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연방정책금리 조정효과가 국내 국고채시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olicy Rate Adjustments in US on the Korean Bond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9, 2013년, pp.344 - 354  

박재환 (조달청 원자재시장분석센터) ,  김천규 (충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FRB의 정책금리조정 영향이 국내 국고채 채권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실증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우선, 첫째, 미국 정책금리 변경 효과가 국내 채권시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규명되었다. 추정에 따르면 미국 FRB의 정책금리가 10bp상승(하락) 변경될 경우 국내 10년물 국고채 금리는 7bp 상승(하락)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전 후를 나누어 실증 분석해 본 결과, 금융위기 이후 데이터에서는 1%의 유의수준으로 유의한 (+) 영향이 도출되었으나, 금융위기 이전 시기에서는 유의하지 못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셋째, 한 미 양국 간의 국고채 수익률 차이변수를 활용해 실증분석 해본 결과에 따르면 한 미 양국 간 국채수익률 차이는 통계적으로 1%의 유의한 (+) 영향을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Brunner(2000)의 연구에서 보고한 충격반응을 활용해 미국 FRB의 정책금리변수의 조정 영향이 국내 국고채 10년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미국 FRB의 정책조정변수의 영향력은 국내 10년물 국고채 시장에 12개월 정도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RB's policy rate adjustments on the 10 years Korea Treasury Bond (KTB) market. Our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the FRB's policy rate adjustment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10 year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뿐만 아니라 2010년에는 그리스를 비롯한 남부 유럽재정위기가 크게 부각되면서 금융시장에 위기감이 지속되었었다. 따라서 금융위기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서 FF변수가 KTB10변수에 각각 어떤 영향을 초래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 우선 Cook and Hahn(1989)의 연구와 같이 FRB의 정책금리 변경이 국내 채권시장 이자율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Brunner(2000)의 방법을 준용하여 미국 FRB의 FFR 조정이 국내 국고채 10년물 수익률에 영향을 미친다면 해당 효과는 어느 정도 지속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 또한 본 연구에서는 Brunner(2000)의 연구에서 보고한 충격반응(Impulse response)을 확인하기 위해 미국 FRB의 정책금리변수의 조정 영향이 국내 국고채 10년 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분석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미국 FRB의 정책조정변수의 영향력은 국내 10년물 국고채 시장에 (+)효과를 12개월 정도 꾸준히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우선 제 Ⅱ장에서는 미국 FRB의 정책금리 조정효과를 분석한 주요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제 Ⅲ장에서는 실증분석을 통해 미국 기준금리 조정이 국내 채권시장에 미치는 영향, 한·미 채권수익률 차이가 국내 채권시장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분석을 실시했다. 마지막 Ⅳ장에서는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미국 FRB 정책금리변수의 조정 영향이 국내 국고채 10년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분석했다. 일단 VAR 모형에 포함되는 변수는 앞의 식(1)에서 고려했던 변수를 기준으로 3×3로 해서, FRB 금융정책조정변수인 FFt와 국내 국고채 10년물 수익률(KTB10t+1)변수, 그리고 미국 10년물 국고채 수익률(US10t)를 사용해서 분석했다.
  • 본 연구는 미국 FRB 정책조정효과가 국내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이효찬(2012)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국내 채권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실증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미국 FRB 정책조정효과가 국내 채권시장, 특히 국고채 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실증분석을 통해서 미국 정책금리 조정이 국내 국고채 시장에 미치는 영향, 한미 채권수익률 차이가 국내 국고채 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등을 회귀분석을 통해서 결과를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미국 기준금리 조정 영향이 국내 채권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우선 Cook and Hahn(1989)의 연구와 같이 FRB의 정책금리 변경이 국내 채권시장 이자율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미국 기준금리 조정 영향이 국내 채권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우선 Cook and Hahn(1989)의 연구와 같이 FRB의 정책금리 변경이 국내 채권시장 이자율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Brunner(2000)의 방법을 준용하여 미국 FRB의 FFR 조정이 국내 국고채 10년물 수익률에 영향을 미친다면 해당 효과는 어느 정도 지속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 이 기간 중에 미국 공개시장위원회(FOMC)는 총 104회 개최되었다. 이 중에 정기 FOMC회의가 아닌 임시회의에 의해 정책금리가 조정된 경우도 있기 때문에 임시회의 결과 데이터를 빠트리지 않기 위해 미국 FRB 홈페이지의 회의록 목록 전체를 빠짐없이 검토하였다. 다음 [표 1]은 유형별로 전체 미국 FRB의 정책금리 조정 횟수와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 또한 VAR 모형을 활용해 미국 FRB의 정책결정이 채권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 중 중요하게 인식되는 것은 Brunner(2000)의 연구이다. 이는 미국 FRB에서 이코노미스트로 활동했었던 저자가 다양한 형태의 FRB 금융정책관련 연구들을 분석하면서 연구 영역을 확장시킨 연구로, 동 연구에서는 1980년부터 1994년까지의 데이터를 활용해 표준 VAR, 제한된(Restricted) VAR, augmented VAR 등의 다양한 VAR 추정 모형별로 미국 FRB의 정책결정이 채권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을 측정했다. 실증분석결과에 따르면 다양한 VAR모형 간의 추정결과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 FRB의 정책금리 조정이 미국 채권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초기의 연구로 어떠한 결과를 얻었는가? 미국 FRB의 정책금리 조정이 미국 채권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분석한 초기의 연구(Seminal paper)로는 Cook and Hahn(1989)의 연구가 있다. 그들은 1974년 9월부터 1979년 9월까지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서 FRB의 정책금리 변경이 미국 채권시장 수익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 효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밝혀냈다. 특히 FRB의 정책금리 변경은 단기 채권 수익률에 더욱 민감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FRB의 정책금리조정 영향이 국내 국고채 채권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분석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우선, 첫째, 미국 정책금리 변경 효과가 국내 채권시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규명되었다. 추정에 따르면 미국 FRB의 정책금리가 10bp상승(하락) 변경될 경우 국내 10년물 국고채 금리는 7bp 상승(하락)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전 후를 나누어 실증 분석해 본 결과, 금융위기 이후 데이터에서는 1%의 유의수준으로 유의한 (+) 영향이 도출되었으나, 금융위기 이전 시기에서는 유의하지 못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셋째, 한 미 양국 간의 국고채 수익률 차이변수를 활용해 실증분석 해본 결과에 따르면 한 미 양국 간 국채수익률 차이는 통계적으로 1%의 유의한 (+) 영향을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Brunner(2000)의 연구에서 보고한 충격반응을 활용해 미국 FRB의 정책금리변수의 조정 영향이 국내 국고채 10년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미국 FRB의 정책조정변수의 영향력은 국내 10년물 국고채 시장에 12개월 정도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은행의 정책적 조정은 어떠한 변수인가? 일반적으로 중앙은행의 정책적 조정은 중앙은행 시각에서 향후 경제전망과 인플레이션 압력뿐만 아니라 글로벌 주요 중앙은행의 금리조정 기대 등의 중요 매크로 변수에 대한 여러 함축적 의미를 포함하고 있어 채권 투자자들에게는 매우 중요한 변수이다. 특히 미국 FRB의 정책적인 금리 조정은 국제금융시장에서 매우 중요한 변수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김한준, "국내 금융기관들의 신용부도스왑 스프레드에 대한 재무적 결정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1호, pp.338-357, 2012. 

