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ID 기술 적용을 통한 공동주택단지 물순환 개선 연구 - 침투시설 적용을 중심으로 -
The Water Circulation Improvement of Apartment Complex by applying LID Technologies - Focused on the Application of Infiltration Facilities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1 no.5, 2013년, pp.68 - 77  

서주환 (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  이인규 (경희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세계적인 기후변화 영향은 한반도의 강우패턴 변화와 그로 인한 홍수와 폭설, 가뭄 등의 급격한 기상이변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국내외적으로 기후변화대응 관련 다양한 대안이 검토되고 있으며, 선진외국에서는 10여 년 전부터 저영향개발(LID)을 통한 수자원의 활용과 환경 친화적인 개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국내에서도 일부 개발 사업에 LID 기법을 적용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관련 기술의 연구개발이 진행 중이다. 그러나 민간이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제도 및 기술이전이 부족한 실정이며, LID 요소기술의 실효성 또한 충분히 합의되지 못한 현실이다. 이에 LID 요소기술 중 공동주택단지에 적용하기 용이한 요소기술을 분류하고, 그 중 침투기능을 수행하는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공동주택단지 조경공간에 적용하고, 물순환 모의(SWMM 5.0)를 시행하고, 기술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각기 다른 지역의 공동주택단지 3개소를 대상으로 미국 EPA의 SWMM 5.0을 활용한 강우모의를 실시하고, LID기법 적용 전, 후의 물순환 모의(침투량, 지표증발량, 지표유출량)를 실시하였다. 녹지공간에서 LID 기술의 중요성은 빗물의 양적 질적 조절과 공동주택단지의 Amenity를 증진 시키는 역할이다. 공동주택단지의 물리적 한계를 이해하고 원활한 수순환 계통의 적용을 위하여 LID 통합관리기술(IMPs)을 적용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조경, 건축, 토목, 환경전문가간의 저영향개발에 대한 기술적 통섭의 노력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ange in the Global Climate causes flood, drought, heavy snow, and rainfall patterns in the Korean Peninsula. A variety of alternatives related to climate change are considered. The foreign researchers are interested in Low Impact Development(LID); the utilization of water resources and eco friend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방안에 대한 매뉴얼 또는 가이드라인의 미비로 인하여 적절한 도입이 이뤄지고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공동주택단지의 다양한 토지이용 형태를 고려하여 저영향개발(LID)의 다양한 적용기술(BMPs: Best Management Practice) 중 침투기술을 활용한 물순환 개선효과를 연구하고자 하며, 본 연구에서는 물순환 분석모델(SWMM 5.0) 적용을 통하여 LID 요소기술의 공동주택단지 적용성과 효과 검증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영향개발이란 무엇인가?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은 도시화에 따른 불투수면 증가로 인한 자연적 물순환 체계 훼손 및 파괴, 수 생태계 등을 개발 이전의 상태에 최대한 가깝게 만들기 위한 토지이용계획 및 도시개발 기법을 말한다(표 1 참조). 기존 물순환 시스템은 빠른 배수와 도시 내 홍수 등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LID 방식은 강우 유출 발생지점에서부터 침투, 저류 등을 이용하여 발생원에서부터 빗물을 관리하여 유출량 저감 및 비점오염원 저감 등 자연적 물순환 체계를 확립하고, 건전한 열 순환 등을 유도할 수 있다(강두기, 2009).
세계적인 기후변화 영향은 국내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세계적인 기후변화 영향은 한반도의 강우패턴 변화와 그로 인한 홍수와 폭설, 가뭄 등의 급격한 기상이변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국내외적으로 기후변화대응 관련 다양한 대안이 검토되고 있으며, 선진외국에서는 10여 년 전부터 저영향개발(LID)을 통한 수자원의 활용과 환경 친화적인 개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경제성장 위주의 도시화, 산업화 등이 진행되면서 발생한 환경적 변화는 어떤 문제를 발생시키는가? 경제성장 위주의 도시화, 산업화 등이 진행되면서 도시 내 녹지면적의 감소, 불투수면 증가, 친수공간 감소 등으로 환경적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그로 인해 자연적 물순환 체계의 파괴가 야기되고 있으며, 하천 유량 감소, 홍수, 가뭄, 하천 및 호소의 수질 악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강두기(2009) 저영향개발. 대한토목학회지 57(7): 95-100. 

  2. 강창국(2011) 가로 조경공간을 활용한 수직여재 겸비된 소규모 인공습지개발.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국립환경과학원(2009) 오염총량관리를 위한 개발사업 및 사업장 비점오염 최적관리방안 연구. 

  4. 국립환경과학원(2010) 수질오염총량관리를 위한 비점오염원 최적관리지침. 

  5. 국토해양부(2010) 보도자료 국내최초로 아산신도시에 분산식빗물 시스템 도입 2010.7.22 

  6. 김이형(2008) 21세기 친환경 건설을 위한 Low Impact Development (LID) 기술. 한국수자원학회지 41(6): 47-57. 

  7. 김정진(2009) 도시개발지역 LID기법적용을 위한 BMP별 효과분석. 안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이정민, 김종림(2012) 녹색도시 물순환 계획요소 및 수문순환 모의. LHI Journal 3(3): 271-278. 

  9. 임용균(2011) 친환경적 도시개발을 위한 LID기술 적용에 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장수환(2009) 신도시의 물순환 건전화를 위한 그린인프라 조성 기준에 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제2009권 17호. 

  11. 최희선(2010) 수변지역 도시재생에 있어 저영향개발기법(LID)의 적용 방안 및 효과. 한국정책평가연구원. pp. 6-7. 

  12. 토지주택연구원(2008) 자연순응형 빗물관리시설에 의한 빗물 오염부하 및 유출량 저감효과. 

  13. 환경부(2009) LID기법을 활용한 자연형 비점오염 관리방안 마련. 

  14. 환경정책.평가연구원(2010) 수변지역 도시재생에 있어 저영향개발기법 (LID)의 적용방안 및 효과. 

  15. SEMCOG(2008) Low Impact Development Manual for Michigan: A Design Guide for Implementors and Reviewers. 

  16. UACDC(2010). Low Impact Development: a design manual for urban areas(University of Arkansas Community Design Center). p. 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