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차원 콜로이드 광결정의 고속 제작 및 응용
Quick Fabrication of Three Dimensional Colloidal Crystals and Their Applications 원문보기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화학공학, v.51 no.5, 2013년, pp.640 - 643  

이수진 (경희대학교 화학공학과) ,  임상혁 (경희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폴리스티렌 콜로이드 에멀젼 용액에서 물이 증발하게 되면 순간적으로 폴리스티렌 콜로이드 입자들이 물 표면으로 튀어나오게 되며 이러한 입자들 간의 모세관력에 의해 자기조립이 일어나게 되는데, 폴리스티렌 입자의 경우 유효밀도가 물 보다 작아 물 표면 위에 3차원 광결정을 형성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젖음성이 있는 제한된 공간을 가지는 구조를 가지는 유리기판 위에서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3차원의 폴리스티렌 콜로이드 결정이 고속으로 생성되고 기판위로 옮겨질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고속으로 제작된 폴리스티렌 콜로이드 광결정은 폴리스티렌 입자의 크기 및 광결정 필름의 입사각을 조절하여 가시광 전체 영역의 빛을 선택적으로 반사하는 광필터로 적용해 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 evaporation of water in polystyrene colloidal emulsion, the polystyrene colloidal particles are instantly protruded on the surface of water and are self-assembled by capillary force among the protruded particles. At the same time, the assembly of polystyrene colloidal particles is occurred on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은 표면이 음전하를 띄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 콜로이드 서스펜젼에서 용매를 증발시킬 경우, 수 분(minute)내에 물 표면으로 튀어나온 폴리스티렌 나노입자 간의 모세관 힘(capillary force)에 의해 폴리스티렌 콜로이드 나노입자들 간의 인력에 의해 자기조립이 되고, 자기조립된 콜로이드 결정은 유효밀도(effective density)가 물의 밀도보다 작게 되어 물표면에서 콜로이드 결정이 계속 성장이 일어나는 것을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젖음성이있는 제한된 형태(wettable confined geometry)를 가지는 구조속에 폴리스티렌 콜로이드 서스펜젼을 주입한 후, 물을 증발시킴으로써 물 표면에서부터 형성된 콜로이드 결정이 빠른 공정시간안에 기판위로 옮겨질 수 있는 방법 및 이 방법을 통하여 얻어진 다양한 크기의 3차원 콜로이드 결정의 응용에 관한 것이다.

가설 설정

  • 여기서, nPS= 1.59, nAir= 1, naverage= the average refractive index, f = the filling ratio이고 fcc 구조를 가지는 폴리스티렌 광결정의 packing density는 0.74로 가정하였으며, d111 spacing은 (2/3)1/2D (D는 폴리스티렌 입자의 직경)이다. 따라서, 제조된 광결정의 광밴드 갭의 파장에 해당되는 first order diffraction peak인 λmax는 입사각(θ)과 fcc 구조의 (111) 면간의 거리(d111 spacing)에 의존함을 알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적으로 3차원콜로이드광결정을 제조하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특히, 균일한 콜로이드 나노입자를 building block으로사용하여자기조립(self-assembly) 현상을 이용하는 bottom-up 방식의 콜로이드 광결정 제조 방법은 저가의 공정을 이용하여 대면적의 3차원 광결정을 얻을 수 있어 많은 관심을받아왔다[5-8]. 전통적으로 3차원콜로이드광결정을제조하는방법은 콜로이드 서스펜젼(suspension)을 가만히 놓아 두어 자연적으로 중력에 의해침전을 시켜서결정을형성하는침전법(natural sedimentation) [9], 젖음성(wettable)이있는기판을콜로이드서스펜젼용액에수직으로침적한 후, 콜로이드 서스펜젼의 용매가증발함에 따라 기판위에 결정이 형성되는 대류조립법(convective assembly) [10] 및 외부 전기장을 이용하여한쪽기판위에결정을형성하는전기영동법(electrophoretic deposition) [11] 등 다양한 콜로이드 광결정 형성 방법이 고안되었다. 전기 영동법을 제외한 나머지 콜로이드 광결정 형성 방법은 수 cm2크기의 결정을 형성하기 위해서 1~2일 정도의 시간을 소요로 한다.
전기영동법의 장점 및 단점은 무엇입니까? 전기 영동법을 제외한 나머지 콜로이드 광결정 형성 방법은 수 cm2크기의 결정을 형성하기 위해서 1~2일 정도의 시간을 소요로 한다. 반면 전기 영동법은 빠른 공정시간 안에 3차원 콜로이드 결정을 형성할 수 있지만, 형성되는 콜로이드 결정의 완성도가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광결정의 구조는 어떠하며 광결정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된 이유는 무엇입니까? 3차원의 주기적으로 규칙적인 구조를 가지는 광결정은 전반사를 이용하는 광섬유와는 달리 광학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어 광학적인 광 도파로, 광학용 필터, 센서, 태양전지 등 다양한 응용분야를 가지고 있어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1-4]. 특히, 균일한 콜로이드 나노입자를 building block으로사용하여자기조립(self-assembly) 현상을 이용하는 bottom-up 방식의 콜로이드 광결정 제조 방법은 저가의 공정을 이용하여 대면적의 3차원 광결정을 얻을 수 있어 많은 관심을받아왔다[5-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Vogelaar, L., Nijdam, W., van Wolferen, H. A. G. M., de Ridder, R. M., Segerink, F. B., Fluck, E., Kuipers, L. and van Hulst, N. F., "Large Area Photonic Crystal Slabs for Visible Light with Waveguiding Defect Structures: Fabrication with Focused Ion Beam Assisted Laser Interference Lithography," Adv. Mater., 13, 1551-1554(2001). 

