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체중 및 비만인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체중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a Weight Management Program for Overweighted or Obese Office Worker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10, 2013년, pp.1608 - 1617  

한세리 (전북대학교부설 비만연구센터) ,  유옥경 (전북대학교부설 비만연구센터) ,  변문선 (전북대학교부설 비만연구센터) ,  박태선 (전북대학교부설 비만연구센터) ,  차연수 (전북대학교부설 비만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과체중 및 비만인 직장인을 대상으로 체중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체중감량 및 체지방의 감소, 혈액생화학적 변화, 영양지식 및 운동 능력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라북도 내 공공기관의 BMI 23 이상 과체중 및 비만인 직원 39명을 연구대상자로 하여 6개월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남자그룹에서 삼두근 피부두겹 두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남녀 그룹 모두에서 허리둘레, 엉덩이 둘레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혈액 생화학적 검사에서는 남자그룹에서 총콜레스테롤(P<0.05)과 LDL-콜레스테롤(P<0.01)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복부 컴퓨터단층촬영 결과에서는 남자그룹에서 복부피하지방조직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1), 영양소 섭취 조사결과 여자 그룹에서 철, 비타민 B2와 나이 아신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영양지식 점수는 남자 그룹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운동능력 검사에서는 근지구력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1). 직장인들의 건강증진뿐만 아니라 근무 능률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사업장에도 건강 및 비만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교육 후에도 비만개선의 긍정적인 변화가 지속될 수 있도록 근로 현장과 국가차원의 프로그램이 개발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weight management program for overweight and obesity office workers; comparing their changes in the anthropometry, biochemistry, nutrient intakes, and exercise performance before and after the obesity management program. This program was p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과체중 및 비만인 직장인을 대상으로 체중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체중감량 및 체지방의 감소, 혈액생화학적 변화, 영양지식 및 운동 능력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라북도 내 공공기관의 BMI 23 이상 과체중 및 비만인 직원 39명을 연구대상자로 하여 6개월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직장인에게 체중감량과 더불어 체지방의 감소와 생활습관의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고자 6개월 비만관리 프로그램을 실시였다. 직장인들은 업무상의 이유로 인해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영양・운동 교육을 받기에 어려운 점이 많다.
  • 비만의 해소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식이요법과 함께 운동요법을 병행할 때 최대의 효과를 볼 수 있으며 (17), 나아가 식행동의 변화를 도모하여 변화된 식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형태의 비만관리라고 할 수 있겠다. 이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에게 비만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영양 및 건강 관련 내용의 인지와 운동량의 증가로 전체적인 생활패턴을 변화시켜 체중감량과 더불어 체지방의 감소와 생활습관의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과중한 업무와 반복적인 생활로 인해 만성질환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직장인들에게 신체 및 정신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체중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체중감량 및 체지방의 감소, 혈액생화학적 변화, 영양소 섭취실태, 영양지식, 운동능력 변화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건강문제와 관련된 복지가 직장인들에게 도움이 안 되는 이유는 어떤 현실 때문인가? 우리나라에서는 사회복지의 일환으로 직장인 건강검진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단순히 검사 결과 통보 및 자료 제공에만 그치고 있어 제대로 된 영양 및 건강교육이 수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11), 보건소 등의 기관에서 성인을 대상으로 비만 및 만성 질환 관리를 위한 교육이 많이 실시되고 있으나(12,13), 직장인의 경우 근무 여건상 이러한 교육 혜택을 받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여 실제 직장인 대상의 교육은 제대로 이루어지기 힘들다는 것이 오늘날의 현실이다. 따라서 여러 가지 건강문제에 직면해 있으면서도 이에 대한 관리가 상대적으로 낮은 직장인을 위한 관리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
직장인이 비만 등의 만성질환에 이환될 가능성이 높은 이유는? 현대인은 넘쳐나는 먹을거리의 홍수와 생활의 간편화 및 자동화로 인한 운동부족으로 비만과 같은 생활습관병으로 이환되기 쉬운 생활환경에 노출되어 있다(6). 특히 직장인들의 경우 바쁜 생활에 의해 자기관리가 소홀해지기 쉽고, 과중한 업무와 스트레스, 높은 아침 결식률, 잦은 외식과 음주, 흡연 등의 생활습관으로 비만 등 만성질환에 이환될 가능성이 훨씬 높아(9,10)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
비만을 유발하는 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비만은 신체활동의 부족, 식생활의 서구화, 영양섭취의 과다와 불균형 및 유전적 요인 등에 의해 유발되는데 그중 가장 직접적인 요인으로 영양의 과다섭취와 신체활동의 감소를 꼽고 있다(6,7). 따라서 비만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영양소 과다섭취의 조절과 더불어 근본적인 영양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실천방안이 요구된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WHO. 3-5 June, 1997.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Report of WHO Consultation, Geneva. 

  2. WHO. 2002. Reducing risks-promoting healthy life. World Health Report. 

  3. Nguyen DM, El-Serag HB. 2010. The epidemiology of obesity. Gastroenterol Clin North Am 39: 1-7.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Korea.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Health and welfare statistics of Korea yearbook 2012. Korea. Vol 58. 

  6. Park TS, Kim EK. 2006. The living nutrition of contemporain. Koymunsa, Seoul, Korea. p 201-244. 

  7. Nakanishi N, Okamota M, Makino K, Suzuki K, Tatara K. 2002. Distribution and cardiovascular risk correlates of serum triglycerides in young Japanese adults. Ind Health 40: 28-35. 

