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방공무원의 건강증진행위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Fire Officers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2 no.3, 2013년, pp.218 - 227  

김자옥 (원광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김자숙 (동강대학교 간호학과) ,  박아영 (광주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한수정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fire officers in Korea. Methods: It was a descriptive study. The subjects were comprised of 104 fire officers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January to February 2012. The instruments us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건강 유해인자에 노출되어 있는 소방공무원의 건강신념, 자기효능감과 건강증진행위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들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추후 연구에서 효과적인 건강증진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이 건강신념 모델을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방공무원이란 무엇인가 소방공무원이란 소방법에 의하면 화재뿐만 아니라 인적재난과 자연재난을 포함한 모든 재난현장의 긴급구조 기능을 담당하는 특수 공무원으로(Kang, 2012), 24시간 대기, 삶과 죽음을 넘나드는 충격적인 사건 발생 경험, 극도의 상황에 대처 하기 위해 과도한 육체적 활동이 요구되는 직업군에 해당하여 일반 직업군과 다르게 상당한 수준의 직무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다(Glazner, 1996; Guidotti, 2006; Kim, 2004). 최근 공공기관이 주 5일 근무제도가 시행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소방공무원은 여전히 24시간 교대근무를 하고 있으며, 과중한 근무시간과 이로 인한 수면 교란으로 피로가 누적되고 있다(Kim, 2008).
소방공무원의 근무형태는 어떠한가? 소방공무원이란 소방법에 의하면 화재뿐만 아니라 인적재난과 자연재난을 포함한 모든 재난현장의 긴급구조 기능을 담당하는 특수 공무원으로(Kang, 2012), 24시간 대기, 삶과 죽음을 넘나드는 충격적인 사건 발생 경험, 극도의 상황에 대처 하기 위해 과도한 육체적 활동이 요구되는 직업군에 해당하여 일반 직업군과 다르게 상당한 수준의 직무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다(Glazner, 1996; Guidotti, 2006; Kim, 2004). 최근 공공기관이 주 5일 근무제도가 시행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소방공무원은 여전히 24시간 교대근무를 하고 있으며, 과중한 근무시간과 이로 인한 수면 교란으로 피로가 누적되고 있다(Kim, 2008). 미국의 경우도 소방공무원의 재해는 교대근무로 인한 피로 누적과 식이패턴의 변화 때문에 발생한다고 보고하고 있어(Glazner, 1996), 소방공무원의 근무형태와 직무와 관련된 내재적 위험성은 근로자 개개인의 건강 수준 및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Kim, 2008).
소방공무원이 건강 유해인자에 노출되면 어떤 손실이 발생되는가? 즉 과중한 업무와 직무 스트레스에 기인한 직업 관련 만성질환 유병률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생활습관과 관련된 만성질환의 비중도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Lee, 2004). 이와 함께 건강 유해인자에 노출되면서 직무만족도 및 직무몰입의 저하가 야기되고 그로 인한 직무 생산성의 감소와 업무 재해의 증가는 개인과 사회적 차원의 손실을 발생하게 한다 (Kim, 2008). 그러므로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보호 하는 소방공무원의 건강증진행위를 확인하고 올바르게 정립하는 것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Glazner, L. K. (1996). Factors related to injury of shift working fire fighters in the Northeastern United States. Safety Science, 21 (3), 255-263. http://dx.doi.org/10.1016/0925-7535(95)00069-0 

  2. Guidotti, T. L. (2006). Firefighters, stress in. In G. Fink(Eds.), Encyclopedia of Stress. San Diego: Academic Press. 

  3. Han, K. S. (2005). Self efficacy,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ymptoms of str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5, 585-592. 

  4. Jeon, E. Y., & Kim, K. B. (2006). A study of factors that influence the promotion of health behavior in the elderly according to types of residency.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6, 475-483. 

