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철골브레이스에 의한 기존 RC건축물의 강도상승형 내진보강을 위한 설계고려사항
The design considerations of steel braced frame for seismic retrofit through increasing the lateral strength of existing RC buildings 원문보기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v.17 no.6 = no.94, 2013년, pp.293 - 303  

안충원 (한국시설안전공단 건축실) ,  윤정환 (한국시설안전공단 건축실) ,  송동엽 (한국시설안전공단 건축실) ,  장범수 (한국시설안전공단 시설안전연구소) ,  민찬기 (한국시설안전공단 시설안전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deals with steel braced frame as increasing the lateral strength and ductility in order to seismic retrofit of existing buildings and discusses the designing criteria and calculation method of retrofitted buildings. The addition of steel braced frame can be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보강효과의 관점에서 본다면 간접접합보다 직접접합이 유리하다고 볼 수 있으나 기존기둥과 보의 철근간섭의 문제 등 시공성에 의해 간접접합의 실적이 많은 편이고, 외부설치의 경우 공사 중에도 건물의 사용이 가능하고 이전 및 대체시설물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이점으로 관리주체가 선호하여 최근 증가추세에 있으나 기존골조와 보강부재의 편심발생 및 접합부공사가 어렵다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으며 기존건물의 내진보강의 역사가 상대적으로 긴 일본의 경우 보강실적이 내부설치 간접접합공법에서 외부설치 직접접합으로 증가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ig. 3과 같이 현재까지 사용실적이 많은 철골프레임틀이 부착되고 4면이 기존부와 접합된 간접접합에 의해 기존 RC조 가구부와 일체화된 내부설치 간접접합을 대상으로 서술하며 외부설치 직접접합공법의 과제에 대하여 논하기로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중·저층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에 많이 사용되는 철골브레이스 신설(프레임부착)에 의한 강도상승형 내진보강에 대하여 실무자들이 기존 건물의 내진성능평가, 보강후 성능평가, 보강계산의 과정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점을 중심으로 서술한다.
  • 본 장에서는 철골브레이스에 의한 강도상승형으로 계획, 설계되고 보강된 건물이 전장에서 서술한 각 타입별로 어떠한 보강효과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예제를 선정, 한국시설안전공단 요령[2]과 일본건축방재협회[8]에 따라 평가에서 성능향상, 보강후 성능의 확인 과정에 대하여 서술한다. 한국시설안전공단 요령[2]의 내진성능 향상편에서 제시하는 내진성능 향상절차와 이를 토대로 보강부의 각 파괴형식을 고려한 설계방법을 Fig.

가설 설정

  • a : 증설벽판에서 기둥으로 전달되는 수평력이 집중적으로 작용한다고 가정했을 때의 작용점에서 주두 보 페이스 위치까지의 거리로 특별히 검토하지 않을 때에는 a = D/3으로 한다
  • 0에 대한 실험결과 및 Mattock[11]로부터 얻어진 것이다. 축력을 더한 실험체의 경우에는 축력에 의한 마찰저항에 의해 전단력은 증가한다고 가정하였으며, 이 실험식은 전단스팬이 짧은 부재에 대한 유익한 추정식이라고 고려되지만, 후프나 스파이럴 등의 전단보강근의 영향은 무시하고 유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내진보강을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최근 일본을 비롯한 해외에서 발생하는 빈번한 대지진으로 인해 국내에서도 기존건물의 내진보강에 대한 관심이 매우 증가하였다. 내진보강을 위해서는 적절한 내진성능평가는 물론 보강후 적절한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기존건축물의 내진성능평가의 경우 국내에서는 한국시설안전공단에서 2004년에 ‘기존건축물의 내진성능 평가 및 향상요령’[1]을 발간하였고 2011년에 개정판[2]을 발간하였으며, 한국교육개발원에서는 학교 건물의 내진성능평가 및 보강을 위해 2011년에 ‘학교시설 내진성능 평가 및 내진보강 가이드라인[3]’을 발표하였고, 소방방재청에서는 2012년에 ‘건축물 내진성능평가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였다[4].
철골브레이스 신설(프레임부착)에 의한 강도상승형 보강공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철골브레이스 신설(프레임부착)에 의한 강도상승형 보강공법의 장점은 건식공법(공장제작)으로 공기를 단축 할 수 있으며 강도상승과 어느 정도의 변형능력증진에 효과가 있다. 또한 기초보강량이 전단벽증설보다 적고 건물디자인에 유리하며 개구부 설치가 유리하여 일조, 채광에 유리하다는 점으로 실무에서 많이 사용되는 공법이나 접합부의 설계과정에 따라 보강 효과가 기대 할 수 없는 경우가 있으며 공사 후, 유지관리에 내화피복 등 방화계획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국내의 내진보강공사의 현황의 특징은 무엇인가? 한편, 국내의 내진보강공사의 현황을 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는 공사비가 비교적 소액이며, 둘째는 보강부재의 설치위치가 기존건물의 용도를 고려하여 제한적이며, 셋째는 보강공사기간에 건물을 사용 할 수 없어 공기단축에 대한 압박이 있는 것이 현실이며, 중요한 점은 보강공사에 대한 공인된 내진보강 시방서, 명확한 보강계산 지침서 등의 부재로 보강 설계에서 사후 유지관리를 포함한 설계 및 시공에 대한 품질이 확보되는지 의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KISC. Guidelines for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of existing buildings. Kyeonggi-do, Korea: Korea Infrastructure Safety Corporation; c2004. 224p. 

  2. KISC. Guidelines for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of existing buildings. Kyeonggi-do, Korea: Korea Infrastructure Safety Corporation; c2011. 115p. 

  3. KEDI. Guidelines for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of school buildings. Seoul, Korea: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c2011. 112p. 

  4. NEMA. Guidelines for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buildings. Seoul, Korea: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c2012. 150p. 

  5. ASCE41. Seismic rehabilitation of existing buildings. Reston, VA: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2006. 411p. 

  6. JBDPA. Standard and commentary for seismic evaluation of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buildings. Tokyo, Japan: Japan Building Disaster Prevention Association; c2001. 

  7. FEMA356. Prestandard and Commentary for the Seismic Rehabilitation of Buildings: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c2000. 

  8. JBDPA, Standard and commentary for seismic retrofit of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buildings. Tokyo, Japan: Japan Building Disaster Prevention Association; c2001. 

  9. KBC 2009. Korean building code-structural. Seoul, Korea: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c2009. 772p. 

  10. AIJ. Design Recommendations for Composite Construction(AIJ Design Composite Construction 1985): Architecture Institute of Japan; c1985. 

  11. Mattock A. H. et al. Shear Transfer in Reinforced Concrete. ACI Journal. 1969;66:119-128. 

  12. MIDAS GEN User's Manual. ver 800: MIDAS IT; c2012. 

  13. Kim TW, Min CG. Analytical Study of the Effect of Full and Partial Masonry Infills on the Seismic Performance of School Bulidings.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2013 Sep; 17(5):197-2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