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limate change has increased the number of floods and inundation on farmland. Recently various mobile applications through inundation mapping, flood forecasts and evacuation route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prevention and reduction of flood damages. However, most of current prevention systems f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WOT 분석은 분석대상의 환경이 가진 강점(Strong), 약점(Weakness),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을 구분하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효과적인 대응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도구이다(Hill과 Westbrook, 2007; 민흥기 등, 2012). SWOT분석을 통하여 현재 농경지에 발생하는 침수피해 대응시스템의 상황을 파악하여 모바일 기반의 시스템이 갖는 강점은 살리고, 기존에 인지된 약점을 보완하며, 모바일 기기가 가지는 기회를 최대한 이용하고 발생할 수 있는 위협인자를 사전에 대비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디자인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농경지 침수피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모바일 기반의 정보시스템을 설계하여 실시간 농경지 침수피해 정보제공을 통해 효과적으로 침수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개발된 시스템은 발생된 침수피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침수상황 정보의 파악과 활용이 가능하다.
  • 본 연구는 침수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현재까지 연구된 웹기반의 침수 정보 시스템과 모바일기반의 재해관련 정보시스템을 바탕으로 농경지 침수피해에 대한 SWOT분석을 실시하였다. SWOT 분석은 분석대상의 환경이 가진 강점(Strong), 약점(Weakness),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을 구분하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효과적인 대응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도구이다(Hill과 Westbrook, 2007; 민흥기 등, 2012).
  •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침수피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모바일 기반의 농경지 침수피해 정보 시스템을 설계하고 이를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검토 하였다. 먼저 시스템의 설계를 위해 SWOT 분석을 통하여 농경지 내외적 환경요인과 기존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침수피해 정보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가설 설정

  • 설계된 시스템 기능의 검토와 활용성 검토를 위해 실제 데이터를 바탕으로 태풍 영향을 받는 시나리오를 가정하여 적용하였다. 그 결과 모바일 기반 침수 정보 시스템이 구축되어 사용자에게 실시간 농경지 침수 정보를 전달할 경우 예상하지 못한 침수피해를 방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농경지 침수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피해에 대해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가 경제손실의 주된 원인은? 농경지 침수피해는 농촌에서 발생하는 전체 피해규모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어 농가 경제손실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윤종열, 2011; 이정재, 2011).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과거 기상자료로 예측 가능한 최대강수량을 넘어서는 강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하루 100mm이상의 집중호우 발생회수도 급증하고 있다(이혜원, 2009; 박성제 등, 2010).
침수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대책에는 무엇이 존재하나? 이러한 침수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대책으로는 댐·제방 등의 하드웨어를 이용하는 방법과 침수지도제작을 통해 침수예보 및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등의 소프트웨어적인 해결 방법이 존재한다. 하드웨어적 저감대책의 대표적인 방법인 방제 시설물을 통한 저감대책은 댐, 제방 등을 건설함으로써 시설물을 준공하는 즉시 침수피해를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Palmer et al.
침수피해를 저감하기 위해 댐·제방 등의 하드웨어를 이용하는 방법의 단점은? 하드웨어적 저감대책의 대표적인 방법인 방제 시설물을 통한 저감대책은 댐, 제방 등을 건설함으로써 시설물을 준공하는 즉시 침수피해를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Palmer et al., 2008), 초기 건설비용이 많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에 지속적으로 비용이 발생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시설이 노후화되어 기능이 저하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박종덕과 구자용, 2011). 둑 높임 사업과 댐 연계활용에 관한 연구를 통해 시설물의 기능을 지속시키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후변화와 같은 급격한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하창용 등,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강상준, 유영성, 2012, 기후변화에 따른 부의 변화, 경기개발연구원, 69. 

  2. 강상준, 정주철, 2012, 수해지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경기도 사례를 중심으로, 대학토목학회, 32(5): 507-517. 

  3. 건설교통부, 2001, 치수사업 경제성분석 개선방안연구. 

  4. 김태곤, 남원호, 이태석, 최진용, 김진택, 2012, 수리시설물의 실시간 정보관리를 위한 RFID 및 QR 코드 기반의 모바일 기술 운용성 평가, 한국농공학회, 54(1): 1-9. 

  5. 국토해양부, 2008, 수자원 사업의 타당성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6. 민흥기, 백승석, 송이, 리신호, 2012, 영양군 삼지지구농촌테마공원 발전계획, 한국농촌계획학회, 18(4): 171-180. 

  7. 박성제, 이영근, 김제훈, 2010, 기후변화 대응 수자원정책 최신 연구동향, 한국수자원학회, 43(9): 43-52. 

  8. 박종덕, 구자용, 2011, 모바일 GIS를 이용한 홍수 위험 경보 서비스 구현, 대한지리학회, 46(6): 738-750. 

  9. 박준승, 1983, 소비자행동에 있어서 의자결정 5단계에 관한 고찰, 중앙대학교, 47: 184-198. 

