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복분자 미성숙과와 황기 추출물 혼합비율에 의한 조골세포의 활성연구
The Optimal Combination of the Mixture of Unripe Rubus coreanus and Astragalus membranaceus in the Activation and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ic Cell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6 no.5, 2013년, pp.658 - 662  

구현정 (가천대학교 생명과학과) ,  손은화 (강원대학교 생약자원개발학과) ,  강세찬 (가천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과 황기 뿌리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다양한 혼합비율을 이용하여 조골세포의 증식과 활성변화를 확인하고, ALP 활성 및 osteocalcin의 분리량 측정을 통하여 복분자 추출물과 황기추출물의 최적혼합비율을 결정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각 혼합비율(복분자:황기=1:9, 2:8, 3:7, 4:6, 5:5, 6:4, 7:3, 8:2, 9:1)에 따른 혼합물을 MG-63 조골세포에 처리하여 세포의 증식과, 분화마커 ALP의 활성 및 osteocalcin 분비량을 측정함으로써 골다공증 치료에 유용한 복분자 추출물과 황기추출물의 혼합비율을 7:3으로 최적화하였다. 혼합비율 0:0에서 조골세포증식이, 혼합비율 72:28이 세포 내 ALP 활성 증가를, 68:32이 세포 내 osteocalcin의 분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7:3의 혼합물이 항골다공증 효과에 우수한 결과가 있을 가능성을 나타내며, 특히 조골세포의 활성화 촉진으로 인해 골파괴 진행을 억제하는 효과, 즉 병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작용기전이 아니라 골을 다시 형성해줄 수 있는 긍정적 효능에 대한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결과에 의해서 제공되는 최적혼합비율의 혼합물에 대한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임상실험과 그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가 더욱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ubus coreanus and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have been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with various pharmacological properties for a long time in Asia. We investigated the proliferative and differentiative effects on osteoblastic cells, MG-63 in various mixture ratios of immature fructus extract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 및 약용식물, 특히 한국에 분포하는 천연소재로부터 골대사에 관련하는 세포들의 분화나 기능을 조절하는 물질을 탐색함으로써, 부작용이 적은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 소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본 연구소재로 선택된 복분자 딸기(Rubus coreanus Miquel)의 미성숙 과일은 장미과(Rosaceae), 산딸기속(Rubus)으로 주로 한국과 중국, 일본 등의 아시아에 많이 분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열매는 6-7월경에 적색으로 익은 후 나중에는 검게 변한다.
  • 최근 저자는 황기추출물이 면역증강작용에 의한 골흡수 억제활성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이들의 혼합물이 조골세포의 활성 증가와 파골세포의 활성 억제 기전을 동시에 갖는 임상적으로 매우 강력한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제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복분자 추출물과 황기추출물의 다양한 혼합 비율에서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제 개발로 이어질 수 있는 혼합물의 최적 조건을 보고함으로써, 향후 복분자와 황기추출물의 혼합물이 임상적으로 쉽게 적용 되고 제품개발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과 황기 뿌리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다양한 혼합비율을 이용하여 조골세포의 증식과 활성변화를 확인하고, ALP 활성 및 osteocalcin의 분리량 측정을 통하여 복분자 추출물과 황기추출물의 최적혼합비율을 결정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각 혼합비율(복분자:황기=1:9, 2:8, 3:7, 4:6, 5:5, 6:4, 7:3, 8:2, 9:1)에 따른 혼합물을 MG-63 조골 세포에 처리하여 세포의 증식과, 분화마커 ALP의 활성 및 osteocalcin 분비량을 측정함으로써 골다공증 치료에 유용한 복분자 추출물과 황기추출물의 혼합비율을 7:3으로 최적화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조직은 무엇에 의해 골량 및 골격의 항상성을 유지하고 있는가? 골조직은 골흡수 작용과 골형성이 끊임없이 일어나는 동적인 작용인 골재형성(bone remodeling)에 의해 골량(bone mass) 및 골격의 항상성(skeletal homeostasis)을 유지하고 있다(Kang et al., 2010; Karsenty, 2003).
조골세포의 역할은? , 2010; Karsenty, 2003). 이와 같은 골재형성 과정에는 조골세포와 파골세포의 상호 작용이 매우 중요한데, 파골세포는 골수의 monocyte-macrophage 계통인 조혈모세포(hematopoietic precursor)로부터 분화하여 활성화되어 뼈를 파괴하고 흡수하는 역할을 하고, 조골세포는 뼈기질을 합성하고 채우는 역할을 한다. 이 두 종류 세포간의 밀접한 연관성으로 뼈의 항상성이 유지되게 되며, 파골세포에 의해 골 흡수가 이뤄진 만큼 조골세포에 의한 골 형성이 이루어짐으로써 항상 일정한 양의 골조직이 유지되게 된다.
복분자 딸기 열매의 효능은 무엇인가? 이러한 과정에서 본 연구소재로 선택된 복분자 딸기(Rubus coreanus Miquel)의 미성숙 과일은 장미과(Rosaceae), 산딸기속(Rubus)으로 주로 한국과 중국, 일본 등의 아시아에 많이 분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열매는 6-7월경에 적색으로 익은 후 나중에는 검게 변한다. 복분자에는 여러 가지 유기산과 비타민류, 여러 가지 무기성분, 탄닌을 포함한 플라보노이드류 성분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항암활성 및 면역증진 효과, 항산화 및 항균효과, anaphylaxis 억제효과, 혈관신생억제(antiangiogenesis) 효과 및 알레르기 관련 질병에 치료 효과, 고지혈증 효과 등 다양한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Jeon et al., 2009;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hoi, C., H. Lee, H. Lim, S. Park, J. Lee and S. Do. 2012. Effect of Rubus coreanus extracts on diabetic osteoporosis by simultaneous regulation of osteoblasts and osteoclasts. Menopause 19:1043-1051. 

