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ert-Butyl Hydroperoxide로 산화 스트레스가 유도된 HepG2 세포에서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from Cornus walteri Wanger against Oxidative Stress Induced by tert-Butyl Hydroperoxide in HepG2 Cell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10, 2013년, pp.1525 - 1532  

연성호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함현미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성지혜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영화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남궁슬기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헌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준수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HepG2 세포에 TBHP로 산화 스트레스를 유도한 뒤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의 세포 보호효과, ROS 생성억제, 지질과산화 억제 및 GSH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은 HepG2 세포에 TBHP로 산화 스트레스를 유도한 뒤 나타나는 세포독성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세포 보호효과를 보였으며, ROS 생성과 과산화물에 대한 지표로서 측정한 MDA도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에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되었다(P<0.05). 또한 항산화 성분으로 생체 내에서 산화 및 환원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항산화 효소인 GSH-Px, GST에 전자공여체로 작용하는 GSH의 생성촉진 효능에서도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은 산화 스트레스로 감소된 GSH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촉진시켰다(P<0.05). 산화 스트레스에 의해 활성이 증가된 항산화 효소(CAT, SOD, GSH-Px, GR)도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의 처리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보아 말채나무 열수 추출물은 인체 내에서 질병과 노화를 일으키는 원인 물질인 활성산소에 대해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냄에 따라 보다 다양한 형태의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t water extract from Cornus walteri Wanger (CWE) on tert-butyl hydroperoxide (TBHP)-induced oxidative stress in HepG2 cells.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concentrations of cellular lipid peroxidation products and reduc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말채나무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물질의 함량 및 항산화력에 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량의 phenol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말채나무에 강력한 항산화 활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말채나무를 열수 추출한 후 동결건조한 것을 시료로 하여 항산화 활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즉 HepG2 세포에 tert-butyl hydroperoxide(TBHP)로 산화 스트레스를 가했을 때 세포 생존율 및 세포독성 보호 효과와 ROS 생성 억제효과, 지질과산화물의 측정지표인 malondialdehyde(MDA)의 농도, 그리고 세포 내 항산화 방어시스템의 주요 효소들의 활성 및 체내 비 효소적 항산화물질인 glutathione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다량의 phenol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말채나무에 강력한 항산화 활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말채나무를 열수 추출한 후 동결건조한 것을 시료로 하여 항산화 활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즉 HepG2 세포에 tert-butyl hydroperoxide(TBHP)로 산화 스트레스를 가했을 때 세포 생존율 및 세포독성 보호 효과와 ROS 생성 억제효과, 지질과산화물의 측정지표인 malondialdehyde(MDA)의 농도, 그리고 세포 내 항산화 방어시스템의 주요 효소들의 활성 및 체내 비 효소적 항산화물질인 glutathione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가설 설정

