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로포장의 생애주기비용 분석을 위한 장기 교통수요 추정
Traffic Demand Forecasting Method for LCCA of Pavement Section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3 no.5, 2013년, pp.2057 - 2067  

도명식 (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  김윤식 (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  이상혁 (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  한대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의 포장관리를 위한 장래 교통수요의 추정에는 객관적인 방법에 의한 장래 교통수요의 추정이라기보다는 과거 추세(trends)나 분석가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으며, 새로운 도로의 신설 및 우회도로의 계획 등 대상 지역의 장래 도로 및 지역개발 계획을 전혀 고려하지 못한 교통수요의 추정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객관적이며 정도 높은 국도의 유지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decision-making support system)의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장래 포장의 공용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장기 교통수요 예측의 중요성을 살펴보고 기존 교통수요 추정 방식과의 비교를 위한 기준(baseline) 수요를 산정하기 위해 EMME(Equilibre multimodal, Multimodal Equilibrium)를 이용하여 4단계 교통수요 추정 방법에 따라 장래 교통수요를 예측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사례연구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전지방국토관리청 관할의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교통수요 추정방안별 비교를 수행하였으며, 기존의 수요추정 방법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장래 지역개발계획과 도로의 신설 및 확장계획 등을 고려한 교통수요 추정방법과는 교통량의 수요뿐만 아니라 관리자비용 및 이용자비용의 수준에도 큰 괴리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affic demand forecasting for pavement management in the present can be estimated using the past trends or subjective judgement of experts instead of objective methods. Also future road plans and local development plans of a target region, for example new road constructions and detour plans canno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객관적이며 정도 높은 국도의 유지관 리를 위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decision-making support system)의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장래 포장의 공용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장기 교통수요를 예측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범용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EMME3를 활용한 생애주기비용 분석 방법과 기존의 장기 교통수요 예측을 활용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를 통해 그 필요성을 검토하기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국도의 도로관리를 위하여 공용성모형을 추정하고, EMME3를 이용하여 장래 개발계획이 고려된 장래 교통수요변화에 따른 경제성 평가를 통해 기존의 생애주기비용 산정방식과 비교해 보았다.
  • 사례연구로써 대전지방국토관리청 관할 국도를 대상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였으며, 기존 방법과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영동군을 대상지역으로 영향권을 선정하여 장래 도로 및 지역 개발계획을 반영한 교통수요의 변동 특성과 관리자 비용 및 이용자 비용 등에 미치는 영향 등을 살펴보기로 한다.
  • 여기서 대상구간의 범위를 충북 영동군 지역으로 한정하여 장래 인구 전망, 주변 지역의 도로 개발 및 산업단지 개발계획 등을 반영하여 장래 교통수요를 추정한 결과와 현재의 교통수요의 패턴이 유지된다는 기존의 방법을 비교해 보기로 한다.
  • 한편, 네트워크 측면과 통행행태 측면에 대한 정산(calibration) 과 검증(validation)을 통해 모형을 이용하여 표현된 상황을 현실의 교통패턴과 유사하게 표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산과 검증은 「도로 · 철도 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수정·보완연구 (제4판)」에 의거 도로등급별 주요 도로 구간의 관측교통량 fobsl과 배정교통량 festl의 차이를 사업 대상구간과 인접도로의 경우 15% 기타 주요도로는 30%로 설정하여 정산을 수행하였으며 오차율의 산정 식은 Eq.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로건설의 타당성 검증을 위한 우리나라 교통수요 예측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현재 우리나라는 도로건설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교통수요 예측에 대한 연구는 많이 있었지만 도로 유지보수 정책 결정을 위한 교통수요 예측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교통수 요예측을 하더라도 임의로 과거의 추세를 이용하거나 현재와 동일한 수준을 가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장래 교통량의 변화는 도로포장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치며 경제성 분석을 포함한 최적유지보수 시점 및 공법 등 전략 수립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외부 인자이다.
실제 활용되고 있는 생애 주기 비용분석을 위한 장기 교통수요예측 시 고려하지 않는 요소는 무엇인가? 현재 대부분의 도로포장 분야에서 생애주기비용분석을 위한 장기 교통수요의 추정을 위해 차종의 구성 및 비율, 차량 및 교통량 특성, 증가율 패턴과 비율 특성 등을 기반으로 1) 일상적인 교통수요(normal traffic), 2) 전환 교통수요(diverted traffic), 3) 발생 교통수요 (generated traffic)로 구분하여 추정하고 있으나 분석 대상지역의 장래 개발계획이나 도로의 신설 및 우회도로 계획 등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하게 증감 비율(%)이나 증감량을 삽입하는 방안을 채택하고 있다.
생애주기비용이란 무엇인가? 생애주기비용(Life Cycle Cost; LCC)은 분석 대상 시설물의 계획 단계에서부터 구조물의 폐기처분 시까지 소요되는 모든 비용, 즉 계획/설계비, 건설비, 유지관리비, 폐기물 처리비용을 모두 합한 것으로 구조물의 공용수명기간에 필요한 모든 비용을 말한다(Cho et al.,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Christopher, R. B. and Greenwood, I. D. (2000). "Modelling road user and environmental effects in hdm-4." HTC Infrastructure Management Ltd. 

  2. Cho, H., Choi, H., Jung, P. and Lim, J. (2001). "A study on life cycle cost analysis of latex modified concrete pavement for bridg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Vol. 5, No. 4, pp. 185-195 (in Korean). 

  3. Do, M. (2011). "A comparative analysis on mean life reliability with functionally classified pavement sections."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 15, No. 2, pp. 261-270 (in Korean). 

  4. Han, D., Do, M., Kim, S. and Kim, J. (2007) "Life cycle cost analysis of pavement maintenance standard considering user and socio-environmental cos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7, No. 6D, pp. 727-740 (in Korean). 

  5. Intermodal Surface Transportation Efficiency Act of 1991 (1991). Public law 102-204, December 18. 

  6.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2013). A study on development of decision-making system, Final Report No. 2012-067 (in Korean). 

  7.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2009). Pavement management syste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in Korean). 

  8. Kwon, S., Jung, K. and Seo, Y. (2002). "A study on decision criteria of traffic volumes for choosing of modified asphalt pavement in korea national highwa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14, No. 3, pp. 25-33 (in Korean). 

  9.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1). "Guide of investment evaluation of transportation facilities -4th revision-."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in Korean). 

  10. The National Highway System Designation Act of 1995 (1995). Public law 104-59, December 28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