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북한 광물자원 부존 및 개발현황 개요
Status of Mineral Resources and Mining Development in North Ko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6 no.4, 2013년, pp.291 - 300  

고상모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연구본부) ,  이길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연구본부) ,  에드워드 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북한의 광물자원 부존량 및 생산 현황을 종합하면, 북한에서 부존규모가 큰 주요 광물종은 마그네사이트, 석회석, 석탄(무연탄), 인상흑연, 철, 금, 은, 연, 아연 등으로 판단된다. 기타 동, 몰리브덴, 중석, 인광석 등이 잠재성이 큰 광물자원으로 평가된다. 북한의 광물자원 수출 대상국은 중국으로서 주요 수출 광물로는 무연탄, 철광석이 75%로서 압도적으로 우세하다. 수출국은 중국 외 EU국가이나, 중국 수출이 70%에 달한다. 북한은 금 매장량 약 2,000톤과 연간 생산량은 약 2 톤(금속기준)이며, 대표적 광산은 수안, 홀동, 대유동광산이며, 6개 금 제련소가 운영 중이다. 철 매장량은 Fe 63.5% 기준으로 약 43억 톤, 연간 생산량은 약 5백만 톤, 주요 철광산은 무산, 리원, 북청, 은율, 신원, 재령광산이며, 7개 제철소 및 제강소가 운영 중이다. 연-아연 매장량은 금속 기준으로 연이 약 4.7백만 톤, 아연이 15백만 톤, 연간 생산량은 금속 기준 연이 약 26,000 톤, 아연이 금속 기준 50,000 톤이다. 주요 연-아연 광산은 검덕, 은파, 성천광산이며, 6개 제련소가 운영 중이다. 마그네사이트 매장량은 MgO 95% 기준으로 약 28억 톤, 최근 연간 생산량이 정광 기준 150,000 톤, 주요 광산은 룡양, 대흥, 쌍룡광산이며, 5개 마그네슘 내화물공장이 가행중이다. 인회석 매장량은 $P_2O_5$ 30% 기준으로 약 3.4억 톤, 최근 연간 생산량은 원광석 기준 약 300,000 톤, 주요 광산은 대대리, 동암, 풍년광산이다. 석탄은 북한에서 중요한 전략 연료광물자원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주 에너지원이다. 석탄 매장량은 186억 톤, 연간 생산량은 2천만 톤이다. 주요 석탄광산은 평남에 집중되고 있으며, 직동광산이 북한에서 가장 큰 석탄광산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otential mineral resources in North Korea are magnesite, limestone, coal, graphite, iron, gold, silver, lead, and zinc. North Korea is mainly exporting coal and iron to China(70%) and EU countries. Gold ore reserves(or resources) in North Korea are about 2,000 tons and annual production is 2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북한의 화력발전소는 중유를 사용하는 선봉화력발전소를 제외하면 7개 모두 석탄화력발전소이며 청천강화력 발전소에서만 무연탄을 사용하나 타 발전소에서는 무연탄과 갈탄을 혼합 사용한다(Table 6). 각 발전소의 발전량 자료는 거의 같으나 2개 발전소 자료가 차이가 있어 비교 수록하였다(Table 6).
  • , 2005; KORES, 2009, Son, 2011; Hyundai Research Institute, 2011; SONOSA, 2011), 오래전 자료가 많고 자료마다 차별성이 있어 신뢰 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이 논고에서는 2009년 한국광물자원 공사에서 보고한 자료와 최근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비교하였다(Table 1). 이 두 자료에서 판단해 본다면 부존규모가 큰 광물종은 마그네사이트, 석회석, 석탄(무연탄), 인상흑연, 철, 금, 은, 연, 아연 등으로 판단된다.
  • 최근까지 북한광물자원과 관련된 많은 자료들이 보고되고 있지만 자료마다 다소 차이가 있어 정확성은 모호하다. 따라서 최근에 공저자인 에드워드 윤으로부터 입수된 자료와 기발간된 자료를 종합하여 북한 광물자원 부존현황과 개발현황을 정리하였다.
  • 본 보고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매장량(reserve)은 자원량(resource)과 매장량(reserve)을 구분하지 않고 포괄적으로 부존량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이는 대부분 인용 자료가 자원량과 매장량을 구분하지 않고 매장량으로만 표기하고 있기 때문임을 부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한에서 부존규모가 큰 주요 광물종은? 북한의 광물자원 부존량 및 생산 현황을 종합하면, 북한에서 부존규모가 큰 주요 광물종은 마그네사이트, 석회석, 석탄(무연탄), 인상흑연, 철, 금, 은, 연, 아연 등으로 판단된다. 기타 동, 몰리브덴, 중석, 인광석 등이 잠재성이 큰 광물자원으로 평가된다.
북한의 광물자원 수출 대상국은 어디인가? 북한의 광물자원 수출 대상국은 중국으로서 주요 수출 광물로는 무연탄, 철광석이 75%로서 압도적으로 우세하다. 수출국은 중국 외 EU국가이나, 중국 수출이 70%에 달한다. 북한은 금 매장량 약 2,000톤과 연간 생산량은 약 2 톤(금속기준)이며, 대표적 광산은 수안, 홀동, 대유동광산이며, 6개 금 제련소가 운영 중이다.
북한의 광물자원 중 잠재성이 큰 광물자원은 무엇인가? 북한의 광물자원 부존량 및 생산 현황을 종합하면, 북한에서 부존규모가 큰 주요 광물종은 마그네사이트, 석회석, 석탄(무연탄), 인상흑연, 철, 금, 은, 연, 아연 등으로 판단된다. 기타 동, 몰리브덴, 중석, 인광석 등이 잠재성이 큰 광물자원으로 평가된다. 북한의 광물자원 수출 대상국은 중국으로서 주요 수출 광물로는 무연탄, 철광석이 75%로서 압도적으로 우세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sia Times Online (2012) Rare earths bankroll North Korea's future: Asia Times Online, August 8. 

