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구강회복응용과학지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v.29 no.3, 2013년, pp.272 - 279
박찬진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및 구강과학연구소) , 김대곤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및 구강과학연구소) , 조리라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및 구강과학연구소)
The concept of implant stability was basically originated from the relative condition of bone-implant interface and has some meanings for evaluation of that interface. In addtion, it has been used for the investigation of initial bone healing process after fixture installation because a degree of mi...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공진주파수 분석법이란? | 공진주파수 분석법(Resonance Frequency Analysis)은 임플란트 안정성 변화를 추적 관찰하기 쉬운 비파괴적 측정방법으로 객관화된 수치를 제공하기에 임플란트 하중 시기를 판단하고, 고정체 주변의 골치유 정도와 임플란트 예후를 판단하기에 유용하므로 임상적으로 널리 사용 되고 있다.7) RFA 값은 골의 양보다는 계면의 견고도가 중요하고 골-임플란트 간 접촉이 RFA와 상관관계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 |
골과의 계면에서의 견고도는 무엇에 영향을 받는가? | 더불어 공진주파수 분석법은 주로 골 상부에 노출된 임플란트 높이뿐만 아니라 골과의 계면에서의 견고도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7,15) 골과의 계면에서의 견고도는 식립 직후에는 골표면과의 조임력에 의한 초기안정성과 식립 후 생물학적인 골치유과정을 통한 골유착정도에 의해 영향을받는다. | |
본 연구에서 공진주파수 분석법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고정체 식립 후 초기 골치유과정을 관찰한 결과는 무엇인가? | 1. 고정체 식립 직후 4주까지 임플란트 안정성은 감소하다가 4 - 6주사이에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2. Type 3과 Type 4의 골질에 따라 4 - 6주사이의 안정성 변화는 유의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3. 방사선학적 평가에서 변연골의 흡수는 0.2 mm 미만이었다. |
Adell R, Eriksson B, Lekholm U, Branemark PI, Jemt T. Long-term follow-up study of osseointegrated implants in the treatment of totally edentulous jaw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0;5:347-59.
Nevins M, Langer B. The successful use of osseointegrated implants for the treatment of the recalcitrant periodontal patient. J Periodontol 1995;66;150-7.
Esposito M, Hirsch J, Lekholm U, Thomsen P. Biological factors contributing to failures of osseointegrated oral implants. II. Etiopathogenesis. Eur J Oral Sci 1998;106:721-64.
Adell R, Lekholm U, Rockler B, Branemark PI. A 15 year study of osseointegrated implants in the treatment of the edentulous jaw. Int J Oral Surg 1981;6:387-416.
Quinlan P, Nummikoski P, Schenk R, Cagna D, Mellonig J, Higginbottom F, Lang K, Buser D, Cochran D. Immediate and early loading of SLA ITI single-tooth implants:an in vivo study.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5;20:360-370.
Buser D, Broggini N, Wieland M, Schenk R, Denzer H, Cochran D, Hoffmann B, Lussi A, Steinemann S. Enhanced bone apposition to a chemically modified SLA titanium surface. J Dent Res 2004;83:529-533.
Meredith N, Book K, Friberg B, Jemt T, Sennerby L. Resonance frequency measurements of implant stability in vivo. A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study of resonance frequency measurements on implants in the edentulous and partially dentate maxilla. Clin Oral Implants Res 1997;8:226-233.
Abrahamsson I, Berglundh T, Linder E, Lang N, Lindhe J. Early bone formation adjacent to rough and turned endosseous implant surfaces. An experimental study in the dog. Clin Oral Implants Res 2004;15:381-392.
Berglundh T, Abrahamsson I, Lang N, Lindhe J. De novo alveolar bone formation adjacent to endosseous implants. Clin Oral Implants Res 2003;14:251-262.
Bischof M, Nedir R, Szmukler-Moncler S, Bernard JP, Samson J. Implant stability measurement of delayed and immediately loaded implants during healing. Clin Oral Implants Res 2004;15:529-539.
Nkenke E, Hahn M, Weinzierl K. Implant stability and histomorphometry: a correlation study in human cadavers using stepped cylinder implants. Clin Oral Implants Res 2003;14:601-609.
Branemark PI, Zarb G, Albrektsson T. Tissue Integrated Prostheses : Osseointegration in Clinical Dentistry. Quintessence 1985:199-209.
Ericsson I, Rainbow K, Nilner K, Petersson A. Some clinical and radiographical features of submerged and non-submerged titanium implants. A 5-year follow-up study. Clin Oral Impl Res 1997;8:422-426,
Friberg B, Jemt T, Lekholm U. Early failures in 4641 consecutively placed Branemark dental implants. A study from stage 1 surgery to the connection of completed prosthese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1;6:142-146.
Meredith N, Shagaldi F, Alleyne D, Sennerby L, Cawley P. The application of resonance frequency measurements to study the stability of titanium implants during healing in the rabbit tibia. Clin Oral Implants Res 1997;8:234-243.
Huwiler M, Pjetursson B, Bosshardt D, Salvi G, Lang N.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in relation to jawbone characteristics and during early healing of implant installation. Clin Oral Implants Res 2007;18:275-280.
Sim C, Lang N. Factors influencing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assessed by $Osstell^{TM}$ mentor during implant tissue integration : I. Instrument positioning, bone structure, implant length. Clin Oral Implants Res 2010;21:598-604.
Han J, Lulic M, Lang N. Factors influencing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assessed by $Osstell^{TM}$ mentor during implant tissue integration : II. Implant surface modifications and implant diameter. Clin Oral Implants Res 2010;21:605-611.
Misch C, Kirocos L. Diagnostic imaging and techniques. In:Contemporary implant dentistry, ed. 2, Mosby;1999.pp.73-87.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