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물에 의한 호수생태계 건강성 평가법에 대한 고찰
Review of a Plant-Based Health Assessment Methods for Lake Ecosystems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6 no.2, 2013년, pp.145 - 153  

정연숙 (강원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경은 (강원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물관리 정책이 수질평가 중심에서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로 전환되고 있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이다. 현재까지 수계의 평가기법은 수질이나 하상구조와 같은 물리화학적 요소 및 플랑크톤, 저서동물과 같은 일부 생물의 평가에 국한되어 개발되어 왔다. 식물은 호수의 물리, 화학 및 생물 변화를 민감하게 반영하는 지표인데 개발이 늦었다. 환경부에서는 전국의 호수와 저수지를 생태계로써 평가하고 관리할 목적으로 생태계의 평가 기법을 마련 중에 있다. 이 연구사업의 일환으로 식물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호수생태계에 적합한 건강성 평가기법을 개발하기 위해서 기개발된 국외의 평가기법 중 주로 다변수법을 주로 고찰하였다. 다변수법의 적용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변수 간의 상관성 등의 한계점이 있다. 그러나 현재 단일 변수로 쓸 만한 지표가 개발되어 있지 않으며 다변수법은 다면평가와 데이터 축적의 장점이 크다. 다변수법을 세 단계, 즉 평가지표의 선정, 점수화, 평가지수의 결정과 검증단계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평가지표 선정단계에서 가장 적용가능한 지표는 종조성과 수도 및 종 풍부도와 다양성 관련 지표들이다. 국외에서 대부분 포함하는 지표종은 아직 개발이 불완전해서 우리나라에서 적용하기에 한계가 있다. 다수 조사자가 참여할 경우 식물상에 대한 오동정이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 점의 사전 고려가 필요하다. 지표의 점수화 단계도 한계가 있다. 우리나라에 인위적 교란이 거의 없는 기준 호수가 없기 때문에 대안으로 다수의 호수를 조사하고, 조사된 호수의 지표값을 상대화하여 적용해야 한다. 같은 이유로 지수에 대한 검증과정도 어렵다. 종합할 때, 여러 가지 한계가 있지만 현장에서 조사 가능한 지표를 이용하여 식물을 이용한 호수 건강성의 다변수평가체계를 구축하는 것은 가능하다. 추후, 식물종의 질적 가치에 대한 지표를 추가하고 보다 많은 호수 조사의 결과가 누적되면 수준 높은 평가체계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a global trend that the water management policy is shifting from a water quality-oriented assessment to the aquatic ecosystem-based assessment. The majority of aquatic ecosystem assessment systems were developed solely based on physicochemical factors (e.g., water quality and bed structure)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우리나라 호수생태계에 적합한 평가기법 중 특히 식물을 대상으로 하는 평가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전 단계로서, 기 개발된 국외의 평가기법을 고찰하여 우리나라에 적용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건강성 평가기법의 개발과정은 적합한 평가지표를 발굴해서 선정하고, 선정된 지표를 점수화하며, 이를 종합해서 특정 생태계 또는 군집의 건강성 지수로 결정하는 세 단계를 거치므로, 이 과정을 단계 별로 검토하고 마지막으로 적용가능성을 고찰한다.
  • Karr and Dudley (1981)는 “교란되지 않은 생태계의 생물군집이 고유의 종 구성, 다양성 및 기능을 유지하는 능력”을 생물학적 온전성(biological integrity)으로 정의한 바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 정의를 건강성의 정의로 대치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 , 2005). 이들 네 요소는 연구자에 따라서 다양하게 세분할 수 있는 다수의 지표들을 아우르는 대표 요소이므로 우리나라에서 이들 지표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해 본다. 첫째 항목인 종조성과 수도는 출현하는 식물 종별 피도 등의 양적 척도를 조사해서 사용할 수 있다.

