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IS 기반 CA-Markov 기법을 이용한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미래 유출량 전망 분석
Outlook Analysis of Future Discharge According to Land Cover Change Using CA-Markov Technique Based on GIS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6 no.3, 2013년, pp.25 - 39  

박진혁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  노선희 (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근상 (전주비전대학교 지적부동산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금강유역 내 용담댐 및 대청댐을 대상으로 SWAT 모형을 이용하여 미래 유출량 전망에 지배적인 인자로 작용하는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유출량 변화를 분석하였다. Landsat TM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과거 1990년 및 1995년 토지피복 자료를 관측 자료로 사용하여 CA-Markov 연쇄기법에 의한 2000년 토지피복도를 모의하여 비교 검증을 한 후 향후 2050년과 2100년의 토지피복변화를 모의하였다. 이를 SWAT모형의 입력 자료로 이용하여 A1B 시나리오하에서 토지피복 변화 전 후의 유출량을 비교 분석 하였다. 금강유역에 대한 토지피복에 대한 경년별 추세 분석결과 산림과 논은 꾸준히 감소하고 주거지, 나지, 초지 등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미래 토지피복의 변화를 고려한 유출 변화 분석결과, 토지피복의 변화를 고려한 유출량이 토지피복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았을 때보다 전체적으로 1.83~2.87%로 소폭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change of the discharge according to the land cover change which acts as one of dominant factors for the outlook of future discharge was analyzed using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model for Yongdam and Daecheong Dam Watershed in the Geum River Basin. The land cover maps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물순환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인자는 기후와 토지이용인데 과거 대부분의 연구들은 기후변화 또는 토지이용 변화에 대한 유출 특성 변화에 대한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이를 동시에 고려하고자 하였다. Landsat TM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과거 1990년 및 1995년 토지피복 자료를 관측 자료로 사용하여 CA-Markov 연쇄기법에 의한 2000년 토지피복도를 모의하여 비교·검증을 한 후 향후 2050년과 2100년의 토지피복 변화를 모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금강유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가 수자원에 미치는 유출측면에서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IPCC에서 제시하고 있는 A1B시나리오 기반의 RCM모의 결과값을 수문 기상자료로 사용하여 SWAT모형에 적용함으로서 기후변화에 따른 장기적인 유출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거 1990년 및 1995년 토지피복 자료를 관측자료로 사용하여 토지이용의 변화된 경향을 공간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Markov Chain 모델과 시간변화를 고려할 수 있는 CA기법을 결합한 CA-Markov 연쇄기법을 통해 2000년 토지피복도를 모의하여 비교·검증 한 후 향후 2050년과 2100년의 토지피복변화를 모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금강유역전체 및 금강유역 내 용담댐유역 및 대청댐유역에 대하여 5년 단위의 시계열 토지피복도를 작성하여 경년별 추세를 분석하고, 미래 토지피복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1990년과 1995년 자료를 기본 입력 자료로 선정하여 CA-Markov 연쇄기법을 이용하여 2000년도의 토지피복을 예측하였다. 토지피복 자료는 WAMIS 토지피복 분류 기준에 따라 8분류로 설정하였으며 비교 토지피복도의 이미지 시간주기(5년)와 동일하게 예측하기 위해, 미래 토지피복 변화의 시간주기를 5년으로 지정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시나리오의 신뢰성을 위하여 국립기상연구소 기후연구팀에서 “기후변화 협약대응 지역기후시나리오 활용기술개발”(2005~2007)의 일환으로 생산한 A1B 시나리오자료를 이용하였다. A1B시나리오는 현재 이산탄소의 배출량이 점차 증가하여 2050년경 정점에 도달한 다음 그 이후 다소 감소하는 시나리오로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2100년경 720 ppm까지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나리오로써, 화석에너지 및 고효율 에너지원이 균형 있게 사용된다고 가정하며 현실에 가장 잘 부합되는 시나리오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1B시나리오의 특징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시나리오의 신뢰성을 위하여 국립기상연구소 기후연구팀에서 “기후변화 협약대응 지역기후시나리오 활용기술개발”(2005~2007)의 일환으로 생산한 A1B 시나리오자료를 이용하였다. A1B시나리오는 현재 이산탄소의 배출량이 점차 증가하여 2050년경 정점에 도달한 다음 그 이후 다소 감소하는 시나리오로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2100년경 720 ppm까지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나리오로써, 화석에너지 및 고효율 에너지원이 균형 있게 사용된다고 가정하며 현실에 가장 잘 부합되는 시나리오이다.
GCM이란 무엇인가? GCM은 전 지구차원의 대기순환모델로서 지구의 대기를 3차원의 불연속 격자시스템으로 구성하고 각 격자점에서의 대기 상태를 지배하는 방정식을 시간 적분하여 지구의 대기상태를 재현 및 예측하는 모형이다. GCM을 이용한 수문기상학적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통계적인 방법을 통한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작은 규모의 유역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거나, GCM결과를 경계조건으로 한 후 RCM모형을 사용하여 국지규모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는 방법 등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Park et al.
SWAT 모형에서 제공하는 SCS 유출곡선법의 개발 목적은 무엇인가? SWAT 모형에서는 지표면 유출을 평가하기 위해 SCS 유출곡선법과 Green & Ampt 침투법의 두 가지 방법을 제공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SCS 유출곡선법을 선택하여 유출모의에 이용하였다. SCS 유출곡선법은 다양한 토지이용과 토양형태 하에서 유출량을 추정하기 위한 일관성 있는 기준을 제공하기 위하여 개발되었으며, SCS 유출곡선식은 식 (2)와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hn, S.R., J.H. Park, H.S. Chae and E.H. Hwang. 2010. Characteristic analysis of hydro meteorologic parameters of Geum River basin considering climate change. Proceedings of the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pp.1555-1559 (안소라, 박진혁, 채효석, 황의호. 2010. 기후변화를 고려한 금강유역 수문기상인자의 특성분석.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555-1559쪽). 