  5. Jo, H. S., Kim, C. B., Lee, H. W., & Jeong, H. J. (2004). A metaanalysis of health related behavior study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in Korea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9, 69-84. 

  6. Ju, H. H. (2011). Related factors in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school teachers. Bulletin of Kimchun Science college, 37, 75-82. 

  7. Kang, S. T.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triction on leisure, lifestyle and the quality of life on police and a firefighting officer who is participated in leisure activity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gin University, Gyeonggido. 

  8. Kim, G. S. (2008). The relationship of job stress with depression and fatigue of the fire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Gwangju. 

  9. Kim, H. K. (2006).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using Pender's Model.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2, 132-141. 

  10. Kim, J. H., Kim, S. J., & Park, Y. H. (2001).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wome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Adult Nursing, 13, 431-440. 

  11. Kim, J. I. (1994). An effect of aquatic exercise program with selfhelp group activities and strategies for promoting selfefficacy on pain, physiological parameter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having rheumatoid arthrit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2. Kim, J. I., & Park, M. Y.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anger in middle-aged 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 Nursing, 12, 38-45. 

  13. Kim, K. H. (2004). A study on the job stress related factors of fire fight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je University, Busan. 

  14. Kim, K. H., Kim, J. W., & Kim, S. H. (2006). Influences of job stressors on psychosocial well-being, fatigue and sleep sufficiency among fire fight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Environment Medicine, 18 , 232-245. 

  15. Kim, Y. J. (2013). A study of relations between a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elf-efficacy of conscripted policeme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 778-785. http://dx.doi.org/10.5762/KAIS.2013.14.2.778 

  16. Lee, B. S., Kim, M. Y., Kim, M. H., & Kim, S. K. (2000). Health belief and performance of health behaviors of som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0, 213-224. 

  17. Lee, K. J., Heo, H. T., Kim, D. W., Kim, I. A., Kim, S. Y., Rho, J. R., et al. (2009). The factors related to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and correlation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HRQOL among municipal fire officers in Incheo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Environment Medicine, 21, 267-275. 

  18. Lee, M. J. (2004). Prediction model for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the workers in a area.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5, 102-109. 

  19. Lee, S. H., & Chon, M. Y. (2004).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he labor workers at the cement manufacturing compan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1 (3), 35-51. 

  20. Lee, T. W. (1989).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1. Min, B. K., & Lee, J. H. (200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elf-efficiency of the dental technicians in Kyungin Area. Bulletin of Dongnam Health College, 19 (1), 59-72. 

  22. Mitani, S., Fujita, M., Sakamoto, S., & Shirakawa, T. (2006). Effect of autogenic training on cardiac autonomic nervous activity in high-risk fire service workers for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60, 439-444. http://dx.doi.org/10.1016/j.jpsychores.2005.09.005 

  23. Moon, J. S. (1990). A study of instrument development for health belief of Korean adul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4. Oh, H. J., & Kim, D. H. (2012). Research on the influential factors in senior citizens' health promotion behaviors. Health and Social Science, 32, 173-197. 

  25. Park, J., Kim, H. H., & Kim, S. W. (2004). The related factors to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some hair dress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1 (2), 117-131. 

  26. Pender, N. J. (1996).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3rd ed.). Stamford, CT: Appleton and Lange. 

  27. Sherer, M., Maddux, J. E., Mercandante, B., Dunn, P. S., Jacob, B., & Rogers, R. W.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 51, 663-671. http://dx. doi.org/10.2466/pr0.1982.51.2.663 

  28. Song, I. H., & Park, J. H. (2011). The effect of parent-child bonding on adolescent health promotion behavior: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8 (6), 75-98. 

  29. Strecher, V. J., & Rosenstock, I. M. (1997). The health belief model. In K. Glanz, F. M. Lewis, & B. K. Rimer (2nd ed.),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San Francisco: Jossey-Bass. 

  30.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 (1987). The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36 (2), 76-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