가설 설정

  • , 2008). 생태계의 질 저하 시에 부영양화가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일차생산력은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했다. 그런데 U.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호수생태계는 생물 수용에 왜 좋지 않은가? 우리나라도 수체를 수생태계로 바라 보는 인식으로 바뀌고 있다. 우리나라 호수생태계는 수자원 공급용으로 축조된 저수지가 대부분이어서 생물을 수용할 물리적 입지가 부적절한 곳이 많다. 뿐만 아니라 물리적 훼손 등 인위적 교란이 증가하여 수질이 좋음에도 불구하고 생물상의 건강성은 낮은 곳이 많다.
선진적인 물 관리 정책은 어떻게 바뀌어가는 추세인가? 사람을 위한 물 공급 측면에서 수질이 매우 중요했을 뿐만 아니라 수체를 생태계로 이해하기보다 물공급원으로 인식해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선진적인 물 관리 정책은 수질평가 중심에서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로 전환되는 추세이다.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수질정책의 기본적인 개념으로 수체의 건강성을 제시하며(Davis and Simon, 1995), 수질기준의 정책 목표 내에 생물 요인들과 관련된 기준을 두고 있다(Kim, 2009).
호수 생태계 평가를 위해 다변수법의 적용에 한계점이 있음에도 왜 사용하는가? 다변수법의 적용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변수 간의 상관성 등의 한계점이 있다. 그러나 현재 단일 변수로 쓸 만한 지표가 개발되어 있지 않으며 다변수법은 다면평가와 데이터 축적의 장점이 크다. 다변수법을 세 단계, 즉 평가지표의 선정, 점수화, 평가지수의 결정과 검증단계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Andreas, B.K. and R.W. Lichvar. 1995. Floristic index for establishing assessment standards: a case study for Northern Ohio. Technical Report WRP-DE-8, U.S. Army Engineer Waterways Experiment Station, Vicksburg, MS., USA. 

  2. Andreas, B.K., J.J. Mack and J.S. McCormac. 2004. Floristic Quality Assessment Index (FQAI) for vascular plants and mosses for the State of Ohio. Ohio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Division of Surface Water, Wetland Ecology Group, Columbus, Ohio, USA. 

  3. Barbour, M.T., J. Gerritsen, B.D. Snyder and J.B. Stribling. 199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wadeable rivers: periphyt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 Second Edition. EPA 841-B-99-002.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USA. 

  4. Brooks, R.P., D.H. Wardrop and J.A. Bishop. 2004. Assessing wetland condition on a watershed basis in the Mid-Atlantic region using synoptic land cover map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94: 9-22. 

  5. Calislie, B.K., A.L. Hicks, J.P. Smith, S.R. Garcia and B.G. Largay. 1999. Plants and aquatic invertebrates as indicators of wetland biological integrity in Waquoit Bay watershed, Cape Code. Environmental Cape Code 2: 30-60. 

  6. Cardoso, A.C., A.G. Solimini and G. Premazzi. 2005. Report on harmonisation of freshwater biological methods. European Commission. 

  7. Cho, Y.-H. 1997. A study on evaluation method of stream naturalness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stream corrido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5(2): 73-81. 

  8. Choung, Y., W.T. Lee, K.-H. Cho, K.Y. Joo, B.M. Min, J.-O. Hyun and K.S. Lee. 2012. Categorizing vascular plant species occurring in wetland ecosystems of the Korean Peninsula. Center for Aquatic Ecosystem Restoration, Chuncheon, Korea. 

  9. Elifritz, B.F. and M.S. Fennessy. 2005. A comparison of natural and constructed wetlands using the floristic quality assessment index. Annual report. Olentangy River wetland Research Park. 

  10. Fennessy, M.S., M. Gray, R.D. Lopez and J. Mack. 1998. An ecological assessment of wetlands using reference sites. Final Report to U.S. EPA, State of Ohio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Columbus, Ohio, USA. 

