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화 소비 결정 요인
Determinants of Film Consump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10, 2013년, pp.226 - 233  

전범수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초록

본 연구는 영화 소비 과정을 탐색하기 위해 영화 취향 및 영화 정보 이용 요인들, 인구사회 요인들을 투입해 영화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화 소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영화 취향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영화 취향 정도가 증가할수록 영화소비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화 취향은 영화 정보를 인터넷으로 검색하거나 영화 블로그를 이용하는 행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화 취향 정도가 높을수록 인터넷으로 영화정보를 검색하거나 영화 블로그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영화 블로그를 이용하는 응답자들은 영화 소비가 늘어났던 반면 영화 인터넷 검색 여부는 영화 소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성별이나 소득과 같은 인구사회 요인들 중에서 성별 요인만 영화 소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응답자일수록 영화 소비 정도가 증가했다. 반면, 소득 요인은 영화 소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determinants of film consumptio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this study explores some factors that explained film consumption based on film tastes and information seeking and socio-demographic factors.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major factor for exp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가변적인 영화 흥행 연구보다는 안정적으로 영화 취향 및 영화 소비가 어떻게 서로 연계되는가를 검토함으로써 영화 소비에 대한 이론적 모델을 탐색해볼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개인적 수준에서 영화 소비의 증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포괄적으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영화 소비 과정을 탐색하기 위해 영화 취향 및 영화 정보 이용 요인들, 인구사회 요인들을 투입해 영화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영화 취향 및 영화 정보 검색, 영화 블로그 이용이 영화 소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영화 취향 및 영화 정보 인터넷 검색(β=.
  • 본 연구는 영화 취향이 영화 정보에 대한 선호도와 이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통해 영화 소비와의 연계성이 있는 가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응답자들의 성별, 소득별 차이가 영화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동시에 포괄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
  • 영화 정보는 영화 상영 여부와 시간, 구매 등에 대한 일반 정보 및 영화 비평이나 감상 정보와 같은 취향 정보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일반 영화 정보 보다는 영화 비평 등을 포함하는 블로그 정보가 직접적으로 영화 소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영화 취향이 영화 정보에 대한 선호도와 이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통해 영화 소비와의 연계성이 있는 가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응답자들의 성별, 소득별 차이가 영화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동시에 포괄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

가설 설정

  • 가설 1: 영화 취향은 영화 정보 인터넷 검색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영화 취향은 영화 블로그 이용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영화 정보 인터넷 검색은 영화 소비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 영화 블로그 이용은 영화 소비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5: 영화 취향은 영화 소비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6: 성별 특성은 영화 소비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7: 소득 특성은 영화 소비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피터슨은 부르디외 이론 대신에 문화잡식성-편식성 가설을 통해 개인이 갖고 있는 다양한 자본 규모가 문화 취향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주장을 내세웠다[10][15]. 문화 및 경제 자본량이 많은 계층에 포함된 개인들은 그렇지 않은 개인들보다 폭넓게 문화 상품들을 소비하는 반면 자본량이 적은 계층에 포함된 개인들은 일부 장르 또는 문화 상품으로만 소비가 편중된다는 가설이었다. 그러나 피터슨 연구 역시 문화 소비를 자본에 의존하는 종속 개념으로만 파악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2년도 국내 영화 중 손익분기점을 넘긴 영화는 몇 편인가? 이는 안정적 수치가 아니라 매년 가변적이다. 2012년도 국내 영화중에는 손익분기점을 넘긴 영화가 총 22편으로 상업영화 70편 중 31.4%에 달하기도 했다[8].
매년 제작되는 80-90%에 달하는 영화들이 초기 투자비용을 회수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매년 제작되는 80-90%에 달하는 영화들이 초기 투자비용을 회수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영화 소비가 집중화되기 때문에 나타나는 결과이다. 영화 소비는 소비자들의 취향대로 분산될 수도 있지만 인기 있는 소수 영화로 집중된다.
영화 정보는 광고와 같은 유료 서비스 방식보다는 인터넷 등의 홍보에 민감한 이유가 무엇인가? 영화 정보는 광고와 같은 유료 서비스 방식보다는 인터넷 등의 홍보에 보다 민감하다. 다른 이용자나 소비자들의 평가 정보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영화 전문가들의 비평이나 일반 네티즌들의 평점, 일반 블로거들의 영화 평가에 대한 정보들이 영화 소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1][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김은영, 박스오피스 : 영화 경제와 시장 지배의 논리, 영화연구 30, pp.59-79, 2006. 

  2. 황유선, 김유정, 심홍진, "뉴미디어 환경에서 영화 관람 그리고 반복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언론학보, 제55권, 제2호, pp.128-154, 2011. 

  3. 전범수, "문화예술 취향 레퍼토리 구조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201-210, 2012. 

  4. 김연형, 홍정한, "영화 흥행 결정 요인과 흥행 성과 예측 연구", 한국통계학회논문집, 제18권, 제6 호, pp.859-869, 2011. 

  5. 박승현, 정완규, "한국 영화시장의 흥행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2006-2008년 개봉작품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9권, 제4호, pp.243-276, 2009. 

  6. 김소영, 임승희, 정예슬, "영화 유형별 영화 흥행성과 예측 요인의 비교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2호, pp.381-393, 2010. 

  7. 이경재, 장우진, "베이지안 선택 모형을 이용한 영화흥행 예측",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2006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pp.1851-1856, 2006. 

  8. 영화진흥위원회, 2012 한국 영화산업 결산, 2013. 

  9. 임이숙, 한국 영화산업의 장르 다양성에 관한 문화생산론적 연구 : 1997-2006, 문화와 사회 7, pp.51-85, 2009. 

  10. 전범수, 이상길, "영화 장르의 사회적 소비 구조", 한국방송학보, 제18권, 제3호, pp.554-597, 2004. 

  11. 정재기, 김고은, "영화소비자들의 온라인 구전정보에 대한 신뢰정도 및 신뢰요인 분석연구 - 네티즌 영화평 및 평점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사회과학 논총, 제12권, pp.155-190, 2010. 

  12. 이재신, 김지은, "전문가와 네티즌 영화평의 온라인 구전 효과", 한국방송학보, 제23권, 제3호, pp.449-484, 2009. 

  13. 박선영, "SNS를 통한 구전 효과가 영화 흥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7호, pp.40-53, 2012. 

  14. P. Bourdieu,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Translated by Richard Nice,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 1984. 

  15. 이호영, 장미혜, "문화자본과 영화선호의 다양성", 한국사회학, 제42권, 제1호, pp.62-95, 2008. 

  16. 서우석, 이호영, "문화취향이 정보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정보화 정책, 제13권, 제3호, pp.197-218, 2006. 

  17. 전범수, 박조원, 박성복, "문화 취향에 따른 대중 문화 블로그 이용 특성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제29권, 제1호, pp.127-158,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