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두산 화산재 피해 시나리오에 따른 강원도 지역 농작물의 경제적 피해 추정
Estimation of Economic Losses on the Agricultural Sector in Gangwon Province, Korea, Based on the Baekdusan Volcanic Ash Damage Scenario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4 no.6, 2013년, pp.515 - 523  

이윤정 (부산대학교 IT기반융합산업창의인력양성사업단) ,  김수도 (부산대학교 사회급변현상연구소) ,  천준석 (부산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  우균 (부산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백두산 화산 폭발 시 남한 지역은 동해안을 중심으로 화산재에 의한 피해가 예상된다. 적은 양의 화산재라고 할지라도 농작물의 피해나 토양의 산성화를 유발하는 등 농업 분야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화산재에 의한 농작물의 피해를 추정하고 구글 지도를 통해 시각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화산재에 대한 피해 예측모델이 필요하다. 화산재 위험은 농작물의 종류와 화산재 두께에 따라 다르므로 피해 예측 모델의 취약도 함수는 화산재 두께와 농작물의 손상률 간의 관계를 나타내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RiskScape에서 정의한 화산재 두께에 따른 농작물별 손상률을 이용하여 취약도 함수를 정의하였다. 이 취약도 함수를 농작물 생산량과 가격 정보에 적용하여 화산재 두께에 따른 농작물 피해액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화산재의 피해가 예측되는 강원도 지역을 대상으로 화산재에 의한 농작물 피해를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 2010년 강원도 농업 총 생산량을 기준으로 했을 때 화산재가 약 4 mm 정도 쌓이게 되면 농작물 피해액은 약 6,351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강원도 총 농업생산액의 약 50%에 해당한다. 이 논문에서는 화산재에 의한 농작물의 1차적인 피해만을 고려하고 있다. 하지만 화산재는 토양 오염이나 시설물과 같은 농가의 자산에 잠재적인 위험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농업 분야 전체에 대한 총 피해 규모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2차적인 피해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astern coast of South Korea is expected to be damaged by volcanic ash when Mt. Baekdusan volcano erupts. Even if the amount of volcanic ash is small, it can be fatal on the agricultural sector withering many plants and causing soil acidification. Thus, in this paper, we aim to estimate agricul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농작물 분류 기준과 화산재에 따른 취약도 함수를 강원도 지역의 농작물에 적용하기 위하여 강원도 지역에서 1년 동안 생산되는 모든 농작물의 총 생산량을 조사하였다. Table 3은 통계청에서 발표한 2010년 강원도 지역 농작물 총 생산량을 보여준다.
  • 농업 분야에서 화산재의 피해는 생산 작물의 상품 성이 떨어져서 발생하는 1차적인 피해와 토양이 산성화되어 화산 폭발 후 오랜 기간 경작이 불가능해지는 것과 같은 2차적인 피해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백두산 화산 폭발 시 화산재의 피해가 예상되는 강원도 지역의 농작물에 대한 화산재의 피해를 추정하고자 한다. Fig.
  • 이 논문에서는 한반도에서 화산재의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강원도 지역의 농작물 피해액을 추정하고자 한다. 화산재의 농작물 피해를 추정하기 위해서 강원도 지역의 농업 총 생산량을 바탕으로 뉴질랜드에서 화산재 피해 산정을 위해 개발한 RiskScape 농작물 취약성 함수를 적용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두산 화산 폭발 시 남한 지역은 어디를 중심으로 피해가 예상되는가? 백두산 화산 폭발 시 남한 지역은 동해안을 중심으로 화산재에 의한 피해가 예상된다. 적은 양의 화산재라고 할지라도 농작물의 피해나 토양의 산성화를 유발하는 등 농업 분야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화산재는 어떤 영향을 줄수 있는가? 백두산 화산 폭발 시 남한 지역은 동해안을 중심으로 화산재에 의한 피해가 예상된다. 적은 양의 화산재라고 할지라도 농작물의 피해나 토양의 산성화를 유발하는 등 농업 분야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화산재에 의한 농작물의 피해를 추정하고 구글 지도를 통해 시각화하고자 한다.
화산재에 의한 농작물의 피해를 추정하고 구글 지도를 통해 시각화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이에 이 논문에서는 화산재에 의한 농작물의 피해를 추정하고 구글 지도를 통해 시각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화산재에 대한 피해 예측모델이 필요하다. 화산재 위험은 농작물의 종류와 화산재 두께에 따라 다르므로 피해 예측 모델의 취약도 함수는 화산재 두께와 농작물의 손상률 간의 관계를 나타내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lberger, B., Calhoun, M.J., Bedell, G.M., and Stern, P., 1980, The economic effects of the eruptions of Mt. St. Helens. USITC publication 1096, Washington D.C., USA, 83 p. 

  2. Clynne, M.A., Ramsey, D.W., and Wolfe, E.W., 2005, Pre-1980 eruptive history of mount St. Helens, Washington. US Geological Survey, 4 p. 

  3. FEMA, 2003, Hazus-MH flood technical manual.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mitigation division Washington, D.C., USA, 569 p. 

  4. KICP, 2008, Evaluation system of improvement measures (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97 p. (in Korean) 

  5. Kim, C.H, 2011,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disaster and its impact-Japan diet report. Nuclear industry, 40-53. (in Korean) 

  6. KMA, 2011, Eruption scenarios of the Baekdusan volcan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4 p. (in Korean) 

  7. KMA, 2011, The comprehensive plan for the prevention and mitigation of volcanic ash.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92 p. (in Korean) 

  8. Lee, S.H., Jang, E.S., and Lee, H.M., 2012, A case analysis of volcanic ash dispersion under various volcanic explosivity index of the Mt. Baegdu.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3, 280-293. (in Korean) 

  9. Lee, S.H. and Yun, S.H., 2011, Impact of meteorological wind fields average on predicting volcanic tephra dispersion of Mt. Baekdu.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 360-372. (in Korean) 

  10. Magill, C., Wilson, T., and Okada, T., 2013, Observations of tephra fall impacts from the 2011 shinmoedake eruption. Earth planets space, Japan, 677-698. 

  11. Munro, A. and Parkin, D., 1999, Volcanic risk mitigation plan, Environment Waikato policy series 1999/10. Environment Waikato, New Zealand, 76 p. 

  12. Neild, J., O'Flaherty, P., Hedley, P., Underwood, R., Johnston, D., Christenson, B., and Brown, P., 1998, Impact of a volcanic eruption on agriculture and forestry in New Zealand. MAF policy technical paper 99/2, 101 p. 

  13. Park, C.Y. and Yoo, C.S., 2011, The effect of the Baekdusan volcano eruption on ours.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1, 73-82. (in Korean) 

  14. Spence, R.J.S., Kelman, I., Baxter, P.J., Zuccaro, G., and Petrazzuoli, S., 2005. Residential building and occupant vulnerability to tephra fall. Natural Hazards and Earth System Sciences 5, 477-494. 

  15. Soh, W.J. and Yun, S.H., 1999, A review of the holocene major eruption of Mt. Paektu volcano.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0, 534-543. (in Korean) 

  16. Wilson, T.M. and Kaye, G.D., 2007, Agricultural fragility estimates for volcanic ash fall hazards. GNS science report 2007/37, 51 p. 

  17. Wilson, T.M., Kaye, G.D., Stewart, C., and Cole, J., 2007, Impacts of the 2006 eruption of Merapi volcano, Indonesia, on agriculture and infrastructure. GNS science report 2007/07, 69 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