  2. Loncar, M., Doll, T., Vu kovic, J. and Scherer, A., "Design and Fabrication of Silicon Photonic Crystal Optical Waveguides," J. Lightwave Technol., 18, 1402-1411(2000). 

  3. Vlasov, Y. A., Bo, X.-Z., Sturm, J. C. and Norris, D. J., "On-chip Natural Assembly of Silicon Photonic Bandgap Crystals," Nature, 414, 289-293(2001). 

  4. Park, S. H. and Xia, Y., "Assembly of Mesoscale Particles over Large Areas and Its Application in Fabricating Tunable Optical Filters," Langmuir, 15, 266-273(1999). 

  5. Im, S. H., Lim, Y. T., Suh, D. J. and Park, O. O., "Three-Dimensional Self-Assembly of Colloids at a Water-Air Interface: A Novel Technique for the Fabrication of Photonic Bandgap Crystals," Adv. Mater., 14, 1367-1369(2002). 

  6. Im, S. H., Kim, M. H. and Park, O. O., "Thickness Control of Colloidal Crystals with a Substrate Dipped at a Tilted Angle into a Colloidal Suspension," Chem. Mater., 15, 1797-1802(2003). 

  7. Im, S. H., Park, O. O. and Kwon, M. H., "Multiple-Layered Colloidal Assemblies via Dipping Method with an External Electric Field," Macromol. Res., 11, 110-114(2003). 

  8. Lee, J. A., Ha, S. T., Choi, H. K., Shin, D. O., Kim, S. O., Im, S. H. and Park, O. O., "Novel Fabrication of 2D and 3D Inverted Opals and their Application," Small, 7, 2581-2586(2011). 

  9. Miguez, H., Meseguer, F., Lopez, C., Blanco, L., Moya, J. S., Requena, J., Mifsud, A. and Fornos, V., "Control of the Photonic Crystal Properties of fcc-Packed Submicrometer $SiO_{2}$ Spheres by Sintering," Adv. Mater., 10, 480-483(1998). 

  10. Jiang, P., Bertone, J. F., Hwang, K. S. and Colvin, V. L., "Single-Crystal Colloidal Multilayers of Controlled Thickness," Chem. Mater., 11, 2132-2140(1999). 

  11. Rogach, A. L., Kotov, N. A., Koktysh, D. S., Ostrander, J. W. and Ragoisha, G. A., "Electrophoretic Deposition of Latex-Based 3D Colloidal Photonic Crystals: A Technique for Rapid Production of High-Quality Opals," Chem. Mater., 12, 2721-2726(2000). 

  12. Yi, G.-R., Moon, J. H. and Yang, S.-M., "Ordered Macroporous Particles by Colloidal Templating," Chem. Mater., 13, 2613-2618 (2001). 

  13. Dimitrov, A. S., Dushkin, C. D., Yoshimura, H. and Nagayama, K., "Observations of Latex Particle Two-Dimensional-Crystal Nucleation in Wetting Films on Mercury, Glass, and Mica," Langmuir, 10, 432-440(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