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성 심해에서 수심에 따른 해양미생물의 다양성 비교
Comparison of Bacterial Diversity in the Water Columns of Goseong Deep Seawater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9 no.3, 2013년, pp.282 - 285  

강용호 (영남대학교 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강원도 고성군 근해에서 수심 300 m와 500 m의 심층수에 서식하는 해양미생물 분포를 조사하였다. 심해미생물을 16S rRNA genes pyrosequencing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300 m 심층수 시료에서 얻은 19,474 reads에서 Alphaproteobacteria와 Gammaproteobacteria가 각각 57.41%와 38.85%의 분포 비율을 보였다. 심해 500 m의 시료에서 얻은 82,806 reads에서는 Gammaproteobacteria가 99.6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수심 300 m에서는 Rhodobacterales (57.31%)가 우점하였고, 수심 500 m에서는 Alteromonadales (45.65%)와 Oceanospirillales (34.61%)가 우점하였다. Operational Taxonomic Units와 diversity indexes (Shannon과 Simpson)를 기준으로 할 때 해양미생물의 다양성은 수심 500 m지역이 수심 300 m지역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crobial diversities in the 300 m and 500 m deep seawaters near Goseong, Gangwon Province (South Korea), were investigated. Pyrosequencing of 16S rRNA genes of marine microbes resulted in 19,474 reads from the 300 m deep seawaters, which consisted of Alphaproteobacteria (57.41%) and Gammaproteoba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나 심층수 개발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심해의 해양미생물들의 생태 변화에 대한 이해는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는 고성 근해에서 수심 300 m와 500 m의 심층수에 서식하는 해양미생물을 16S rRNA gene pyrosequencing 방법으로 분석하여 수심에 따른 해양미생물의 분포를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양심층수란 무엇인가? 해양심층수는 태양광이 도달하지 않는 수심 200 m 이하의 해수를 말하는데, 각종 불순물을 함유한 표층해수와는 달리 광합성 세균의 결여와 유기물의 침전 등에 의하여 마그네슘, 칼슘, 칼륨과 같은 미네랄과 질산염, 인산염과 같은 무기영양분 함량이 높다(Katsuda et al., 2008).
해양심층수의 특징은 무엇인가? 해양심층수는 태양광이 도달하지 않는 수심 200 m 이하의 해수를 말하는데, 각종 불순물을 함유한 표층해수와는 달리 광합성 세균의 결여와 유기물의 침전 등에 의하여 마그네슘, 칼슘, 칼륨과 같은 미네랄과 질산염, 인산염과 같은 무기영양분 함량이 높다(Katsuda et al., 2008).
육지보다 훨씬 더 많은 종류의 미생물을 포함하고는 바다의 해양미생물에 대한 연구를 가능하게 한 기술은 무엇인가? 8%를 차지하고 있는 바다는 육지보다 훨씬 더 많은 종류의 미생물을 포함하고 있지만 높은 수압하의 환경 에서 서식하는 해양미생물을 분리·배양하는 것이 어려워서 해양미생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최근 DNA pyrosequencing 기술의 등장으로 표층해수는 물론, 심해의 극한환경에 서식하는 해양미생물의 다양성 분석이 가능 하게 되었다(Huber et al., 2007; Weber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Dang, H., Li, T., Chen, M., and Huang, G. 2008. Cross-ocean distribution of Rhodobacterales bacteria as primary surface colonizers in temperate coastal marine waters. Appl. Environ. Microbiol.74, 52-60. 

  2. Eloe, E.A., Fadrosh, D.W., Novotny, M., Zeigler Allen, L., Kim, M., Lombardo, M.J., Yee-Greenbaum, J., Yooseph, S., Allen, E.E., Lasken, R., and et al. 2011a. Going deeper: metagenome of a hadopelagic microbial community. PLoS One 6, e20388. 

  3. Eloe, E.A., Malfatti, F., Gutierrez, J., Hardy, K., Schmidt, W.E., Pogliano, K., Pogliano, J., Azam, F., and Bartlett, D.H. 2011b.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psychropiezophilic alphaproteobacterium. Appl. Environ. Microbiol. 77, 8145-8153. 

  4. Fu, Y., Keats, K.F., Rivkin, R.B., and Lang, A.S. 2013. Water mass and depth determine the distribution and diversity of Rhodobacterales in an Arctic marine system. FEMS Microbiol. Ecol. 84, 564-576. 