  2. 이효찬, "국내 증시에 대한 미 기준금리 조정효과 분석", 국제통상연구, 제17권, 제1호, pp.101-126, 2012. 

  3. B. Bernanke and A. Blinder, "The Federal Funds Rate and the Channels of Monetary Policy Transmission," American Economic Review, Vol.82, pp.901-921, 1992. 

  4. A. D. Brunner, "On the Derivation of Monetary Policy Shocks: Should We Throw the VAR out with the Bath Water?," Journal of Money, Credit and Banking, Vol.32, pp.254-279, 2000. 

  5. L. Christiano and M. Eichenbaum, "Liquidity Effects, Monetary Policy, and the Business Cycle," American Economic Review, Vol.82, pp.346-353, 1992. 

  6. L. Christiano, M. Eichenbaum, and C. Evans, "Identification and the Effects of Monetary Policy Shocks," in Financial Factors in Economic Stabilization and Growth, edited by M. Blejer, Z. Eckstein, Z. Hercowitz and L. Leiderman, pp.36-74, 1996. 

  7. T. Cook and T. Hahn, "The Effect of Changes in the Federal Funds Rate Target on Market Interest Rates in the 1970s,"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Vol.24, pp.331-351, 1989. 

  8. W. Edelberg and D. Marshall, "Monetary Policy Shocks and Long-Term Interest Rates," Federal Reserve Bank of Chicago Economic Perspectives, Vol.20, pp.2-17, 1996. 

  9. C. Evans and D. Marshall, "Monetary Policy and the Term Structure of Nominal Interest Rates: Evidence and Theory," Carnegie- Rochester Conference Volume on Public Policy, Vol.49, pp.53-111, 1998. 

  10. S. Ghosh, "Announcement Effects of the Federal Funds Rate Changes on Exchange Traded Funds and Bond Yields," European Journal of Economics, Vol.24, pp.147-156, 2010. 

  11. G. Giorgio and S. Nistico, "Monetary Policy and Stock Prices in an Open Economy," Journal of Money, Credit and Banking, Vol.39, 2007. 

  12. D. Gordon and E. Leeper, "The Dynamic Impacts of Monetary Policy: An Exercise in Tentative Identification,"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102, pp.1228-1247, 1994. 

  13. J. Krueger and K. Kuttner, "The Fed Funds Future Rate as a Predictor of Federal Reserve Policy," Journal of Futures Markets, Vol.16, pp.865-879, 1996. 

  14. K. Kuttner, "Monetary Policy Surprises and Interest Rates: Evidence from the Fed Funds Futures Market,"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Vol.47, No.3, pp.523-544, 2001. 

  15. E. Leeper and D. Gordon, "In Search of Liquidity Effect,"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Vol.29, pp.341-369, 1992. 

  16. L. Radecki and V. Reinhart, The Financial Linkages in the Transmission of Monetary Policy in the U.S., National Differences in Interest Rate Transmission, BIS, Basel, 1994. 

  17. W. Reichenstein, "The Impact of Money on Short-Term Interest Rates," Economic Inquiry, Vol.25, pp.67-82, 1987. 

  18. V. Roley and G. H. Sellon, "Monetary Policy Actions and Long-Term Interest Rates," Federal Reserve Bank of Kansas City Economic Quarterly, Vol.80, pp.77-89, 1995. 

  19. S. Strongin, "The Identification of Monetary Policy Disturbances: Examining the Liquidity Effect,"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Vol.35, pp.463-497,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