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부형태와 종자의 미세구조에 의한 한국산 바늘꽃족(바늘꽃과)의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studies of tribe Epilobieae Endl. (Onagraceae) in Korea based on morphology and seed microstructure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3 no.3, 2013년, pp.208 - 222  

이상룡 (일본 토호쿠대학교 식물원) ,  허경인 (성균관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상태 (성균관대학교 생명과학과) ,  유만희 (한국환경기술개발(주) 부설생태연구소) ,  김용성 (성균관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준선 (성균관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승철 (성균관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산 바늘꽃족(Epilobieae Endl.)에 대한 외부형태학적 형질에 근거한 분류학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한국에는 분홍바늘꽃속(Chamerion (Raf.) Raf. ex Holub) 1분류군과 바늘꽃속(Epilobium L.)분류군이 존재하는 것으로 정리되었다. 분홍바늘꽃(C. angustifolium subsp. angustifolium)은 이전까지 바늘꽃속이나 또는 분홍바늘꽃속에 속했으나, 잎이 호생하고, 꽃은 다소 좌우상칭이며 꽃잎의 끝이 갈라지지 않고, 수술 8개의 길이가 거의 비슷한 특징으로 바늘꽃속 식물들과 잘 구분되었다. 가는민바늘꽃(E. platystigmatosum)을 제외한 바늘꽃속 종들의 종자 표면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종자 표면은 유두상 돌기(papillose), 그물형 돌기(reticulate), 이랑형 배열의 유두상 돌기(ridged)의 세 가지 형태로 분류되었다. 줄바늘꽃(E. ciliatum subsp. ciliatum)은 속내에서 유일하게 이랑형(ridged) 배열의 유두상 돌기를 지녀 차이가 있었다. 돌바늘꽃(E. amurense subsp. cephalostigma)은 잎의 모양, 털의 형태와 분포, 식물체의 크기와 습성 등에서 호바늘꽃(E. amurense subsp. amurense)과 잘 구별되었다. 회령바늘꽃(E. fastigiatoramosum)과 버들바늘꽃(E. palustre)은 잎이 전연인 점에서 비슷하나, 전자는 잎이 긴 타원형이며 주두가 두상이고 종자의 표면무늬가 유두상인 특징을 보이며, 후자는 잎이 긴 피침형이며 주두가 곤봉형이고 종자의 표면무늬가 그물상인 특징을 가져 잘 구별되었다. 그동안 보고되지 않았던 가는민바늘꽃(E. platystigmatosum)을 새롭게 포함시켰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conducted the taxonomic study of the tribe Epilobieae Endl. and concluded that a total of nine taxa, including one Chamerion (Raf.) Raf. ex Holub and eight Epilobium L., exist in Korea. Although C. angustifolium subsp. angustifolium has been placed traditionally either in Epilobium...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분홍바늘꽃의 형태학적 특징은? angustifolium subsp. angustifolium)은 이전까지 바늘꽃속이나 또는 분홍바늘꽃속에 속했으나, 잎이 호생하고, 꽃은 다소 좌우상칭이며 꽃잎의 끝이 갈라지지 않고, 수술 8개의 길이가 거의 비슷한 특징으로 바늘꽃속 식물들과 잘 구분되었다. 가는민바늘꽃(E.
한국산 바늘꽃족을 외부형태학적 형질에 근거하여 분류하면? )에 대한 외부형태학적 형질에 근거한 분류학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한국에는 분홍바늘꽃속(Chamerion (Raf.) Raf. ex Holub) 1분류군과 바늘꽃속(Epilobium L.)분류군이 존재하는 것으로 정리되었다. 분홍바늘꽃(C.
가는민바늘꽃(E. platystigmatosum)을 제외한 바늘꽃속 종들의 종자 표면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가는민바늘꽃(E. platystigmatosum)을 제외한 바늘꽃속 종들의 종자 표면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종자 표면은 유두상 돌기(papillose), 그물형 돌기(reticulate), 이랑형 배열의 유두상 돌기(ridged)의 세 가지 형태로 분류되었다. 줄바늘꽃(E.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aum, D. A., K. J. Sytsma and P. C. Hoch. 1994. The phylogeny of Epilobium (Onagraceae) based on nuclear ribosomal DNA sequences. Systematic Botany 19: 363-388. 