  2. Byeon, J.K. (1992) Study on Metallic Minerals Industry in North Korea. KIGAM research report KR-92-B-17- 1992-R, 111p 

  3. Byeon, J.K. (1993) Study on non-ferrous metallic minerals mining industry. KIGAM research report KR- 93-B-24-1993-R, 126p. 

  4. Byeon, J.K. (1994) Study on ferrous metallic minerals industry in North Korea. KIGAM research report KR- 94-B-17-1994-R, 136p. 

  5. Chi et al. (2012) Evaluation of development possibility for the security of industrial mineral resources (Cu, Pb, Zn, Au etc.) on the domestic mines. KIGAM Research Report, GP2010-024-2012(3). 

  6. Hyundai Research Institute(2011) Issue and Task : High potential of mineral resources in North Korea. 11-24, 18p. 

  7. Kim, Y.D., Park, H.S. Kim, S.Y. and Lee, J.H. (2005) A study on the mine development of North Korea and the Inetr-Korean mineral resources cooperation. Econ. Environ. Geol., v.38, p.197-206. 

  8. KITA (2012) Status and development procedure of mineral resources in North Korea. 117p. 

  9. KoFC (2010) Industry of North Korea. 759p. 

  10. KORES (2008) Manual of mineral resources' development of North Korea. 167p. 

  11. KORES (2009) Development status of mineral resources in North Korea.. unpublished. 

  12. KORES (2011) Development status of mineral resources in North Korea.. unpublished. 

  13. Son, H.D. (2011) Resources development lay system of North Korea and inter-Korean cooperation, 2011-12, 297p. 

  14. SONOSA (2011) The North Korea mineral resources. 218p. 

  15. USGS (2013) Mineral commodity summaries. 

  16. USGS (2005-2012) Mineral yearbook. 

  17. Yoon (2012) Status of North Korea minearls sector and seeking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in natural resource development. unpublished. 

  18. Yun, S.K. (1992) The assessment study of non-metallic mineral & coal resources of North Korea. KIGAM research report KR-92-B-18-1992-R, 142p. 

  19. Yun, S.K. (1993) Geology & mineral resources of the north eastern part of North Korea. KIGAM research report KR-93-B-18-1993-R, 198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