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합성피혁제조업 근로자에 대한 디메틸포름아미드의 공기중 농도와 생물학적 노출지표간의 상관성 평가
Assessment of correlation between markers of ambient monitoring and biological monitoring of dimethylformamide for workers in synthetic leather manufacturing factories in Korea 원문보기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26 no.5, 2013년, pp.315 - 325  

황양인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  이미영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  정윤경 (한림대학교병원) ,  김은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ossibility of acute hepatotoxicity caused by dimethylformamide (DMF) requires regular monitoring of the workers who are using DMF to prevent the occupational disease. The authors performed ambient and biological monitoring of workers involved in synthetic leather manufacturing processes using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 그러나 이러한 연구에서 국내 근로자에 대해 공기 중 DMF 농도와 소변 중 대사물질간의 상관관계를 다룬 구체적인 사항이 부족하였으며 특히, 근로자 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구 착용 여부, 계절 영향에 대한 조사가 미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DMF의 공기 중 농도와 소변 중 대사물질 농도 간 상관관계를 평가하고 보호구 착용에 의한 영향을 조사하여, 공기 노출 및 피부 노출이 생물학적 노출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MF 노출의 생물학적 노출지표인 소변 중 NMF는 무엇인가? DMF 노출의 생물학적 노출지표인 소변 중 NMF는 DMF에 노출된 근로자의 1 일 노출 지표이며, 공기 중 DMF의 농도, 노출 경로, 피부 흡수 조건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7 Lauwerys 등8은 공기 중 DMF 농도와 소변 중 NMF의 배설량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며, 특히 아무런 개인 보호구가 없을 때에는 호흡보다는 피부 흡수가 더 중요하여 불투과성의 보호 장갑 착용이 DMF의 피부 흡수를 방지하는 방법이라고 제시하고 있다.
DMF 노출에 대한 노출 평가는 외부환경 노출 평가로 공기 중 DMF 농도 외에 내부 노출 평가로서 생물학적 노출 평가를 고려하여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DMF는 호흡기를 통한 흡수뿐만 아니라 점막이나 눈을 포함한 피부경로를 통해서도 쉽게 흡수된다. 따라서 DMF 노출에 대한 노출 평가는 외부환경 노출 평가(external dose monitoring)로 공기 중 DMF 농도 외에 내부 노출 평가(internal dose monitoring)로서 생물학적 노출 평가를 고려하여야 하며 소변 중 NMF가 DMF에 노출된 근로자의 1 일 노출지표라고 제시하고 있다.
1 일 작업 시간 동안의 시간가중 평균 노출 기준)으로 DMF의 노출 기준은 얼마인가? DMF 취급 근로자의 화학 물질에 의한 건강 장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국내외에서 직업적 노출 기준을 정하였으며, 작업장 내 공기 중 노출기준(Threshold limit value, TLV)은 1 일 작업 시간 동안의 시간가중 평균 노출 기준(Time weighted average, TWA)으로 DMF의 노출 기준은 10 ppm (30 mg/m3)이다.3,4 DMF는 피부를 통해 흡수되어 전신에 영향을 끼치는 물질로 직업적 노출기준에 “피부”라고 주의 사항이 표시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S. K. Kim, S. J. Lee and K. C. Chung, Korean J. Occup. Environ. Med., 7(1), 186-190 (1995). 

  2. Korea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Agency (KOSHA). Study on the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rapid poisoning of DMF handling workers, 6-12, 58-61 (2006). 

  3.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 (ACGIH), Documentation of the threshold limit values and biological exposure index, Cincinnati, 2013. 

  4.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oEL). Permissible exposure limit of hazardous subatance (MoEL Public Notice No. 2013-38) (2013). 

  5.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 (ACGIH). Documentation of the threshold limit values and biological exposure index, Cincinnati (1999). 

  6. Korea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Agency (KOSHA), Workers health examination guideline No. 1 - overview of specific health examination, 209-212 (2012). 

  7. T. Sakei, H. Kageyama, T. Araki, T. Yosida, T. Kuribayashi et al.,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67, 125-129 (1995). 

  8. R. R. Lauwerys, A. Kivits, M. Lhoir, P. Rigolet, D. Houbeau et al.,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45, 189-203 (1980). 

  9. J. Mraz and H. Nohova,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64, 79-83 (1992). 

  10. T. Nomiyama, H. Nakashima, L. L. Chen, S. Yamauchi, H. Miyauchi et al.,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74, 224-228 (2001). 

  11. S. K. Kang, J. Y. Jang, K. Y. Rhee and H. K. Chung, Korean J. Occup. Environ. Med., 3(1), 58-64 (1991). 

  12. M. D. Joo, Y. D. Sohn and W. I. Choi, J. Korean Soc. Emerg. Med., 17(5), 515-518 (2006). 

  13. H. K. Chung, S. K. Kang, K. Y. Rhee and J. Y. Jang, Korean J. Occup. Environ. Med., 4(2), 144-150 (1992). 

  14. K. W. Kim, B. S. Choi, S. K. Kang and Y. H. Moon, J. Occup. Environ. Med., 11(1), 106-112 (1999). 

  15. K. Y. Lee, J. H. Byeon, H. R. Song, J. H. Kim, K. W. Ko et al. Korean J. Occup. Environ. Med., 15(2), 162-172 (2003). 

  16. I. S. Chung, J. G. Kim, S. K. Choi, J. Y. Bae and M. Y. Lee, Korean J. Prev. Med., 39(2), 171-176 (2006). 

  17. S. J. Hur, C. H. Suh, C. K. Lee, J. H. Kim, J. T. Lee et al.,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0(4), 225-235 (2010). 

  18. S. W. Lee, T. H. Kim, J. M. Kim and J. C. Kim,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19(2), 113-126 (2009). 

  19. Korea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Agency (KOSHA). Survey report on the exposure and health impairment of dimethylformamide in korea, 53-92 (1999). 

  20. H. C. Choi, G. Y. Kim, S. H. Ahn, Y. J. Lee and K. C. Chung,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11(2), 135-144 (2001). 

  21. NIOSH Manual of Analytical Methods (NMAM), Fourth Edition, The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1994). 

  22. A. Fiorito, F. Larese, S. Molinari and T. Zanin, Am. J. Ind., 32, 244-260 (1997). 

  23. J. Mraz and H. Nohova,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64, 85-92 (1992). 

  24. J. Yonemoto and S. Sunuki,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46, 159-165 (1980). 

  25. M. Imbriani, P. Marraccini, G. Saretto, L. Abatangelo, S. Ghittori et al., Med. Lav., 91(2), 114-124 (2000). 

  26. V. S. Wang, T. S. Shih, C. C. Cheng, H. Y. Chang, J. S. Lai et al., J. Occup. Environ. Med., 46(7), 729-736 (2004). 

  27. J. S. Yang, E. A. Kim, M. Y. Lee, I. J. Park and S. K. Kang,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73(7), 463-470 (2000). 

  28. S. Baglioni, C. Cassinelli, G. Bongini, I. Cenni, N. Graziani, M. Landini, G. Tanturli, M. Brabec and P. Bavazzano,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80(3), 228-33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