  10. 배윤선, 2011, 효율적인 정보전달을 위한 모바일 웹 디자인에 관한 연구, 디지털콘텐츠학회, 12(3): 263-270. 

  11. 안정환, 김건우, 조원철, 2013, 침수특성치를 이용한 침수위험성 평가, 한국토목학회, 33(3): 957-964. 

  12. 윤종열, 2011, 기후변화가 농작물 생산에 미치는 영향과 전망, 세계농업, 125: 3-20. 

  13. 이솔잎, 김현기, 2012, 스마트폰 아이콘 형태와 색채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8(4): 369-378. 

  14. 이재은, 양기근, 변성수, 박대우, 2009, 자연재난 피해조사체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15. 이정재, 2011, 기후변화 대응 농업생산기반시설 통합안전관리시스템, 한국농공학회, 53(3): 2-8. 

  16. 이중기, 김창수, 2012(a), 스마트 폰을 이용한 재난정보수집 애플리케이션 구현,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5(1): 108-114. 

  17. 이중기, 김창수, 2012(b), 스마트폰 앱기반 재난정보 서비스 및 검색기능 구현,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5(2): 273-280. 

  18. 이중기, 배인한, 김창수, 2012, 재난현장 중심의 정보 수집 및 관리를 위한 프로토타입 시스템 설계,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5(1): 101-107 

  19. 이지민, 이윤희, 배연정, 이정재, 서교, 2012, 농촌고령화 위기 대응을 위한 지역특성 변화 분석지표 개발, 한국농촌계획학회, 18(4): 69-78. 

  20. 이혜원, 2009, 도시 지역의 유출량 변화 예측을 위한 유역 모델 연구, 31(12): 1089-1094. 

  21. 정수, 2010, 디지털 사진을 이용한 산불 피해 조사 방안,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18(4): 41-50. 

  22. 정보통신산업연수원, 2011, 모바일어플리케이션 동향 및 전망. 

  23. 최예환, 유능환, 최중대, 김기성, 2000, 홍수에 의한 농경지 침수방지 대책, 환경연구, 17(1): 226-250. 

  24. 하창용, 한건연, 조완희, GIS를 활용한 LiDAR 자료의 밀도에 따른 2차원 침수해석, 한국지리정보학회, 13(1): 74-88. 

  25. 홍지혜, 황진환, 2006, 홍수피해에 따른 지역적 취약성 변화분석, 환경정책연구, 5(4): 1-18. 

  26. Frolov, A. V., D. A. Kamaev, V. A. Martyshchenko, V. M. Shershakov, 2012, Experience of the Russian tsunami warning system updating, Russian Meteorology and Hydrology, 37(6): 357-368. 

  27. Anushi, S., K. H. An, A. Gokhale, and J. White, 2011, Maximizing Service Uptime of Smartphonebased Distributed Real-Time and Embedded Systems.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3-10. 

  28. Fajardo, J. T. and C. Oppus, 2010, Implementation of an Android-Based Disaster Management System, WSEAS. 

  29. Hill, T. and R. Westbrook, 1997, SWOT Analysis: It's Time for a Product Recall, long range planning, 30(1): 46-52 

  30. Kim, J. S., S. K. Lee, H. Y. Ahn, D. J. Seo, D. C. Seo, and J. C. Lee, 2012, Accuracy evaluation of a smartphone-based technology for coastal monotoring. Elsevier. 

  31. Lee, J. K., D. L. Niko, and C. S. Kim, 2010. Design of User Generated Contents for Disaster Information System based on Smart-Phone. MITA, 248-250. 

  32. Ly, K. H., J. Dahi, P. Caribring, and G. Anderson, 2012, Development and initial evaluation of a smartphone application based on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SpringerPlus 1(1): 1-11. 

  33. Oliver, D. and G. Michael, 2007, The Economic Impacts of Climate Change: Evidence from Agricultural Output and Random Fluctuations in weather,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97(1): 354-385. 

  34. Palmer, M. A., C. A. R. Liermann, C. Nisson, M. Florke, J. Aicamo, P. S. Lake, and N. Bond, 2008, Climate change and the world's river basins: anticipating management options, Frontiers in Ecology and the Environment 6(2): 81-89. 

  35. Rajsiri, V. J. P. Lorre, F. Benaben, and H. Pingaud, 2010, Knowledge-based system for collaborative process specification, Computers in Industry 61(2): 161-175. 

  36. Riddell, E., A. Rock, P. Clothier, and J. London, 2011, An exploration of the communication needs, priorities and preferences of Queensland youth for improved resilience to natural disasters and recommendations for an appropriate App, Anthony Frangi Industry Consultant School of Journalism. 

  37. Smith, A. D., 2006, Collaborative commerce through Web-Based information Integration technologi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novation and Learning, 4: 127-144. 

  38. Sung, S. J., 2011 How can we use mobile apps for disaster communications in Taiwan: Problems and possible practic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Society conferenc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