  8. Jun YS, Choi MK, Bae YJ, Sung CJ. 2006. Effect of meals variety on obesity index, blood pressure, and lipid profiles of Korean adults. Korean J Food Culture 21: 216-224. 

  9. Kang HK. 2005. Changes in blood pressures, blood profiles and physical conditions among adults in the Daejeo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0: 633-644. 

  10. Lim HJ. 2005. A study on the food habit and seasonal difference of nutrient intake of adult working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10: 501-512. 

  11. Oh HS, Jang M, Hwang MO, Cho SW, Paek YM, Choi TI, Park YK. 2009. Effect of 1 year e-mail nutrition education after face-to-face encounter at worksite: Changes i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Korean J Nutr 42: 559-566. 

  12. Kim TY, Um SH. 2004. Older adult with type 2 diabetes improve glycemic control after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at the public health center. J Korean Diet Assoc 10: 205-217. 

  13. Kim TY, Suh MO. 2008.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n weight control in male workers by the community health center. J Korean Diet Assoc 14: 351-360. 

  14. Friedewald WT, Levy RI, Fredrickson DS. 1972. Estimation of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15.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2010 Korean Dietary Reference Index.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Korea. 

  16. Cho KJ, Son WI. 1998.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Daehanmedia, Seoul, Korea. p 20-41. 

  17. Ryu BH, Koo KS, Baek UH, Bang HS, Hong YJ, Park SW, Lee HM. 2007. The effect of eight-weeks exercise therapy and diet therapy on male middle school students obesity and physical fitness. The Korean Journal of Growth and Development 15: 87-93. 

  18. Lew EA, Garfinkel L. 1979. Variations in mortality by weight among 750,000 men and women. J Chronic Dis 32: 563-576. 

  19. So WY, Jun TW, Choi DH, Seo HK, Eom WS, Chang HK, Seo DI, Kim SH, Shin HJ, Park JY, Park SM, Song W. 2008. Effects of stretching exercise during 36 weeks in obese middle-aged women. The Kore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26: 126-132. 

  20. Ko KJ. 2002. The effect of aerobic and anaerobic exercise on leptin and serum lipid components in obese women. Exercise Scienc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 Exercise Science Academy 11: 421-430. 

  21. Alberti KG, Zimmet P, Shaw J. 2005. The metabolic syndrome-a new worldwide definition. Lancet 366: 1059-1062. 

  22. Yu JS. 2010. The study on association between abdominal visceral fat and obesity indices in obese adults. MS Thesis. Kyungwon University, Gyeonggi, Korea. p 1-2. 

  23. Heo YH, Kim EJ, Seo HS, Kim SM, Chio KM, Hwang TG, Cho GJ, Park YS. 2010. The effect of 16 week exercise program on abdominal fat, serum lipids, blood glucose, and blood pressure in obese women. Korean J Obes 19: 16-23. 

  24. Davies KM, Heaney RP, Recker RR, Lappe JM, Barger-Lux MJ, Rafferty K, Hinders S. 2000. Calcium intake and body weight. J Clin Endocrinol Metab 85: 4635-4638. 

  25. Zemel MB, Thompson W, Milstead A, Morris K, Campbell P. 2004. Calcium and dairy acceleration of weight and fat loss during energy restriction in obese adults. Obes Res 12: 582-590. 

  26. Papakonstantinou E, Flatt WP, Huth PJ, Harris RB. 2003. High dietary calcium reduces body fat content, digestibility of fat, and serum vitamin D in rats. Obes Res 11: 387-394. 

  27. Byyny RL, LoVerde M, Lloyd S, Mitchell W, Draznin B. 1992. Cytosolic calcium and insulin resistance in elderly patients with essential hypertension. Am J Hypertens 5: 459-464. 

  28. Choi HM, Suh YK. 2004.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How is their dietary life? 2004 Spring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p 291-300. 

  29. Teucher B, Dainty JR, Spinks CA, Majsak-Newman G, Berry DJ, Hoogewerff JA, Foxall RJ, Jakobsen J, Cashman KD, Flynn A, Fairweather-Tait SJ. 2008. Sodium and bone health: impact of moderately high and low salt intakes on calcium metabolism in postmenopausal women. J Bone Miner Res 23: 1477-1485. 

  30. Takachi R, Inoue M, Shimazu T, Sasazuki S, Ishihara J, Sawada N, Yamaji T, Iwasaki M, Iso H, Tsubono Y, Tsugane S. 2010. Consumption of sodium and salted foods in relation to cancer and cardiovascular disease: the Japan public health center-based prospective study. Am J Clin Nutr 91: 456-464. 

  31. D'Elia L, Rossi G, Ippolito R, Cappuccio FP, Strazzullo P. 2012. Habitual salt intake and risk of gastric cancer: a meta-analysis of prospective studies. Clin Nutr 31: 489-498. 

  32. Kang MH, Song EJ, Lee MS, Park OJ. 1992.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nutrition behavior of housewives in a low-income urban area. Korean J Nutr 25: 162-178. 

  33. Kim EH, Kang SH, Kim YS, Song JI, Lee DT, Jun SH, Cha KS, Cho SS. 2000. Education program for obesity management program development and the effects of applying proven. Korean J Sports Science 11: 20-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