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GRACE 인공위성 지오이드 변화와 화산 마그마 활동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예비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GRACE Satellite Geoid Data Variation and Volcanic Magma Activity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4 no.6, 2013년, pp.550 - 560  

오창환 (전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최승찬 (킬 대학교 지구과학연구소) ,  이덕수 (주식회사 GN 기업부설 연구소) ,  김명덕 (전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박종현 (전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서민호 (주식회사 GN 기업부설 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2005년 이후 화산 폭발을 경험한 20개의 화산 지역에 대해 그레이스 위성에 의해 측정된 지오이드 변화를 조사하였고 지오이드를 이용한 화산 하부의 마그마 활동에 대한 연구를 위해서는 자세한 지질학적 조사가 함께 수반되어야 함을 인지하였다. 따라서 2011년에 화산 폭발이 있었고 그에 대한 지질학적 연구가 자세히 수행된 키리시마 화산복합체 내 신모에다케 화산 지역을 대상으로 그레이스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측정된 화산지역의 광역적인 지오이드 변화와 화산하부 마그마 활동 변화 간의 상관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 신모에다케 화산 지역에서 2002년 이후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지오이드 변화는 화산하부 물질의 중력이 증가함에 의해 발생하였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기존 연구에서 밝혀진 2011년 화산 폭발 수년 전부터 염기성 마그마가 마그마 저장소로 계속 공급되었다는 사실과 잘 일치한다. 이는 앞으로 많은 연구가 필요하기는 하지만 그레이스 인공위성으로 측정된 지오이드의 변화가 화산 폭발 감시 및 예측에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음을 지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variations of geoid measured by GRACE satellite are investigated in the 20 volcanic areas erupted since 2005, and it is recognized that a detailed geological study is necessary in using geoid data for a research of the magmatic activities under the volcano. Therefore, the relation...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독일 포츠담 지구과학 연구소에서 주기별(약 30일에 한번 정도)로 제공된 자료들로부터 계산된 그레이스지오이드 자료와 중력자료, 수분량 자료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1년 화산이 분출한 일본의 신모에다케 화산을 대상으로 그레이스 인공위성에서 측정한 지오이드의 변화와 지질조사를 통해 연구된 분출시점과 그 이전의 화산 하부 마그마 저장소의 변화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인공위성의 지오이드 자료의 화산 분출 예측에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한다.
  • 즉 그레이스 인공위성에 의해 측정된 지오이드 자료만으로는 화산 지역 하부의 마그마 저장소의 변화 예측이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1년 화산 폭발 이전과 이후의 마그마 저장소의 변화에 대한 지질학적 연구가 자세하게 수행된 키리시마 화산복합체내의 신모에다케 화산 지역을 대상으로 마그마 저장소의 변화와 그레이스 인공위성에 의하여 측정된 지오이드 변화 간의 연관성을 해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그레이스 인공위성에 의해 측정된 지오이드 값의 변화가 화산 하부의 마그마 저장소의 변화와 화산 폭발 감시에 활용할 가능성이 있는가를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산 분출 예측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연구는 무엇인가?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화산 하부 마그마 저장소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 연구는 화산 분출 예측에 매우 중요하다. 과거에는 화산 분화 전후에 화산지역에서 국부적으로 지표에서 측정된 중력 자료를 이용한 화산 활동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어져 왔다(Rymer and Williams, 2000; Carbone et al.
백두산 관련 자료를 확보하는 것이 어려운 이유는? 최근 백두산이 분출할 가능성이 확인되면서 백두산 분출 가능성을 감시 예측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백두산은 중국과 북한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백두산 관련 자료를 북한은 물론 중국으로부터 확보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인공위성을 이용한 지표 및 지하에서 일어난 변화 측정의 장점은 무엇인가? , 2013). 인공위성을 이용한 지구조 운동 연구 방법은 지정학적 접근이 어려운 지역, 또는 주기적이고 장기적인 관측이 요구되는 모니터링 등에 매우 유용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인공위성으로 측정된 자료는 백두산과 같이 지정학적으로 접근이 곤란한 지역에 대한 마그마 활동 및 화산 분화 감시 연구 수행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arbone, D., Zuccarello, L., Saccorotti, G., and Greco, F., 2006, Analysis of simultaneous gravity and tremor anomalies observed during the 2002-2003 Etna eruption.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245, 616-629. 

  2. Carbone, D., Budetta, G., Greco, F., and Zuccarello, L., 2007, A data sequence acquired at Mt. Etna during the 2002-2003 eruption highlights the potential of continuous gravity observations as a tool to monitor and study active volcanoes. Journal of Geodynamics, 43, 320-329. 

  3. Carbone, D., Poland, M.P., Patrick, M.R., and Orr, T.R., 2013, Continuous gravity measurements reveal a lowdensity lava lake at Kilauea Volcano, Hawaii.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176, 178-185. 

  4. Chen, J.L., Wilson, C.R. and Tapley, B.D., 2006, Satellite gravity measurements confirm accelerated melting of Greenland ice sheet. Science, 313, 1958-1960. 

  5. Choi, S.H., Oh, C.H., and Goetz, H.J., 2013, Threedimensional density modeling of the EGM2008 gravity field over the Mount Paekdu volcanic are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8, 1-17. 

  6. Fea, M., Giacomelli, M., Pesaresi, C., and Scandone, R., 2013, Remote sensing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 for studying volcano environment and activity. Journal of Research and Didactics in Geography. doi: 10.4458/0900-14. 

  7. Frappart, F., Ramillien, G., Biancamaria, S., Mognard, N.m., and Cazenave, A., 2006, Evolution of highlatitude snow mass derived from the GRACE gravimetry mission (2002-2004).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3, L02501. 