  11. Ferreira, M.T., P.M. Rodriguez-Gonzalez, F.C. Aguiar and A. Albuquerque. 2005. Assessing biotic integrity Iberian rivers: Development of a multimetric plant index. Ecological Indicators 5: 137-149. 

  12. Gernes, M.C. and J.C. Helgen. 1999. Indexes of biotic integrity (IBI) for wetlands: vegetation and invertebrate IMI'. Final Report to U.S. EPA, Assistance number CD995525-01. Minnesota Pollution Control Agency, St. Paul, USA. 

  13. Gernes, M.C. and J.C. Helgen. 2002. Indexes of biological integrity (IBI) for large depressional wetlands in Minnesota. Report to U.S. EPA, Assistance number CD-995525-01. Minnesota Pollution Control Agency. St. Paul, USA. 

  14. Hatzenbeler, G.R., J.M. Kampa, M.J. Jennings and E.E. Emmons. 2004. A comparison of fish and aquatic plant assemblages to assess ecological health of small Wisconsin lakes. Lake and Reservoir Management 20(3): 211-218. 

  15. Herman, K.D., L.A. Masters, M.R. Penskar, A.A. Reznicek, G.S. Wilhelm and W.M. Brodowicz. 1997. Floristic quality assessmen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in the State of Michigan (USA). Natural Areas Journal 17(3): 265-279. 

  16. Herman, K.D., L.A. Masters, M.R. Penskar, A.A. Reznicek, G.S. Wilhelm, W.W. Brodovich and K.P. Gardiner. 2001. Floristic quality assessment with wetland categories and examples of computer applications for the State of Michigan-Revised (2nd). Michigan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Wildlife, Natural Heritage Program. 

  17. Indiana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2007. Tier II Aquatic vegetation survey protocol. 

  18. Karr, J.R. and D.R. Dudley. 1981. Ecological perspectives on water quality goals. Environmental Management 5: 55-68. 

  19. Karr, J.R. and W.E. Chu. 1999. Restoring life in running waters: better biological monitoring. Island Press, Washington, D.C., USA. 

  20. Karr, J.R., K.D. Fausch, P.L. Angermeier, P.R. Yant and I.J. Schlosser. 1986. Assessing biological integrity in running waters: a method and its rationale. Illinois Natural History Survey. Special Publification 5, Urbana, USA. 

  21. Kim, B. 2009. Evaluation of ecological integrity in lake ecosystem (2nd). Center for Aquatic Ecosystem Restoration, Chuncheon, Korea. 

  22. Kim, D.-C. and I.-S. Park. 1999. A study on the evaluation criteria of stream naturalness for ecological environment restoration of stream corrido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7(3): 123-134. 

  23. Ladd, D.M. 1993. Coefficients of conservatism for Missouri vascular flora. The Nature Conservancy. St. Louis, Missouri, USA. 

  24. Lopez, R.D. and M.S. Fennessy. 2002. Testing the floristic quality assessment index as an indicator of wetland condition. Ecological Application 12: 487-497. 

  25. Mack, J.J. 2001a. Vegetation index of biotic integrity (VIBI) for wetlands: ecoregional, hydrogeomorphic, and plant community comparisons with preliminary wetland aquatic life use designations. Final Report to U.S. EPA Grant No. CD985875-01. Vol. 1. 

  26. Mack, J.J. 2001b. Ohio rapid assessment method for wetlands. Manual for using version 5.0. Ohio EPA Technical Wetland/2001-1-1. Ohio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Division of Surface Water, 401 Wetland Ecology Unit. 

  27. Mack, J.J. 2007. Developing a wetland IBI with statewide application after multiple testing iterations. Ecological Indicators 7: 864-881. 

  28. Mack, J.J., M. Micacchion, L.D. Augusta and G.R. Sablak. 2000. Vegetation indices of biotic integrity (VIBI) for wetlands and calibration of the Ohio rapid assessment method for wetlands (ver. 5). Final Report to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hio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etland Ecology Unit. 

