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하공공보도시설 보행환경의 사용자 만족도연구 - 영남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of Pedestrian Environment in the Underground Public Pedestrian Facility - Focusing on the Yeongnam province - 원문보기

生態環境建築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v.13 no.3, 2013년, pp.129 - 134  

박중호 ((주)이가종합건축사사무소) ,  최재원 (경운대학교 건축학부) ,  최영오 (영남이공대학교 건축과) ,  이호영 (대구보건대학교 소방안전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search for improvement of Pedestrian Environment through User Satisfaction on Underground Public Pedestrian Facility. Development of large scale underground spaces has been increased by urban multi-dimensional. However, concern for practical users is in lack because the aim of the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각 대분류항목에 따른 회 . 귀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유의항목과, 현재의 보행환경 조성실태에 대한 불만족항목과의 비교를 통하여 개선대상항목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적절한 비교를 위하여 2000년대 이후 건립된 지하공공보도시설과 80년대 건립된 지하공공보도시설을 비교분석하여 보행환경개선을 위한 요인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현재까지 지하공공보도시설을 중심으로 한 국내의 지하공간 개발의 목적은 대부분 그 지하공간을 이용하는 이용자 중심이 아니라 해당 시설의 개발비용을 회수하기 위한 목적, 혹은 시설의 상업적 개발을 통한 이윤 취득의 목적으로 개발되어져 온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지하공공보도시설에서의 주된 이용자인 보행자를 중심으로 현재의 지하공공보도시설에 대한 보행환경 조성현황을 파악하고 실제 보행환경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 연구를 실시하여 각 현황에 대한 실태분석을 하고자 한다.
  • 귀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유의항목과, 현재의 보행환경 조성실태에 대한 불만족항목과의 비교를 통하여 개선대상항목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적절한 비교를 위하여 2000년대 이후 건립된 지하공공보도시설과 80년대 건립된 지하공공보도시설을 비교분석하여 보행환경개선을 위한 요인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지하공공보도시설에서의 친환경적 보행환경 조성을 위하여 현재의 지하공공보도시설이 가지는 보행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조성실태를 파악하고 그 후 평가항목을 통한 이용자 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분석을 통해 지하공공보도시설의 실증적 보행환경 개선요인을 추출하여 보다 현실적이고 친환경적인 대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세부적인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지하공간에 대한 보행환경요소를 추출하기 위하여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들의 고찰을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지하공공보도시설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특히, 주된 이용자가 공공의 일반 보행자임을 감안하여 그 시설의 보행환경에 대한 문제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까지의 지하공간과 관련된 선행 연구와 관련 문헌을 토대로 지하공공보도시설내의 보행환경의 중요성과 특성을 인지하였으며, 보행환경을 구성하는 기본 항목을 토대로 보행환경 평가항목을 정립하여 각 요소들을 중심으로 이용자 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만족도분석에 따른 불만족항목을 도출하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도출된 유의항목들 , 간에 공통으로 속하는 항목을 중요항목이라 가정하고 이를 개선항목으로 설정하여야 한다. 2000년대에 건립된 지하공공보도시설과 1980년대에 건립된 지하공공보도시설에 대한 개선대상 항목을 정리하면 각각 다음 표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하공공보도시설의 실증적 보행환경 개선요인을 추출하여 제시한 현실적이고 친환경적인 대안은? 첫째, 2000년대에 건립된 지하공공보도시설의 경우 보도폭이 최소 6.0m 이상으로 충분한 폭을 확보하고 있었으며 설문조사결과도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80년대에 건립된 지하공공보도시설의 경우 보도폭이 4.8m 혹은 5.0m 정도의 폭을 확보하고 있었으며 실제 유효보도폭은 3.0m 내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지하공간의 환경적 개선을 위해서는 유효폭의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지상출입구의 경우 대부분의 지하공공보도시설이 100m 이내외에 1개소 이상의 지상출입구를 확보하고 있었으며 출입구개당 연면적은 만족도에 크게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적절한 출입구의 확보와 더불어 내부공간의 친환경적 개선이 보다 필요할 것이라 판단된다. 셋째, 2000년대에 건립된 지하공공보도시설의 경우B5. (가로시설물의 적절성 ) C2.(수직이동편의시설의 정도)항목과 D2.(출입구의 인식성)항목이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항목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80년대에 건립된 지하공공보도시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보행환경에 대하여 전반적인 개선이 이루어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B5. (가로시설물의 적절성)항목과 C2.(수직이동편의시설의 정도)항목의 경우 시민의식수준과 삶의 질 향상에 따라 시민들의 요구도는 높은 반면 해당 시설의 수준은 그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추후 지속적인 환경적 개선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80년대에 건립된 지하공공보도시설의 경우 총 7개의 항목이 개선대상항목으로 추출되었는데 이는 지하공공보도시설에서의 친환경적 보행환경에서 전반적으로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접근성과 쾌적성에 대한 항목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추후 개선의  우선순위결정 및 개선방법에 대한 면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하공공보도시설이란? 지하공공보도시설에 대한 정의는 지난 년에 제정된 2005‘ · ’ 지하공공보도시설의 결정 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1)을 통하여 정의되고 있으며 도로·광장 등의 지하에 설치된 지하보행로·지하광장·지하도상가와 그에 따른 지하도출입시설 지하층연결로 및 부대시설을 지칭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지하공공보도시설의 특징은? 지하공공보도시설은 지상의 환경과는 격리된 채, 지하보행로나 지하도출입시설 등으로 연결되며 또한 계획적이고 대규모적인 개발에 의하여 형성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지상의 환경과는 다르게 개발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초기의 지하공공보도시설은 지하보행로 중심의 공간으로 시작하였으나 점차 그 기능과 공간의 효율적 이용의 측면에서 지하도상가의 필요성이 부각되었고 현재 대부분의 지하공공보도시설에서 지하보행로와 지하도상가가 함께 개발되고 있다 이에 관련된 선행연구는 다음과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심우갑, 김창수, 이강주. 지하공간건축. 시공문화사, 1997 

  2. 권태범. 대구광역시 보행환경 정비방안. 대구경북개발연구원, 2001,12 

  3. 임윤환. 지하공공보도의 보행만족에 영향을 주는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2005 

  4. 박현근. 입체복합시설의 매개공간내 물리적 요소에 따른 보행 환경 특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8 

  5. 김태호. 지속가능한 보행환경을 위한 보행자 네트워크 서비스질 평가지표 개발. 한양대 석사논문, 2008 

  6. 이강주, 서충원. 지하공간 건축가이드라인 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2권 제4호(통권210호). 2006 

  7. 박소현, 최이명, 서한림. 도시 주거지의 물리적 보행환경요소 지표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4권 제1호(통권231호). 2008 

  8. 이강주. 경남지역 지하공공보도시설의 시설현황 조사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4권 제2호(통권232호), 2008 

  9. 김효경, 민들레, 정성원. 도심부 보행활성화를 위한 기존 지하 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6권 제1호(통권255호). 2010 

  10. John Carmody, Raymond Sterling. (1993). Underground Space Design.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11. Brambilla, Roberto. (1977). For pedestrians only : planning, design, and management of traffic-free zones. Whitney Library of Desig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