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조건이 마삭줄과 후추등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ght Intensity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Nakai and Piper kadzura Ohwi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2 no.2, 2013년, pp.131 - 137  

송은영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  김성철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  김천환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  임찬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  문경환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  손인창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  문영일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  전승종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자생 덩굴식물인 마삭줄과 후추등의 실내 광도차에 따른 생육특성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광도 처리 조합을 3처리구를 만들어 환경 조절 생육상에서 조사하였다. 사용된 광원은 형광등이고, 광 처리를 각각 100lux, 1,000lux, 2,500lux로 달리하여 5개월간 생육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자생 마삭줄은 저광도인 100lux에서 처리 2개월 이후 생존율이 약 16.7%로 식물체 대부분이 고사하였고, 1,000lux와 2,500lux에서는 처리 5개월까지도 생존율이 83.3%로 높게 유지되었다. 실내광도가 높아짐에 따라 초장, 엽수, 분지수, 엽장 및 엽폭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고광도인 2,500lux에서 가장 우세한 생육 및 생장을 보였다. 자생 후추등은 저광도인 100lux에서는 처리 4개월 후 생존율이 50%로 생육이 불량하였으나 1,000lux와 2,500lux에서는 처리 5개월까지도 100%의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1,000lux 조건에서 엽록소 함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고, 엽장과 엽폭이 약간 넓어지는 경향은 보였다. 상록성 덩굴식물인 자생 마삭줄과 후추등을 실내 광조건을 달리하여 처리한 결과 두 식물 모두 1,000lux 이상의 광조건에서 생육이 양호하였고 특히 후추등의 경우 마삭줄에 비해 1,000lux의 낮은 광도에서도 생육이 양호하고 잎이 넓어지고 엽색도 짙은 녹색으로 유지되어 실내식물로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광도가 지나치게 낮아질 경우 생육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 내 음성이 높다고 할지라도 정상적인 생육을 위해서는 적당한 광조건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new indoor plant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ght intensity on the growth of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Nakai and Piper kauzura. Most of T. asiaticum var. intermedium Nakai under 100 lux light intensity were blighted in two months, where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실내 광조건에 따른 자생 덩굴식물 인 마삭줄과 후추등 2종의 생육 변화를 조사함으로서 실내도입을 위한 최소 및 최적의 광조건을 제시함은 물 론 실내식물로써 활용성을 높이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분화 수명에 영향을 주는 실내 환경 요인은 무엇인가? , 2003). 분화 수명에 미치는 실내 환경 요인으로는 광, 온도, 수분, 에틸렌 등이 있다 (Evensen and Olson, 1992; Fjeld, 1991; Serek, 1991; Serek and Reid, 1993, 2000; Nell, 1986). 그 중에서 출하 후 실내의 광과 온도는 식물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실내 관상기간 동안 온도보다는 광이 품질에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Son et al.
상록 덩굴류는 국내 어느 지역에 주로 자생하는가?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있는 덩굴성 식물은 107종으로 이 중 다년생 식물로 낙엽성 이 45종, 덩굴성 관목이 2종, 상록 덩굴류가 18종, 낙엽 덩굴류가 48종이 있다. 상록 덩굴식물 대부분이 남해안의 도서 및 제주도 지역에 분포하여 자생하고 있다. 덩 굴식물은 그 자체가 유연성이 있고 자유자재로 유도하여 키울 수가 있으므로 관상 가치가 높고 약용으로 이용가 능하다.
국내에서 자생하는 덩굴성 식물의 종류는 무엇이 있는가? 우리나라는 사계 절이 뚜렷하고 남북으로 길게 위치한 관계로 자생식물의 분포가 다양한 편이며, 국내 자생식물 중 화훼용으로 개 발 가능한 것은 600여종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Yoon and Lee, 1996), 자연상태 그대로 상품화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농림부, 1999).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있는 덩굴성 식물은 107종으로 이 중 다년생 식물로 낙엽성 이 45종, 덩굴성 관목이 2종, 상록 덩굴류가 18종, 낙엽 덩굴류가 48종이 있다. 상록 덩굴식물 대부분이 남해안의 도서 및 제주도 지역에 분포하여 자생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n, S.E., K.J. Bang, and J.H. Sul. 1995. A study on korean native plants for indoor landscape use-with special reference to native woody plant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3(1):113-121 (in Korean). 