  8. Hoshide, T., Toramaru, A., Ikehata, K., and Iriyama, Y., 2011, Magma mixing and ascent process of Shinmoedake 2011 eruption from phenocrysts, microlite, vesicle textures. Japan Geoscience Union Meeting 2011 Abstracts, SVC070-P12. 

  9. Huang, H., 2010, Evaluation of GRACE Satellite gravity field model and detection of Earth's Gravity field variations. Ph. D.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154 p. 

  10. Imura, R., 1994, Geology of Kirishima Volcano. Bulletin of Earthquake Research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Tokyo 69, 189-209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11. Imura, R. and Kobayashi, T., 2001, Geologicalmap of Kirishima Volcano (1:50,000). Geological Map of Volcanoes 11, Geological Survey of Japan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12. Jin, S., Dam, V., and Wdowinski, S., 2013, Observing and understanding the Earth system variations from space geodesy. Journal of Geodynamics, doi: http://dx.doi.org/10.1016/j.jog.2013.08.001. 

  13. Kozono, T., Ueda, H., Ozawa, T., Koyaguchi, T., Fujita, E., Tomiya, A., and Suzuki, Y., 2013, Magma discharge variation during the 2011 eruptions of shinmoe-dake volcano, Japan, revealed by geodetic and satellite observations. Bulletin of Volcanology, doi: 10.1007/s00445-013-0695-4. 

  14. Lee, D.S., Choi, S.C., Oh, C.H., Seo, M.H., Ryu, I.C., 2013, The Study on the Possibility of Using Satellite in Monitoring Precursor of Magma Activity in the Baegdusan Volcano.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2, 35-47. 

  15. Miyabuchi, Y., Hanada, D., Niimi, H., and Kobayashi, T., 2013, Stratigraphy, grain-size an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the 2011 Shinmoedake eruption deposits, Kirishima Volcano, Japan.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258, 31-46. 

  16. Nagaoka, S. and Okuno, M., 2011, Tephrochronology and eruptive history of Kirishima volcano in southern Japan. Quaternary International, 246, 260-269. 

  17. Okubo, S., Tanaka, Y., Ueki, S., Oshima, H., Maekawa, T., and Imanishi, Y., 2013, Gravity variation around Shinmoe-dake volcano from February 2011 through March 2012-Results of continuous absolute gravity observation and repeated hybrid gravity measurements. Earth Planets and Space, 65, 563-571. 

  18. Papoutsis, I., Papanikolaou, X., Floyd, M., Ji, K.H., Kontoes, C., Paradissis D., and Zacharis, V., 2013, Mapping inflation at Santorini volcano, Greece, using GPS and InSAR.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40, 267-272. 

  19. Represas, P., Catalao, J., Montesinos, F.G., Madeira, J., Mata, J., Antunes, C., and Moreira, M., 2012, Constraints on the structure of Maio Island (Cape Verde) by a three-dimensional gravity model: imaging partially exhumed magma chambers. Geophysical Journal International, 190, 931-940. 

  20. Rymer, H. and Williams, J.G., 2000, Volcanic eruption prediction: Magma chamber physics from gravity and deformation measurement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27, 2389-2392. 

  21. Saepuloh, A., Koike, K., Omura, M., Iguchi, M., and Setiawan, A., 2010, SAR- and gravity change-based characterization of the distribution pattern of pyroclastic flow deposits at Mt. Merapi during the past 10 years. Bulletin of Volcanology, 72, 221-232. 

  22. Saibi, H., Gottsmann, J., and Ehara, S., 2010, Post-eruptive gravity changes from 1999 to 2004 at Unzen volcano (Japan): A window into shallow aquifer and hydrothermal dynamics.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191, 137-147. 

  23. Segall, P., 2013, Volcano deformation and eruption forecasting. The Geological Society of London, doi:10.1144/SP380.4. 

  24. Suzuki, Y., Yasuda, A., Hokanishi, N., Kaneko, T., Nakada, S., and Fujii, T., 2013, Syneruptive deep magma transfer and shallow magma remobilization during the 2011 eruption of Shinmoe-dake. Japan-Constraints from melt inclusions and phase equilibria experiments.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257, 184-204. 

  25. Swenson, S. and Wahr, J., 2006, Post-processing removal of correlated errors in GRACE data.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3, L08402, doi:10.1029/2005GL025285. 

  26. Tapley, B., Bettadpur, S., Ries, J.C., Thompson, P.F., and Watkins, M.M., 2004. Grace measurements of Mass Variability in the Earth System. Science, 35, 503-505. 

  27. Tiede, C., Camacho, A.G., Gerstenecker, C., Fernandez, J., and Suyanto, I., 2005, Modeling the density at Merapi volcano area, Indonesia, via the inverse gravimetric problem. An Electronic Journal of the Earth Sciences, doi:10.1029/2005GC000986. 

  28. Tomiya, A., Saito, G., Geshi, N., and Miyagi, I., 2011, Injection of hot mafic magma prior to the 2011 eruption of Shinmoedake, Kirishima volcano, Japan. Japan Geoscience Union Meeting, SVC070-P09. 

  29. Williams, J.G. and Rymer, H., 2002, Detecting volcanic eruption precursors: a new method using gravity and deformation measurements.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113, 379-389. 

  30. Yeh, P.J.F., Swenson, S.C., Famiglietti, J.S., and Rodel, M., 2006, Remote sensing of groundwater storage changes in Illinois using the Gravity Recovery and Climate Experiment(GRACE). Water Resources Research, 42, W12203, doi:10.1029/2006WR00537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