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세라믹을 이용한 유전체 도파관 듀플렉서를 제안한다. 송신단과 수신단 대역 통과 필터를 설계한 후, 상호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결합하여 듀플렉서를 완성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안테나단 설계 방법으로는 분배기를 이용하여 투과 손실을 결정하고, 간섭을 피하기 위해 송수신 필터의 공진기 길이를 보정한다. 제작시 상대 유전율이 9.46인 세라믹을 이용하였으며, SMD 형태로 PCB에 표면 실장이 가능하도록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eramic dielectric waveguide duplexer was developed. Duplexer was designed in order to minimize the muture interferences between transmission port and receive port of bandpass filter. The design method for antenna port was determined by the transmission loss and calibrated the length of resonator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세라믹을 이용한 유전체 도파관 듀플렉서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상대 유전율 9.
  • 이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세라믹을 이용한 λ/2 스텝 임피던스 형태의 직접 결합 도파관 듀플렉서를 제안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라믹을 이용한 듀플렉서의 대표적인 형식은? 현재 상용되고 있는 듀플렉서는 많은 부분을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세라믹을 이용한 듀플렉서의 대표적인 형식은 λ/4 전송선을 이용하여 TEM 모드로 구현되는 모노블럭이다. 이는 상용되는 세라믹의 유전율을 감안한다면 공진 길이 때문에 4 GHz 전후까지 밖에 구현이 안 되고 있다.
Air를 이용하는 도파관 듀플렉서의 단점은? 또한, LTCC를 이용한 적층 형태의 듀플렉서는 주파수 선택성이 낮다. Air를 이용하는 도파관 듀플렉서는 SMD 형태가 불가하여 시스템에 적용시 비용이 상승된다. 이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세라믹을 이용한 λ/2 스텝 임피던스 형태의 직접 결합 도파관 듀플렉서를 제안한다.
모노블럭의 한계는? 세라믹을 이용한 듀플렉서의 대표적인 형식은 λ/4 전송선을 이용하여 TEM 모드로 구현되는 모노블럭이다. 이는 상용되는 세라믹의 유전율을 감안한다면 공진 길이 때문에 4 GHz 전후까지 밖에 구현이 안 되고 있다. 또한, LTCC를 이용한 적층 형태의 듀플렉서는 주파수 선택성이 낮다. Air를 이용하는 도파관 듀플렉서는 SMD 형태가 불가하여 시스템에 적용시 비용이 상승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강종윤, "이동 통신용 일체형 유전체 듀플렉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과 박사학위논문, 1999년. 

  2. 박성수, "40 GH대 아이리스형 도파관 대역통과 필터의 설계", 충남대학교 전파공학과 석사학위논문, 2003년. 

  3. 김종철, 장영수, 김승완, 이기진, "DWFD 프로그램을 이용한 3차원 적층 유전체 세라믹 도파관필터의 설계 및 제작",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24 (5), pp. 515-524, 2013년 5월. 

  4. N. Marcuitz, Waveguide Handbook, Boston Technical Publisher, Inc., 1964. 

  5. G. L. Matthaei, L. Young, and E. M. T. Jones, Microwave Filter, Impedance-Matching Networks, and Coupling Structures, McGraw-Hill, Inc., 196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