  5. Hazen, T.C., Dubinsky, E.A., DeSantis, T.Z., Andersen, G.L., Piceno, Y.M., Singh, N., Jansson, J.K., Probst, A., Borglin, S.E., Fortney, J.L., and et al. 2010. Deep-sea oil plume enriches indigenous oil-degrading bacteria. Science 330, 204-208. 

  6. Heidelberg, K.B., Gilbert, J.A., and Joint, I. 2010. Marine genomics: at the interface of marine microbial ecology and biodiversity. Microb. Biotechnol. 3, 531-543. 

  7. Huber, J.A., Mark Welch, D.B., Morrison, H.G., Huse, S.M., Neal, P.R., Butterfield, D.A., and Sogin, M.L. 2007. Microbial population structures in the deep marine biosphere. Science 318, 97?100. 

  8. Imhoff, J.F., Labes, A., and Wiese, J. 2011. Bio-mining the microbial treasures of the ocean: new natural products. Biotechnol. Adv. 29, 468-482. 

  9. Joo, D.-S. 2011. Changes in quality of salted and dried brown-croaker product prepared with deep seawater salt. J. Kor. Soc. Food Sci. Nutr. 40, 235-244. 

  10. Katsuda, S., Yasukawa, T., Nakagawa, K., Miyake, M., Yamasaki, M., Katahira, K., Mohri, M., Shimizu, T., and Hazama, A. 2008. Deep-sea water improves cardiovascular hemodynamics in Kurosawa and Kusanagi-Hypercholesterolemic (KHC) rabbits. Biol. Pharm. Bull. 31, 38-44. 

  11. Kim, M.-K. and Khang, Y. 2012. Marine prokaryotic diversity of the deep sea waters at the depth of 1500 m off the coast of the Ulleung island in the East Sea (Korea). Kor. J. Microbiol. 48, 328-331. 

  12. Kim, J.-H., Kim, G.T., Park, S.-H., Oh, W.-Y., and Kim, H.-J. 2012. A feasibility study on thermal energy resource in deep ocean water. J. Kor. Soc. Marine Environ. Eng. 15, 9-18. 

  13. Kimes, N.E., Callaghan, A.V., Aktas, D.F., Smith, W.L., Sunner, J., Golding, B., Drozdowska, M., Hazen, T.C., Suflita, J.M., and Morris, P.J. 2013. Metagenomic analysis and metabolite profiling of deep-sea sediments from the Gulf of Mexico following the Deepwater Horizon oil spill. Front Microbiol. 4, 50. 

  14. McGenity, T.J., Folwell, B.D., McKew, B.A., and Sanni, G.O. 2012. Marine crude-oil biodegradation: a central role for interspecies interactions. Aquat. Biosyst. 8, 10-18. 

  15. Miyamura, M., Yoshioka, S., Hamada, A., Takuma, D., Yokota, J., Kusunose, M., Kyotani, S., Kawakita, H., Odani, K., Tsutsui, Y., and et al. 2004. Difference between deep seawater and surface seawater in the preventive effect of atherosclerosis. Biol. Pharm. Bull. 27, 1784-1787. 

  16. Rusch, D.B., Halpern, A.L., Sutton, G., Heidelberg, K.B., Williamson, S., Yooseph, S., Wu, D., Eisen, J.A., Hoffman, J.M., Remington, K., and et al. 2007. The sorcerer II global ocean sampling expedition: Northwest atlantic through eastern tropical pacific. PLoS Biol. 5,e77. 

  17. Slightom, R.N. and Buchan, A. 2009. Surface colonization by marine Roseobacters: Integrating genotype and phenotype. Appl. Environ. Microbiol. 75, 6027-6037. 

  18. Weber, M., Teeling, H., Huang, S., Waldmann, J., Kassabgy, M., Fuchs, B.M., Klindworth, A., Klockow, C., Wichels, A., Gerdts, G., and et al. 2010. Practical application of self-organizing maps to interrelate biodiversity and functional data in NGS-based metagenomics. ISME J. 5, 918?928. 

  19. Zinger, L., Amaral-Zettler, L.A., Fuhrman, J.A., Horner-Devine, M.C., Huse, S.M., Welch, D.B., Martiny, J.B., Sogin, M., Boetius, A., and Ramette, A. 2011. Global patterns of bacterial beta-diversity in seafloor and seawater ecosystems. PLoS One 6, e245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