  2. Arnold, J.G., R. Srinivasan, R.S. Muttiah and J.R. Williams. 1998. Large area hydrologic modeling and assessment part I : model development.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4(1):73-89. 

  3. Bae, D.H., I.W. Jung and B.J. Lee. 2007. Outlook on variation of water resources in Korea under SRES A2 scenario. Journal of the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0(12):921-930 (배덕효, 정일원, 이병주 2007. A2시나리오에 따른 국 내 수자원의 변동성 전망. 한국수자원학회논 문집 40(12):921-930). 

  4. Clark, S., J. Starr, T.W. Foresman, W. Parince and W. Acevedo. 1997. Development of the temporal transportation database for the analysis of urban development in the Baltimore -Washington region. Processing of ASPRS/ACSM Annual Convention and Exhibition, Baltimore. MD, April 22-24. Vol. 3, pp.101-110. 

  5. Joh, H.K., S.B. Kim, H. Cheong, H.J. Shin and S.J. Kim. 2011. Projection of future snowfall by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3):188-202 (조형경, 김샛별, 정혁, 신형진, 김성준. 2011.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한 미래의 강설량 예측.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3):188-202). 

  6.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7. Kim, B.S., H.S. Kim, B.H. Seo and N.W. Kim. 2004. Influence of climate change to runoff of Yongdam-Dam basin. Journal of the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7(3):185-193 (김병식, 김형수, 서병하, 김남원. 2004. 기후변화가 용담댐 유역의 유출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37(3):185-193). 

  8. Kim, S.J. and Y.J. Lee. 2007. The effect of spatial scale and resolution in the prediction of future land use using CA-Markov techniqu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2):57-69 (김성준, 이용준. 2007. 면적규모 및 공간해상도가 CA-Markov 기법에 의한 미래 토지이용 예측결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2):57-69). 

  9. Kim, W.T., D.R. Lee and C.S. Yoo. 2004. Influence analysis of runoff of Daechung-dam basin according to the climate change. Journal of the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7(4):305 -314 (김웅태, 이동률, 유철상. 2004. 기후 변화에 따른 대청댐 유역의 유출 영향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37(4):305-314). 

  10. Kwon, H.H., B.S. Kim, B.G. Kim and S.Y. Yoon. 2009. Analysis to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 change of extreme valued rainfall according to the climate change. Proceedings of the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pp.1152-1155 (권현한, 김병식, 김보경, 윤석영. 2009. 기후변화에 따른 극치강수량의 시공간적 특성 변화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152-1155쪽.). 

  11. Lee, G.S., J.Y. Kim, S.R. Ahn and J.M. Sim. 2010. Analysis of suspended solid of Andong and Imha basin according to the climate chang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1):1-15 (이근상, 김정열, 안소라, 심정민. 2010. 기후변화에 따른 안동, 임하호 유역의 부유사량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1):1-15). 

  12. Lee, S.H., J.M. Yun, K.C. Seo, K.W. Nam and S.C. Park. 2004. A study on the urban growth model of Gimhae city using cellular automat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7(3):118-125 (이성호, 윤정미, 서 경천, 남광우, 박상철. 2004. 셀룰라 오토마타를 이용한 김해시의 도시성장 모형에 관한 연구 -1987-2001년을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7(3):118-125). 

  13. Lee, Y.J. and S.J. Kim. 2007. A modified CA-Markov technique for prediction of future land use chan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27 (6D):809-817 (이용준, 김성준. 2007. 미래 토지이용변화 예측을 위한 개선된 CA-Markov 기법의 제안 및 적용.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27(6D):809-817). 

  14. Lim, H.J., H.J. Kwon, D.H. Bae and S.J. Kim. 2006. Analysis of hydrological impact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the CA-Markov technique on Soyanggang-dam watershed. Journal of the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9(5):453-466 (임혁진, 권형중, 배덕효, 김성준. 2006. CA-Markov 기법을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소양강댐 유역의 수문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9(5):453-466). 

  15. Mundia, C.N. and M. Aniya. 2006. Dynamics of landuse/cover changes and degradation of Nairobi city Kenya. Land Degradation & Development17(1):97-108. 

  16.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2000. Influencial Evaluation of Water Resource Plan According to the Climate Change (건설교통부. 2000.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계획의 영향 평가). 

  17. Park, J.H., H.H. Kwon and S.H. No. 2011. Outloof of discharge for Daechenong and Yongdam dam watershed using A1B climate change scenario based RCM and SWAT model. Journal of the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4(12): 929-940 (박진혁, 권현한, 노선희. 2011. A1B기후변화시나리오 기반 RCM과 SWAT 모형을 이용한 대청댐 및 용담댐 유역 유출량 전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44(12):929-940). 

  18. Turner, M.G. 1987. Spatial simulation of landscape change in Georgia: a comparison of three transition models. Landscape Ecology 1(1):29-36. 

  19. Van Liew, M.W., T.L. Veith, D.D. Bosch and J.G. Arnold. 2007. Suitability of SWAT for the conservation effects assessment project: a comparison on USDA-ARS watersheds.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12(2):73-1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