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Lipoxygenase(LOX)가 결핍된 non-GM콩인 개척#1(검정콩, LOX2,3-free), 개척#2(황색콩, LOX2,3-free) 및 진양콩(황색콩, LOX1,2,3-free)의 이화학적 특성과 두부 수율을 LOX가 존재하는 태광콩(황색콩, LOX1,2,3-present)과 비교하였다. 콩의 길이 및 백립중은 태광콩에 비해 개척#1이 유의적인 차이로 컸으며, 황색콩에서는 LOX가 결핍된 품종이 태광콩보다 크기 및 중량이 다소 작았다. 콩을 12시간 동안 수침한 후 콩의 중량 증가율은 217.07~226.55%로 개척#2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전체적인 색차(${\Delta}E$)는 개척#1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3종의 황색콩은 시료 간에 비슷한 경향이었다. 조지방 함량은 태광콩이 17.30%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LOX가 결핍된 콩은 13.71~14.66%로 시료 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개척#1(34.79%)이 타시료(32.93~33.47%)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구성아미노산 함량은 모든 시료에서 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총량은 개척#1이 32.42 g/100 g으로 가장 많았고 개척#2와 태광콩은 비슷한 함량이었다. 이소플라본 함량은 LOX가 결핍된 콩이 태광콩에 비해 더 많았으며, 특히 개척#1(1672.54 ${\mu}g/g$)에서 가장 높았다. 콩의 총 페놀 함량은 개척#1이 276.91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개척#1(26.93 mg/100 g)이 타 시료에 비해 2.6~2.8배 정도 높았다. DPPH, ABTS 라디칼 소거활성환원력은 개척#1이 타 시료에 비해 높았다. Non-GM콩으로 제조한 두부의 수율은 개척#2에서 가장 높았다. 황색콩인 개척#2는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측면에서 태광콩과 유사하였고 두부 수율이 높아 두부 제조에 적합한 품종인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operties of non-GM soybeans with lipoxygenase (LOX) free genotypes, such as Gaechuck#1 (black, LOX2,3-free), Gaechuck#2 (yellow, LOX2,3-free) and Jinyangkong (yellow, LOX1,2,3-free), were compared to Taekwangkong (yellow, LOX1,2,3-present) as control. Length and weight of soybeans were signif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더욱이 두부는 콩의 단백질을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한 가공품으로 가공 조건에 따라 품질에 큰 차이를 보이는데, 특히 원료콩의 성분 조성이 두부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 요소로 알려져 있다(11,1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OX 결핍콩의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두부를 제조한 후 수율을 측정하여 2차 가공품인 두부 가공 적성을 일반콩과 비교함으로써 non-GM콩의 보급 및 가공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Reducing power values were presented by the sample concentration at 0.5 of absorbance value at 700 nm.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을 유지를 위한 기능성 높은 식품 중 콩이 부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식품에 의한 건강을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가 높아 일상생활 속에서 기능성이 높은 식품을 선택하려는 경향이 증가되고 있는데,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콩은 이 욕구에 잘 부합되는 식품 중의 하나이다. 왜냐하면 가공의 폭이 넓어 다양한 가공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재료의 비용도 낮고 영양학적으로 볼 때 단백질과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많으며, 비타민 E, 이소플라본 및 안토시아닌 등의 생리활성 물질이 풍부하여 영양 및 기능적 측면에서도 만족도가 높은 식품 소재이기 때문이다.
성숙된 콩의 종실에 존재하는 lipoxygenase는 무슨 역할을 하는가? 반면에 성숙된 콩의 종실에 존재하는 단백질의 일종인 lipoxygenase(LOX)는 불포화 지방산의 산화과정에 관여하여 비린 맛의 주성분이 되며(1), LOX의 작용으로 생성된 과산화지질은 콩의 영양 가치를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콩에 함유된 LOX의 불활성화를 위해서 열처리가 요구되는데, 이 과정에서 콩의 아미노산 이용률이 감소되거나 열에 약한 영양소의 파괴 및 흡수율의 저하가 수반하게 되며(2), 열처리로 인해 원료 중의 단백질 함량이 감소된다는 보고도 있다(3).
콩에 함유된 LOX를 불활성화를 위해 어떤 과정이 필요한가? 반면에 성숙된 콩의 종실에 존재하는 단백질의 일종인 lipoxygenase(LOX)는 불포화 지방산의 산화과정에 관여하여 비린 맛의 주성분이 되며(1), LOX의 작용으로 생성된 과산화지질은 콩의 영양 가치를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콩에 함유된 LOX의 불활성화를 위해서 열처리가 요구되는데, 이 과정에서 콩의 아미노산 이용률이 감소되거나 열에 약한 영양소의 파괴 및 흡수율의 저하가 수반하게 되며(2), 열처리로 인해 원료 중의 단백질 함량이 감소된다는 보고도 있다(3). 즉 비린내가 없는 콩은 가공 공정에서 열처리의 생략이 가능하므로 가공 적성면에서 시간과 비용의 절감, 열처리로 인한 단백질의 변성이나 보수성 감소를 막을 수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Hildebrand DF. 1989. Lipoxygenase. Physiol Plant 76: 249-253. 

  2. Lee H, Garlich JD. 1992. Effect of overcooked soybean meal on chicken performance and amino acid availability. Poult Sci 71: 499-508. 

  3. Seol HG, Ko YJ, Kim EJ, Lee GL, Kim DG, Lee JO, Ahn KM, Ryu CH. 2012. Allergenicity change of soybean proteins by thermal treatment methods. J Life Sci 22: 524-531. 

