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첨성대 수치와 역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HUMSUNGDAE'S FIGURES AND FUNCTIONS 원문보기

천문학논총 = Publications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v.28 no.2, 2013년, pp.25 - 36  

김광태 (충남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umsungdae is an ancient astronomical observatory whose main role was doing 'chunmoon'. It was administrate by a royal advisory agency on state affairs. The observers observed the heaven on the observatory platform, recorded peculiar events, and watched and interpreted the signs displayed in the h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첨성대의 특징은 무엇인가? 신라가 남긴 귀중한 유적가운데 하나로 경주에 위치한 첨성대는 지금까지도 많은 비밀을 간직하고 있다. 첨성대는 현재 국보 31호로 지정되어 있고, 유물로 현존하는 것으로는 가장 오래된 세계 최고(最古)의 천문대이다. 첨성대는 신라 선덕여왕 때에 축조했다고 전해지는데 정교한 건축술과 아름다움은 아직도 보는 이로 하여금 감탄하게 한다.
삼국유사의 기록을 토대로는, 첨성대가 신라의 원명인지는 분명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고 기록하고 있다.1 삼국유사는 기록연대가 고려말 충렬왕 7년 1281년이므로 선덕여왕 때(632 ~ 647년) 와는 634년의 시간이 격하고 있어서 과연 첨성대가 신라의 원명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다음으로 볼 역사서는『高麗史』권12 地理志인데, 이를 보면 동경유수에 관한 기록이 나오고, 거기에는 첨성대가 있으며 신라 선덕여주가 쌓은 것이라는 기록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국립문화재연구소, 2009, 경주첨성대 실측 훼손도 조사 보고서, http://portal.nricp.go.kr/cheomseongdae/ 

  2. 김기협, 1981, 첨성대(瞻星臺)의 천변관측(天變觀測) 기능, 한국과학사학회지 3, 143 

  3. 김기홍, 2000, 천년의 왕국 신라, 창작과 비평사, pp.250-262 

  4. 김용운, 1974a, Structure of Ch'omsongdae in the Light of the Choupei Suanchin, Korea Journal, 14, 4 

  5. 김용운, 1974b, 瞻星臺小考, 歷史學報, 64, 95 

  6. 나일성, 2000, 한국천문학사, 서울대출판부 

  7. 남천우, 1974, 첨성대에 관한 제설의 검토-김용운, 이용범 양씨설을 중심으로, 歷史學報, 64, 115 

  8. 박성래, 1980, 瞻星臺에 대하여, 韓國科學史學會志, 2, 136 

  9. 박흥수, 1979, 첨성대의(瞻星臺) 천문측량, 한국과학사학회지, 1, 78 

  10. 송민구, 1981, 瞻星臺 實測 및 復元圖에 依한 比例分析, 韓國科學史學會志, 3, 52 

  11. 신영훈, 1981, 瞻星臺小考, 韓國科學史學會志, 3, 150 

  12. 유경로, 1999, 한국천문학사 연구, 한국천문학사편찬위원회, 녹두출판사 

  13. 유복모, 강인준, 양인태, 1981, 경주 첨성대의(瞻星臺) 위치해석에 대한 고찰, 한국과학사학회지, 3, 80 

  14. 이문규, 2004, 첨성대를 어떻게 볼 것인가-첨성대의 해석의 역사와 신라시대의 천문관, 韓國科學史學會志, 26, 3 

  15. 이은성, 1981, 瞻星臺에 대한 소감, 韓國科學史學會志, 3, 148 

  16. 전상운, 1964,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의 천문의기, 고문화, 3, 21 

  17. 전상운, 1998, 한국과학사의 새로운 이해, 연세대학교 출판부, pp.243-262 

  18. 조세환, 1998, 瞻星臺의 조경인식론적 해석, 韓國造景學會志, 26, 178 

  19. 홍사준, 1967, 첨성대, 연제고고논집, pp.103-137 

  20. 홍이섭, 1949, 朝鮮科學史, 정음사 

  21. 關野 貞, 1941, 조선의 건축과 예술, 동경 

  22. 和田雄治, 1917, 경주 첨성대 일설, 朝鮮古代觀測記錄調査報告(조선총독부관측소), pp.144-151 

  23. Needham, J., 1959, Science and Civilization in China, Vol 3,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297-298 

  24. Rufus, W. C., 1917a, The Korea Megagine I, 496 

  25. Rufus, W. C., 1917b, Popular Astronomy, 24, 490 

  26. Rufus, W. C., 1936, Korean Astronomy, Chosen Christian College, pp.13-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