  2. Chang, C. S., H. Kim and K.-S. Chang. 2011.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Vol. 43. Woody Plants. Designpost Press, Paju. (in Korean) 

  3. Chen, C. J., P. C. Hoch and P. H. Raven. 1992. Systematics of Epilobium (Onagraceae) in China. Systematic Botany Monographs. 34: 1-209. 

  4. Chen, C. J., P. C. Hoch and P. H. Raven. 2007. Epilobium L. In: Flora of China, Vol.13. Wu, S., P. H. Raven and D. Y. Hong (eds.), Science Press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Beijing and St. Louis. Pp. 400-422. 

  5. Chung, T. H. 1957. Korean Flora, Part 2, Herbaceous Plants. Shinjisa, Seoul. Pp. 431-439. (in Korean) 

  6. Chung, T. H. 1965.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vol. 5. Tracheophyta. Hyangmunsa, Seoul. Pp. 834-845. (in Korean) 

  7. Do, B. S. and R. J. Im. 1988. Korean Illustrations of Plants. Soc. Sci. Publ. Co., Pyungyang. Pp. 430-437. (in Korea) 

  8. Hara, H. 1942. The Journal of Japanese Botany. Tsumura Laboratory. Meguro Tokyo. 18: 229-249. 

  9. Hoch, P. C. and P. H. Raven. 1977. New combinations in Epilobium (Onagraceae). Annals of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64: 136-136. 

  10. Im, R. J. 1976. Flora Coreana 4. Sci. Publ. Co., Pyungyang. Pp. 411-427. (in Korean) 

  11. Im, R. J., H. S. Kim, J. S. Gkwak, Y. C. La, Y. J. Li, K. P. Li and K. S. Han. 1998. Flora Coreana (5). The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Pyongyang. Pp. 78-95. (in Korean) 

  12. Iwatsuki, K., D. E., Boufford and H. Ohba. 2002. Onagraceae In: Flora of Japan, Vol. ${\cdot}{\pm}c$ . Iwatsuki K., D. E. Boufford, and H. Ohba (eds.), Kodansha, Tokyo. Pp. 224-246. 

  13. Kim, H. S., S. J. Lee, H. S. Park and M. K. Kim. 1988. Colored Illustrations of Plants. Sci. Encyclogedia. Jonghap Publ. Co., Pyungyang. Pp. 410-415. (in Korea) 

  14. Lee, T. B. 1999.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Pp. 566-570. (in Korean) 

  15. Lee, W. T. 1996a.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 Co., Seoul. Pp. 243-246. (in Korean) 

  16. Lee, W. T. 1996b.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ubl. Co., Seoul. Pp. 752-761. 

  17. Lee, W.S. 2004. Plant Taxonomy, Wooseong press. Seoul. Pp. 304-420. (in Korean) 

  18. Lee, Y. 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I. Kyohaksa, Seoul. Pp. 787-793. (in Korean) 

  19. Levin, R. A., W. L. Wagner, P. C. Hoch, M. Nepokroeff, J. C. Pires, E. A. Zimmer and K. J. Sytsma. 2003. Family-level relationships of onagraceae based on chloroplast rbcL and ndhF data, American Journal of Botany 90: 107-115. 

  20. Levin, R.A., W. L. Wagner, P. C. Hoch, W. J. Hahn, A. Rodriguez, D. A. Baum, L. Katinas, E. A. Zimmer and K. J. Sytsma. 2004. Paraphyly in Tribe Onagreae: Insights into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Onagraceae Based on Nuclear and Chloroplast Sequence Data. Systematic Botany 29: 147-164. 

  21. Nakai, T. 1909. Flora Koreana I, J. Coll. Sci. Imp. Univ. Tokyo. Pp. 239-247. 

  22. Oh, S. Y. 1983. Enmerative and Phytogeographical Studies of Family Onagraceae in Korea. Research review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35: 291-362. 

  23. Song, J. T., M. K. Park and Y. C. Kim. 1974. Korean Resources Flora. Gukjaemunhwasa, Seoul. Pp. 506-513. (in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