  2. Ilich, J.Z. and J.E. Kerstetter. 2000. Nutrition in bone health revisited: a story beyond calcium. J. Am. Coll. Nutr. 19:715-737. 

  3. Jeon, Y.H., S.W. Choi and M.R. Kim. 2009. Antimutagenic and cytotoxic activity of ethanol and water extracts from Rubus coreanus. Korean J. Food Cookery Sci. 25:379-386. 

  4. Kang, S.C., J.D. Lim, J.C. Lee, H.J. Park, N.S. Kang and E.H. Sohn. 2010. Effects of fructus and semen from Rosa rugosa on Osteoimmune cells. Korean J. Plant Res. 4:157-164. 

  5. Karsenty, G. 2003. The complexities of skeletal biology. Nature 423:316-318. 

  6. Kennel, K.A. and M.T. Drake. 2009. Adverse effects of bisphosphonates: Implications for Osteoporosis management. Mayo. Clin. Proc. 84:632-638. 

  7. Kim, S., C.K. Kim, K.S. Lee, J.H. Kim, H. Hwang, D. Jeoung, J. Choe, M.H. Won, H. Lee, K.S. Ha, Y.G. Kwon and Y.M. Kim. 2013. Aqueous extract of unripe Rubus coreanus fruit attenuates atherosclerosis by improving blood lipid profile and inhibiting NF- $\kappa{B}$ activation via phase II gene expression. J. Ethnopharmacol. 146:515-524. 

  8. Komori, T. 2010. Regulation of osteoblast differentiation by Runx2. Adv. Exp. Med. Biol. 658:43-49. 

  9. Lee, K.H. and E.M. Choi. 2006. Rubus coreanus Miq. extract promotes osteoblast differentiation and inhibits bone-resorbing mediators in MC3T3-E1 cells. Am. J. Chin. Med. 34:643-654. 

  10. Lu, S., K.J. Chen, Q.Y. Yang and H.R. Sun. 2011. Progress in the research of Radix Astragali in treating chronic heart failure: effective ingredients, dose-effect relationship and adverse reaction. Chin. J. Int. Med. 17:473-477. 

  11. Manglagas, S.C. 2000. Birth and death of bone cells: basic regulatory mechanisms and implications for the pathogenesis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Endocr. Rev. 21:115-137 

  12. Ochiuto, F., R.D. Pasquale, G. Gualielmo, D.R. Palumbo, G. Zangla, S. Samperi, A. Renzo and C. Circosta. 2007. Effects of phytoestrogenic isoflavones from red clover (Trifolium pretense L.) on experimental osteoporosis. Phytother. Res. 21:130-134. 

  13. Park, M.C., K.J. Kim, H.S. Lee and E.H. Jo. 2007. Attenuation of airway hyperreactivity (AHR) and inflammation by water extract of Rubus coreanus Miq. (WRCM). J. Korean Orient.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 20:177-194. 

  14. Pertynski, T. and G. Stachowiak. 2006. Menopause-facts and controversies. Endokrynol. Pol. 57:525-534. 

  15. Seibel, M.J. 2005. Biochemical markers of bone turnover:part I:biochemistry and variabillity. Clin. Biochem. Rev. 26:97-12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