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영재교육 수혜 경험이 학교 성적 및 학업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ifted Education on School Achievements and Academic Skills 원문보기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18 no.10, 2013년, pp.245 - 252  

최정원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이은경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이영준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 수혜 경험이 영재의 학교 성적 및 학업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영재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1세기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핵심 능력인 새로운 지식의 습득, 창의적 문제 해결력, 논리적 사고력, 설득력, 협동력, 자기주도학습능력, 의사소통능력을 영재가 갖추어야 할 학업 능력으로 정의하고 과학고등학교와 영재학교 재학생 1,156명을 대상으로 영재교육 경험이 학교 성적이나 학업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영재교육은 학생들의 새로운 지식 습득, 협동력, 의사 소통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자기주도학습능력, 설득력 향상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낮게 나타났다. 또한 영재교육 수혜 경험이 학교 성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연구 방법, 실험 실습 방법, 토론 방법 등을 학습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영재교육과정을 개선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implications after investigating how gifted education affected the school achievements and academic skills of students who have experience of gifted education. In this study, academic skills include academic knowledge,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log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1세기 사회는 우수한 인재가 그 국가의 부와 경쟁력을 좌우하기 때문에 창의적 문제해결력, 논리적 사고력, 협동력, 자기주도학습능력 등을 갖춘 인재 양성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핵심 능력을 영재들이 갖추어야 할 학업 능력으로 정의하고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영재교 육이 영재 학생의 학교 성적 및 학업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주로 진학하는 과학고등학교와 영재학교 학생 1,156명을 대상으로 영재교육이 학교 성적 및 학업 능력에 미친 영향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영재교육 수혜 경험이 영재의 학교 성적과 학업 능력에 미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과학고등 학교와 영재학교의 재학생을 단순무선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과학고등학교와 영재학교의 학생들은 약 80%가 기존에 영재교육을 경험한 학생들이기 때문에 영재교육 수혜 경험에 대한 설문을 하기에 적절하기 때문이다[1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에서 역량과 지식, 전문성을 지닌 학생들에게 어떤 것을 강조하고 있나?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는 21세기를 준비하는 학생들을 지원하는 국가 기관으로 학생들이 혁신을 필요로 하는 글로벌 사회의 경쟁에 살아남을 수 있도록 기초문 해력(3Rs)과 비판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의사소통력, 협동력, 창의성과 혁신이라는 핵심역량(4Cs: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Collaboration, and Creativity and innovation)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1]. 역량과 지식, 전문성을 지닌 학생들이 삶과 직업세계에서 성공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며 지식, 핵심 역량, 전문적인 기술, 학문의 기초 등을 효과적으로 융합하여 학생들이 비판적인 사고력을 가지고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강조한다. 이를 위하여 4가지 영역으로 구성된 프레임을 제시하고 있으며 핵심교과와 21세기 테마라는 영역을 토대로 삶과 직업 역량, 학습과 혁신 역량, 정보, 미디어, 기술 역량의 세 영역을 강조하고 있다.
영재교육의 목적은? 영재교육의 목적은 영재성을 보이는 아동을 조기에 발굴하여 그 능력과 소질에 맞게 교육함으로써 그들의 자아실현 뿐아니라 국가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과거의 인재는 읽기, 쓰기, 셈하기의 기초문해력 (3Rs: Read, wRite, aRithmetic)를 중심으로 학습하고 우수한 성적을 거두면 되었다.
21세기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핵심 능력은 무엇이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 수혜 경험이 영재의 학교 성적 및 학업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영재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1세기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핵심 능력인 새로운 지식의 습득, 창의적 문제 해결력, 논리적 사고력, 설득력, 협동력, 자기주도학습능력, 의사소통능력을 영재가 갖추어야 할 학업 능력으로 정의하고 과학고등학교와 영재학교 재학생 1,156명을 대상으로 영재교육 경험이 학교 성적이나 학업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영재교육은 학생들의 새로운 지식 습득, 협동력, 의사 소통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자기주도학습능력, 설득력 향상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낮게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 http://www.p21.org/overview/skills-framework 

  2. H. O. Heo, "teaching-learning activities development to support the future schools series 1 : 21st century learner and teacher competencies modeling,"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Report KR 2011-2, pp.26-36, 2011. 

  3. E. Lee, "Perspectives and Challenges of Computing Education: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for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nd Computational Thinking",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Summer Conference 2013, Vol.21, No.2,pp.203-206, July 2013. 

  4. E. Lee, "Utilization of Scratch 2.0 for Improving Computational Thinking and Promoting Computational Participation", Korea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Summer Conference 2013, Vo.17, No.2, pp.41-44, August, 2013. 

  5. G. C. Sim, G. H. So, and Y. S. Kim, "Case study on learners' evaluation of improvement of science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gifted," Journal of the society for the international gifted in science, Vol.1, No.1, pp.33-41, 2007. 

  6. G. S. Han, D. H. Ahn, M. S. Kim, and T. Y. Yang, "Comprehensive diagnosis and analysis for the effectiveness of science-gifted education program in Korea," Asian Journal of Education, Vol.9, No.4, pp.271-295, 2008. 

  7. H. B. Lee, "Development of a matrix-focused instructional materials for personal education for th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of computer scienc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ol.16, No.2, pp.139-155, 2011. 

  8. J. Y. Park, J. W. Choi, and Y. J. Lee, "Elementary informatics gifted teaching plan using puzzles," KSCI review, Vol.20, No.2, pp.163-166, 2012. 

  9. G. S. Han, and T. Y. Yang,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a university affiliated science-gifted educational program: The case of C gifted education center,"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Vol.29, No.2, pp.137-155, 2009. 

  10. T. Y. Ynag, G. S. Han, and I. H. Park, "Meaning and impact of gifted education: Perspectives of graduates from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affiliated with university," Journal of gifted talented education, Vol.17, No.3, pp.488-493, 2007. 

  11. Hertzog, N. B., "Impact of gifted programs from the students' perspectives," Gifted Child Quarterly, Vol.47, No.2, pp.131-143, 2003. 

  12. Callahan, C., "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services: Assessment issues. Challenges in gifted education: Developing potential and investing in knowledge for the 21st century," Columbus: Ohio State Department of Education, pp.109-114, 1992. 

  13. Little, C. A., Feng, A. X., VanTassel-Baska, J., Rogers, K. B., and Aver, L. D., "A study of curriculum effectiveness in social studies," Gifted Child Quarterly, Vol.51, No.3, pp.272-284, 2007. 

  14. Matthews, D., and Kitchen, J., "School within a school gifted programs: Perceptions of students and teachers in public secondary schools," Gifted Child Quarterly, Vol.51, No.3, pp.26-271, 2007. 

  15. S. Rachmel, "The New Policy for Promoting Education for Outstanding and Gifted Students in Israel. Science Education: Models and Networking of Student Research Training under 21," IOS Press, pp.130-139, 2007. 

  16. J. VanTassel-Baska, "A content analysis of evaluation findings across 20 gifted programs: A clarion call for enhanced gifted program development," Gifted Child Quarterly, Vol.50, No.3, pp.199-215, 2006. 

  17. Y. Lee, and J. W. Choi, "The current status development plan on the continuity gifted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 Vol.11, No.3, pp.23-44, 2012. 

  18. G. A. Davis, and S. B. Rimm.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Pearson Education, pp.33-36,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