  29. Miller, S.J., D.H. Wardrop, W.M. Mahaney and R.P. Brooks. 2006. A plant-based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for headwater wetland in central Pennsylvania. Ecological Indicators 6: 290-312. 

  30.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0. Summary report of the survey and health assessment for the aquatic ecosystem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31. Nichols, S.A. 1998. Floristic quality assessment of Wisconsin lake plant communities with example applications. Journal of Lake and Reservoir Management 15: 133-141. 

  32. Nichols, S., S. Weber and B. Shaw. 2000. A proposed aquatic plant community biotic index for Wisconsin lakes. Environmental Management 26(5): 491-502. 

  33. Northern Great Plains Floristic Quality Assessment Panel. 2001. Floristic quality assessment for plant communities of North Dakota, South Dakota (excluding the B lack Hills), and adjacent grasslands. Northern Prairie Wildlife Research, Jamestown, North Dakota, USA. http://www.npwrc.usgs.gov/resource/2001/fqa/. 

  34. Oldham, M.J., W.D. Bakowsky and D.A. Sutherland. 1995. Floristic quality assessment system for southern Ontario. Natural Heritage Information Centre, Ontario 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Peterborough, Ontario, USA. 

  35. Penning, W.E., M. Mjelde, B. Dudley, S. Hellsten, J. Hanganu, A. Kolada, M. Van den Berg, S. Poikane, G. Phillips, N. Willby and F. Ecke. 2008. Classifying aquatic macrophytes as indicators of eutrophication in European lakes. Aquatic Ecology 42: 237-251. 

  36. Rankin, E.T. 1989. The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 rationale, methods, and application. Ecological Assessment Section, Ohio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A. 

  37. Rothrock, P.E., T.P. Simon and P.M. Stewart. 2008. Development, calibration, and validation of a littoral zone plant index of biotic integrity (PIBI) for lacustrine wetlands. Ecological Indicators 8: 79-88. 

  38. Seo, A. 2012. Classififying wetland plant species as indicators of eutrophication in lakes of Korea. Mater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39. Simon, T.P., P.M. Stewart and P.E. Rothrock. 2001. Development of multimetric indices of biotic integrity for riverine and palustrine wetland plant communities along Southern Lake Michigan. Aquatic Ecosystem Health and Management 4: 293-309. 

  40. Swink, F. and G. Wilhelm. 1979. Plants of the Chicago region. Morton Arboretum, Lisle, Illinois, USA. 

  41. Swink, F. and G. Wilhelm. 1994. Plants of the Chicago region. 4th edition. Indiana Academy of Sciences, Indianapolis, USA. 

  42. Taft, J.B., G.S. Wilhelm, D.M. Ladd and L.A. Masters. 1997. Floristic quality assessment for vegetation in Illinois, a method for assessing vegetation integrity. Erigenia 15: 3-95. 

  43. U.S. EPA. 1998. Lake and reservoir bioassessment and biocriteria. Technical Guidance Document EPA 841-B-98-007. 

  44. U.S. EPA. 2002. Methods for evaluating wetland condition: Developing metrics and indexes of biological integrity. Office of Water,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822-R-02-016. 

  45. Wilcox, D.A., J.E. Meeker, P.L. Hudson, B.J. Armitage, M. Glen Black and D.G. Uzarski. 2002. Hydrologic variability and the application of index of biotic integrity metrics to wetlands: a great lakes evaluation. Wetlands 22(3): 588-615. 

  46. Wilhelm, G. and D. Ladd. 1988. Natural areas assessment in the Chicago region. Transactions of the 53rd North American Wildlife & Natural Resources Conference. p. 361-375. 

  47. Wilhelm, G.S. and L.A. Masters. 1995. Floristic quality assessment in the Chicago region and application computer programs. Morton Arboretum, Lisle, Illinois. 

  48. Wisconsin Floristic Quality Assessment. 2002. http://www.botany.wisc.edu/wisflora/WFQA.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