  2. Bang, K.J. and J.S. Lee. 1995. Studies on adaptability of native plants for indoor garden-growth behaviors under different light conditions. Sangmyung Women's University 3:79-90 (in Korean). 

  3. Bang, K.J. and J.H. Ju. 2004. Effects of light intensity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net photosynthesis of Piper kadzura native to Korea for indoor plant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2(4):1-6 (in Korean). 

  4. Berry, J.A. 1975. Adaption of photosynthetic processes to stress. Science 188:644-650. 

  5. Boardman, N.K. 1977. Comparative photosynthesis of sun and shade plants. Ann. Rev. Plant Physiol. 28:355-377. 

  6. Cooper, C.S. and M. Qualls. 1967. Morphology and chlorophyll content of shade and sun leaves of two lengumes. Crop Sci. 7:672-673. 

  7. Evensen, K.B. and K.M. Olson. 1992. Forcing temperature affects postproduction quality, dark respiration, and ethylene responsiveness of Pelargonium $\times$ domesticum. J. Amer. Soc. Hrt. Sci. 117:596-599. 

  8. Falls, B.S., A.J. Lewis, and J.A. Barden. 1982. Light acclimatization potential of Ficus banjamina. J. Amer. Soc. Hort. Sci. 107(5):762-766. 

  9. Fjeld, T. 1991. Effects of silver thiosulfate, ethephon, temperature, and irradiance level on keeping quality of Christmas begonia (Begonia ${\times}$ cheimantha Everett). Gartenbauwissenschaf 56:66-70. 

  10.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1999. Studies on Development of Techniques for Commercial of Native Flowers. Gangwon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Seoul, Korea (in Korean). 

  11. Kim, C.S., J.G. Joh, M.O. Moon, G.P. Song, S.Y. Kim, J. Kim, D.S. Kim, J.H. Tho, and K.M. Song. 2008. Rare plants of Jeju island.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eoul, Korea. p. 16 (in Korean). 

  12. Kim, T.J. 2008. Wild flowers and resources plants in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1:24, 4:152 (in Korean). 

  13. Lee, C.Y., Y. Tsuno, J. Nakano, and T. Yamaguchi. 1995. Ecophysiological responces to weak light condition in soybean. I Effects of shading condition treatment at different growth stage on characteristics of plant and photosynthesis. Japan Rep. Chugoku Br. Crop Sci. 36:41-49. 

  14. Lee, J.S. 1989. Living-horticulture.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p. 148-190 (in Korean). 

  15. Nell, T.A. 1986. Production light level effects on light compensation point, carbon exchange rate, and post-production longevity of poinsettias. Acta Hort. 181: 257-262. 

  16. Serek, M. 1991. Effects of pre-harvest supplementary irradiance on decorative value and ethylene evolution of Campanula carpatica 'Karl Foerster' flowers. Sci. Hort. 48: 341-347 

  17. Serek, M. and M.S. Reid. 1993. Anti-ethylene treatments for potted christmas cactus-efficacy of inhibitors of ethylene action and biosynthesis. HortScience 28: 1180-1181. 

  18. Serek, M. and M.S. Reid. 2000. Ethylene and postharvest performance of potted Kalanchoe. Postharvest Biol. Technol. 18:43-48. 

  19. Simpson, D.J. and T.H. Lee. 1975. Plastoglobules of leaf chloroplasts of two cultivars of Capsicum annuum. Cytobios 15:139-147. 

  20. Son, K.V., Y.J. Kwon, and S.Y. Park. 2003. Effects of indoor light and temperature on postproduction quality of potted flowering plant. Begonia ${\times}$ hiemalis 'Barkos'. J. Kor. Soc. Hort. Sci. 44:729-733 (in Korean). 

  21. Suh, Y.N., J.S. Lee, C.K. Sang, and I.Z. Chi. 1991. Studies on the status of cultivation and utility in foliage plant. J. Kor. Soc. Hort. Sci. 32(4):533-544 (in Korean). 

  22. Yoon, P.S. and J.S. Lee. 1996. A study of research directions and present conditions of native plants. J. Kor. Soc. Hort. Sci. (Autumn symposium on native plants of the Kore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Suwon, Korea. p. 41-50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