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요자 선호도 분석을 통한 미분양 아파트 마케팅 전략
A Marketing Strategy for Unsold Apartments using Conjoint Analysis of Customer Preferenc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10, 2013년, pp.556 - 564  

이광균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이주형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미분양 아파트 수요자를 대상으로 선호요인을 분석하고 향후 민간측면에서 미분양 아파트 해소를 위한 마케팅 전략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미분양 아파트 수요자 선호요인을 도출한 뒤 컨조인트 분석을 통해 가장 중요하게 판단하는 요인과 상대적으로 포기할 수 있는 요인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미분양 아파트 수요자들은 주택 구매 선택에 있어 미분양에 따른 혜택(분양가 인하 및 보장제)을 입지환경 및 거주환경 보다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분양 아파트 수요자들은 입지환경과 관련해 대중교통 이용이 양호한 환경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며, 거주환경과 관련해서는 단지 내 친환경 수준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분양 아파트인 만큼 가격전략에서는 납부조건 완화보다는 분양가 인하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홍보전략은 주택전시관이나 설명회를 통해 홍보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considering further marketing strategy to resolve unsold housing matters in private sectors through an analysis of preference factors for those housing customers. This study used one of the most widely-used research methods in marketing to figure out the prefer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방법으로는 우선,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미분양주택의 수요자 특성 및 선호요인을 도출한다. 그리고 건설사 및 미분양 아파트 분양업체를 대상으로 분석 요인의 적합성 및 추가로 반영될 필요가 있는 요인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미분양 아파트 구매의사가 있는 수요자들을 대상으로 구매시 가장 중요하게 판단하는 요인에 대해 컨조인트(Conjoint Analysis) 분석을 실시하였다[그림 1].
  • 또한 미분양 아파트는 이미 주택시장에서 다양한 이유로 시장성이 낮다는 것이 판명된 상태이므로 새로운 전략으로 접근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다양해진 수요자들의 수요에 기반하여 미분양 아파트에 대한 선호요인을 분석하고 향후 민간측면에서 미분양 아파트 해소를 위한 마케팅 전략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미분양 아파트 수요자를 대상으로 선호요인을 분석하고 향후 민간측면에서 미분양 아파트 해소를 위한 마케팅 전략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미분양 아파트 수요자 선호요인을 도출한 뒤 컨조인트 분석을 통해 가장 중요하게 판단하는 요인과 상대적으로 포기할 수 있는 요인을 도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미분양 아파트의 구매의사가 있는 수요자계층을 대상으로 수요자 특성을 반영하여 어떤 요인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을 갖는다. 또한 선행연구들에서 부족하였던 종합적인 선호요인 고려를 위해 건설업체 및 전문 분양업체 등을 대상으로 미분양 아파트의 주거선호요인 및 전략요인 등을 조사하여 분석지표로 반영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분양 아파트 수요자를 대상으로 선호요인을 분석하고 향후 민간측면에서 미분양 아파트 해소를 위한 마케팅 전략에 대해 연구한 결과는? 연구방법은 미분양 아파트 수요자 선호요인을 도출한 뒤 컨조인트 분석을 통해 가장 중요하게 판단하는 요인과 상대적으로 포기할 수 있는 요인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미분양 아파트 수요자들은 주택 구매 선택에 있어 미분양에 따른 혜택(분양가 인하 및 보장제)을 입지환경 및 거주환경 보다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분양 아파트 수요자들은 입지환경과 관련해 대중교통 이용이 양호한 환경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며, 거주환경과 관련해서는 단지 내 친환경 수준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분양 아파트인 만큼 가격전략에서는 납부조건 완화보다는 분양가 인하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홍보전략은 주택전시관이나 설명회를 통해 홍보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택개발사업의 경우 단일사업에 비해 투자규모가 크므로 미분양이 될 경우 생기는 문제는? 주택개발사업의 경우 단일사업에 비해 투자규모가 크므로 미분양이 될 경우 그 피해가 건설업체를 넘어 금융권의 동반 부실을 초래하고 다양한 사회, 경제적인 피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또한 주택 미분양은 침체 되어 있는 부동산 경기회복을 더욱 어렵게 하는 요소로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접근이 필요한 상황이다.
미분양 아파트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어떠한 것들이 주를 이루고 있나? 미분양 아파트에 대한 학문적 연구동향은 크게 미분양주택의 특성에 관한 연구, 미분양 아파트의 발생원인및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미분양 아파트를 대상으로 수요자 특성 및 그에 따른 마케팅 전략에 대해 분석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김경오, 수요자 선호도 분석을 통한 미분양 공동 주택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 김덕례, 조명수, "주택건설시장 현안문제와 대응 방안", 건설경제, 통권66권, pp.56-67, 2011. 

  3. 김선덕, "지역별 미분양 주택 분석과 대응 방안", 주택과 사람들, 제209권, pp.22-27, 2007. 

  4. 김현아, "최근 민간주택 미분양 증가의 원인과 해결방안", 건설교통, 제25권, 제1호, pp.1-34, 2007. 

  5. 조영선, 김종진, "미분양 아파트 해소 방안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환경학회지, 제8권, 제2호, pp.241-251, 2010. 

  6. 권순주, 미분양 주택자료를 이용한 주택수요의 가격탄력성 추정,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7. 박재룡, 유정석, "미분양 주택의 적체완화를 위한 정책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부동산연구, 제20권, 제1호, pp.263-280, 2010. 

  8. 박정순,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정보 가전 OSD의 사용성 평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권, 제2호, pp.53-63, 2002. 

  9. 신혜성, 손정락, 김재준, "주택시장의 동태성 분석을 위한 시스템 사고의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지, 제6권, 제3호, pp.144-155, 2005. 

  10. 송윤정, 미분양 주거용부동산의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기법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1. 임정수, "최신 영화 VOD 이용자의 선호도에 대한 컨조인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191-198, 2013. 

  12. 장세웅, 미분양아파트 발생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3. 정창무, 김지순, "주택시장에서의 미분양 아파트의 역할에 대한 실증분석", 대한국토계획학회지, 제40권, 제2호, pp.81-91, 2005. 

  14. 허재완, 김은경, "미분양주택의 시기별 분포특성 및 발생배경 비교", 부동산연구, 제19권, 제2호, pp.259-278, 2009. 

  15. Kotler, Philip, Marketing Management, Prentice-Hail Inc, 7th ed. 1991. 

  16. Peter, J. Paul and Jerry C. Olson, Consumer Behavior and Marketing Strategy, IRWIN Inc.,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