  • 3)Mean of triplicate determination expressed as mg TEAC per 100 g of CWE.
  • 4)Reducing power activity of water extracts expressed as optical density at 700 nm.
  • 5)Values with the same letter in the same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활성산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인간을 비롯한 산소를 이용하는 모든 생명체들은 공기 중의 산소를 이용하여 생명유지에 필요한 에너지를 발생하는 과정에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 발생한다(1). 활성산소는 광범위한 생체 현상에 관여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생체의 장애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유해산소로 알려져 있는 활성산소인 superoxide radical(O2-·), hydrogen peroxide(H2O2), hydroxyl radical(·OH), singlet oxygen(1O2) 등은 가장 안정한 형태인 삼중항 산소(triplet oxygen, 3O2)가 환원되면서 생성되어진다. 이러한 활성산소는 반응성이 매우 강하여 주위의 화합물과 쉽게 반응하여 높은 반응성을 갖는다(2,3).
말채나무는 무엇인가? 이러한 산화 스트레스가 지속되면 DNA를 손상시켜 암을 유발하고, 세포 생체막의 구성성분인 불포화지방산을 공격하여 과산화반응을 일으켜 체내 과산화지질을 축적함으로써 피부노화를 비롯한 동맥경화, 뇌졸중, 당뇨병, 종양의 생성과 같은 여러 가지 질병을 야기한다고 알려져 있다(4-7). 말채나무(Cornus walteri Wanger)는 우리나라 전국 각지의 습기가 비교적 많은 계곡 주변이나 궁궐, 왕릉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나무로 층층나무과(Cornaceae), 층층나무속(Cornus)에 속하는 교목성 낙엽활엽수이다(8). 한방에서는 말채나무의 가지와 잎을 모래지엽(毛棶枝葉)이라 하여 설사를 멈추거나 옻독을 치료하는데 사용하고 있으며, 민간에서는 말채나무를 달여 먹으면 살이 빠진다 하여 ‘신선목’ 또는‘빼빼목’이라는 이름으로 사용되어 왔다.
세포 내 항상성이 깨지면서 활성산소의 생성이 증가하여 산화 스트레스가 지속되면 어떤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가? 이렇게 발생된 활성산소는 자기방어기구인 생체 내 제거 기작에 의해 대부분 몸속에서 저절로 없어지거나 각종 감염을 막는 면역 기능도 하지만, 생체 방어기구에 이상이 초래되거나 각종 물리적・화학적 요인에 의해 세포 내 항상성이 깨지면서 활성산소의 생성이 증가하여 산화 스트레스를 초래한다. 이러한 산화 스트레스가 지속되면 DNA를 손상시켜 암을 유발하고, 세포 생체막의 구성성분인 불포화지방산을 공격하여 과산화반응을 일으켜 체내 과산화지질을 축적함으로써 피부노화를 비롯한 동맥경화, 뇌졸중, 당뇨병, 종양의 생성과 같은 여러 가지 질병을 야기한다고 알려져 있다(4-7). 말채나무(Cornus walteri Wanger)는 우리나라 전국 각지의 습기가 비교적 많은 계곡 주변이나 궁궐, 왕릉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나무로 층층나무과(Cornaceae), 층층나무속(Cornus)에 속하는 교목성 낙엽활엽수이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eckman KB, Ames BN. 1998. The free radical theory of aging matures. Physiol Rev 78: 547-581. 

  2. Gutteridge JMC, Halliwell B. 1994. Antioxidants in nutrition, health, and disease.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UK. p 143. 

  3. Halliwell B, Gutteridge JM, Aruoma OI. 1987. The deoxyribose method: a simple "test-tube" assay for determination of rate constants for reactions of hydroxyl radicals. Anal Biochem 165: 215-219. 

  4. Pellegrini M, Baldari CT. 2009. Apoptosis and oxidative stress-related diseases: the p66Shc connection. Curr Mol Med 9: 392-398. 

  5. Bayr H. 2005. Reactive oxygen species. Crit Care Med 33: 498-501. 

  6. Malle E, Marsche G, Arnhold J, Davies MJ. 2006. Modific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by myeloperoxidase-derived oxidants and reagent hypochlorous acid. Biochim Biophys Acta 1761: 392-415. 

  7. Kamat JP. 2006. Peroxynitrite: a potent oxidizing and nitrating agent. Indian J Exp Biol 44: 436-447. 

  8. Lee SH, Yoon KR, Lee E, Cha YY. 2011. Anti-inflammatory effect of Cornus walteri. Korean J Oriental Physiol & Pathology 25: 982-988. 

  9. Choi WH, Park WY, Hwang BY, Oh GJ, Kang SJ, Lee KS, Ro JS. 1998. Phenolic compounds from the stem bark of Cornus walteri Wanger. Kor J Pharmacogn 29: 217-224. 

  10. Lim CS, Li CY, Kim YM, Lee WY, Rhee HI. 2005. The inhibitory effect of Cornus walteri extract against ${\alpha}$ -amylase.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103-108. 

  11. Park WH, Cha YY. 2009. Effect of stem bark extracts of Cornus walteri Wanger on the lipid lowering, anti-oxidative activity and concentra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rat fed high fat diet. J Oriental Rehab Med 19: 59-78. 

  12. Dewanto V, Wu X,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4959-4964. 

  13. Kim HY, Woo KS, Hwang IG, Lee YR, Jeong HS. 2008. Effects of heat treatments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fruits and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166-170. 

  14.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5. Murrant CL, Reid MB. 2001. Detection of reactive oxygen and reactive nitrogen species in skeletal muscle. Microsc Res Tech 55: 236-248. 