  4. Son BY, Lee YH, Kim SH, Lee HS, Lee SH. 2002. Effects of planting date and accelerated aging on seed germination-related traits of lipoxygenase-lacking soybean. Korean J Crop Sci 47: 196-200. 

  5. Kim MS, Sung MK, Seo SB, Kim KR, Lee KJ, Park MS, Chung JI. 2008. Breeding of lipoxygenase and Kunitz trypsin inhibitor-free soybean line. Korea Soybean Digest 25: 1-6. 

  6. Sung MK, Kim KR, Park JS, Han EH, Nam JW, Chung JI. 2010. Selection of lipoxygenase, Kunitz trypsin inhibitor and 7S ${\alpha}$ '-subunit protein free soybean strain. J Agric Life Sci 44: 29-33. 

  7. Chung JI. 2009. A new soybean cultivar "Gaechuck#2": Yellow soybean cultivar with lipoxygenase 2, 3-free, Kunitz trypsin inhibitor-free. Korean J Breed Sci 41: 612-615. 

  8. Hwang CR, Lee SJ, Kang JR, Kwon MH, Kwon HJ, Chung JI, Sung NJ. 2012.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anjang made from soybean cultivars lacking lipoxygenase and Kunitz trypsin inhibitor protein. J Agric Life Sci 46: 109-123. 

  9. Lee HI, Kim KC, Park EH. 2005. Sprout properties and lipoxygenase activity of lipoxygenase-less soybean genotypes. Korean J Crop Sci 50: 112-117. 

  10.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12.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tatistical Yearbook. Korea. p 225. 

  11. Yoo KM. 2011. Effects of soybean varieties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ofu. Korean J Food & Nutr 24: 451-457. 

  12. Chang CI, Lee JK, Ku KH, Kim WJ. 1990. Comparison of soybean varieties for yield, 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soybean cur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439-444. 

  13. Chung DO. 2010. Characteristics of tofu (soybean curd) quality mixed with Enteromorpha intenstinalis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745-749. 

  14. Kim YA. 2005. Effects of Lycium chinense powder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ellow layer cak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403-407. 

  15. Gut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 oil. J Am Oil Chem Soc 58: 966-968. 

  16. Moreno MI,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17.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8.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9.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Antioxidant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apanese J Nutr 44: 307-315. 

  20. Moon HK, Lee SW, Moon JN, Kim DH, Yoon WJ, Kim GY.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various beans in distributio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215-221. 

  21. Seo YJ, Kim MK, Lee S, Hwang IK. 2010.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ybeans cultivated in different regions and the accompanying soybean curd properti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441-449. 

  22. Kim SL, Lee YH, Chi HY, Lee SJ, Kim SJ. 2007. Diversity in lipid cont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soybean seeds cultivated in Korea. Korean J Crop Sci 52: 348-357. 

  23. Kim JP, Yang YS, Kim JH, Lee HH, Kim ES, Moon YW, Kim JY, Chung JK. 2012. Chemical propertie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sword bean (Canavalia gladiata)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441-446. 

  24. Kim KS. 2007. Functional ingredient compositions of soybean curd (Tofu) made with black soybeans (Huktae) and white soybeans (Baktae). Korean J Food & Nutr 20: 158-163. 

  25. Yoon HT, Seo MJ, Kim SL, An SO, Kim SJ. 2005. Variation of seed component contents in wild soybean (Glycine soja Sieb. & Zucc.). Korean J Crop Sci 50: 108-111. 

  26. Peterson G. 1995. Evaluation of the biochemical targets of genistein in tumor cells. J Nutr 125: 784S-789S. 

  27. Chong MG, Kang ST, Han WY, Baek IY, Kim HK, Shin DC, Kang NS, Hwang YS, An YN, Lim JD, Kim KS, Park SH, Kim SL. 2006. Variation of isoflavone contents in Korean soybean germplasms. Korean J Crop Sci 51: 146-151. 

  28. Park KH, Piao XM, Jang EK, Yoo YE, Hwang TY, Kim SL, Jong JH, Shin HM, Kim HS. 2012. Variation of isoflavone contents in Korean soybean cultivars released from 1913 to 2006. Kor J Breed Sci 44: 149-159. 

  29. Bae EA, Kwon TW, Moon GS. 1997. Isoflavone content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soybeans, soybean curd and their by-produ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371-375. 

  30. Wang H, Murphy PA. 1994. Isoflavone composition of American and Japanese soybeans in Iowa: Effects of variety, crop year, and location. J Agric Food Chem 42: 1674-1677. 

  31. Esteves EA, Martino HSD, Oliveira FCE, Bressan J, Costa NMB. 2010. Chemical composition of a soybean cultivar lacking lipoxygenase (LOX2 and LOX3). Food Chem 122: 238-242. 

  32. Myung J, Hwang I. 2008. Func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oybean extracts. Korea Soybean Digest 25: 23-29. 

  33. Kao TH, Chen BH. 2006. Functional components in soybean cake and their effects on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4: 7544-7555. 

  34. Kim SH, Kwon TW, Lee YS, Choung MG, Moon GS. 2005. A major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comparision of anti-oxidative activities in black soy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73-77. 

  35. Duval B, Shetty K. 2001. The stimul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 (Pisum sativum) elicited by genetically transformed anise root extract. J Food Biochem 25: 361-377. 

  36. Im JG, Park IK, Kim SD.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added with basil water extract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 144-15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