 검토와 함께 새로운 단일원점 평면직각좌표계로의 연계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행정안전부 등 4개 부처에서 추진하고 있는 국가지점번호제도의 효율적 구축 및 활용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 다섯 번째, 단일원점 평면직각좌표계의 투영원점과 좌표원점을 일원화하기 방안으로 원점가수값으로 700,000m (N)과 400,000m (E)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수치표현의 단순화하여 추가적인 변환으로 인한 불편을 해소함으로써 단일원점 평면직각좌표계의 활용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국가측지기준의 도입에 따른 위치기준의 변화와 한반도를 포괄하는 단위에서의 통합된 정보관리를 지원하고, 기관간의 정보공유를 위한 교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단일원점 평면직각좌표계 설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현행 단일원점 평면직각좌표계인 수정 TM투영체계에 대한 검토와 함께 새로운 단일원점 평면직각좌표계로의 연계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행정안전부 등 4개 부처에서 추진하고 있는 국가지점번호제도의 효율적 구축 및 활용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투영식은 무엇인가? 투영식(projection equation)은 측지기준계 기준면인 타원체상의 구면좌표(Φ,λ)를 평면상의 좌표(x,y)로 변환하기 위한 수학적 절차와 방법이다.
TM(Transversive Mercator) 투영식이라고도 부르는 우리나라 국가기본도 제작에 이용된 투영식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국가기본도는 Gauss-Krüger 투영식을 이용하여 제작되었으며, 1970년대 이후 실시된 정밀 1, 2차 기준점 측량에서도 Gauss-Krüger 투영식을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Gauss-Krüger 투영식에 의한 좌표는 투영원점을 포함하는 타원체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원통을 씌워, 그 원통에 타원체면을 투영하여 이를 평면으로 전개한 좌표이다. 따라서 이 투영식을 TM(Transversive Mercator) 투영식이라고도 부른다(NGⅡ, 2011).
국가 지점번호제도가 KTM 및 UTM과 같은 기존의 다 투영영역에서의 비건물 지역에 대한 위치표시 방식을 개선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행정안전부에서는 국가 기초행정인프라 전환의 일환으로 전국을 단일한 위치기반으로 표현하는 국가 지점번호제도의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 국가 지점번호제도는 산악·농경지·바닷가·도시 등 건물이 없는 지역의 위치를 단일 투영영역 (unique projection region)을 기반으로 표시함으로써 KTM 및 UTM과 같은 기존의 다 투영영역(multi-projection region)에서의 비건물 지역에 대한 위치표시 방식을 개선할 수 있다. 행정안전부는 국가지점번호체계도 상에서의 위치표시를 위해 UTM 또는 수정 TM투영체계를 고려하고 있으며, 수정 TM투영체계의 경우에는 투영원점을 기준으로 남쪽방향으로 700,000m, 서쪽방향으로 500,000m 떨어진 지점을 기준으로 지점번호를 부여할 계획이다(MOPAS,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NGII) (2001), Development of Coordinate Transformation Tool for Existing Digital Map (I), NGII Publication No. 11-1500148- 000024-14,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 Suwon, pp. 44-5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NGII) (2006), A Study on Standard of National Lattice Scheme, NGII Publication No. 11-1500714-000052-01,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 Suwon, pp. 20-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NGII) (2007), A Study on Standardization of 2007 Geographic Information, NGII Publication No. 11-1500714-000068-10,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 Suwon, pp. 77-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NGII) (2011), A Study on Standardization of 2011 Spatial Information, NGII Publication No. 11-1611265-000054-10,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 Suwon, pp. 96-2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MOLTMA) (2009), A Guideline for Establishing Framework Data,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4p. (in Korean) 

  6. Kim, K., Baek, I. (2011), Utilization of Public Services through Advancement of the Primary Administrative Infra, Surveying and Mapping Magazine, No. 116, pp. 64-69. (in Korean) 

  7. Suh, Y. (1999), A Research of the Optimized Map Projection in Korea, Ph.D.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Korea, pp. 16-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MOPAS) (2011), Road Name Address Act Enforcement Ordinance Revised Bill,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4p. (in Korean) 

  9. Defense Mapping Agency (1989), DMA Technical Manual 8358.2: The Universal Grids;Universal Transverse Mercator(UTM) and Universal Polar Stereographic(UPS), DMA Publication No. DMATM83582, The Defense Mapping Agency, 18p. 

  10. Defense Mapping Agency (1990), DMA Technical Manual 8358.1: Datums, Ellipsoids, Grids and Grid Reference Systems, DMA Publication No. DMATM83581, The Defense Mapping Agency, 33p. 

  11. European Commission (2001), Map Projections for Europe, EUR 20120 EN, EC GI & GIS, pp. 87-115. 

  12. Hooijbeg, M. (1997), Practical Geodesy,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Germanay, pp. 130-132. 

  13. Redfearn, J.C.B. (1948) Transverse Mercator formula, Empire Survey Review, Vol. 69, No IX, pp. 318-328. 

  14. Snyder J.P (1987), Map projections-A working manual, U.S. Geological Survey, Government Printing Office, Washington, D.C.,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