  16. Kong SH, Choi YM, Kim YW, Kim DJ, Lee JS. 2009.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oxidant components in methanolic extract from Geumjong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807-811. 

  17. Bueqe JA, Aust SD. 1978.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Methods Enzymol 52: 302-310. 

  18. Baker MA, Cerniglia GJ, Zaman A. 1990. Microtiter plate assay for the measurement of glutathione and glutathione disulfide in large numbers of biological samples. Anal Biochem 190: 360-365. 

  19. Flohe L, Gunzler WA. 1984. Assays of glutathione peroxidase. Methods Enzymol 105: 114-121. 

  20. Fossati P, Prencipe L, Berti G. 1980. Use of 3,5-dichloro-2-hydroxybenzenesulfonic acid/4-aminophenazone chromogenic system in direct enzymic assay of uric acid in serum and urine. Clin Chem 26: 227-231. 

  21. Ukeda H, Kawana D, Maeda S, Sawamura M. 1999. Spectrophotometric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based on the reduction of highly water-soluble tetrazolium salts by xanthine-xanthine oxidase. Biosci Biotechnol Biochem 63: 485-488. 

  22. Jeong CH, Jang ST, Joo OS, Lee SC, Shin YH, Shim KH, Cho SH, Choi SG, Heo HJ. 2009. Phenolic content, antioxidant effect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y of Korean commercial green, puer, oolong, and black teas. Korean J Food Preserv 16: 230-237. 

  23. Ju JC, Shin JH, Lee SJ, Cho HS, Sung NJ.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hot 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7-14. 

  24. Joo YJ. 2013. Antioxidant activitie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512-529. 

  25. Halliwell B, Gutteridge JM. 1990. Role of free radicals and catalytic metal ions in human disease: an overview. Methods Enzymol 186: 1-85. 

  26. Aruoma OI. 1998. Free radicals,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J Am Oil Chem Soc 75: 199-212. 

  27. Choi Y, Lee SM, Chun J, Lee HB, Lee J. 2006.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Food Chem 99: 381-387. 

  28. Kim MJ, Park EJ. 2011. Feature analysis of different in vitro antioxidant capacity assays and their application to fruit and vegetable sampl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053-1062. 

  29. Choi Y, Lee SM, Kim Y, Yoon J, Jeong HS, Lee J. 2010. A tocotrienol-rich fraction from grape seeds inhibits oxidative stress induced by tert-butyl hydroperoxide in HepG2 cells. J Med Food 13: 1240-1246. 

  30. Suttnar J, Masova L, Dyr JE. 2001. Influence of citrate and EDTA anticoagulants on plasma malondialdehyde concentrations estimat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 Chromatogr B Biomed Sci Appl 751: 193-197. 

  31. Kim Y, Choi Y, Ham H, Jeong HS, Lee J. 2013. Protective effects of oligomeric and polymeric procyanidin fractions from defatted grape seeds on tert-butyl hydroperoxide-induced oxidative damage in HepG2 cells. Food Chem 137: 136-141. 

  32. Zhang XH, Choi SK, Seo JS. 2009. Effect of dietary grape pomace on lipid oxidation and related enzyme activities in rats fed high fat diet. Korean J Nutr 42: 415-422. 

  33. Lima CF, Valentao PC, Andrade PB, Seabra RM, Fernandes-Ferreira M, Pereira-Wilson C. 2007. Water and methanolic extracts of Salvia officinalis protect HepG2 cells from t-BHP induced oxidative damage. Chem Biol Interact 167: 107-115. 

  34. Jiao HL, Ye P, Zhao BL. 2003. Protective effects of green tea polyphenols on human HepG2 cells against oxidative damage of fenofibrate. Free Radic Biol Med 35: 1121-1128. 

  35. Bobek P. 1999. Dietary tomato and grape pomace in rat: effect on lipid in serum and liver, and on antioxidant status. Br J Biomed Sci 56: 109-113. 

  36. Alia M, Ramos S, Mateos R, Granado-Serrano AB, Bravo L, Goya L. 2006. Quercetin protects human hepatoma HepG2 against oxidative stress induced by tert-butyl hydroperoxide. Toxicol Appl Pharmacol 212: 110-1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