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구언 담수방류와 영산강 하구 식물플랑크톤 생체량 및 환경인자의 장기변동
Long-term Change of Phytoplankton Biomass (chlorophyll-a), Environmental Factors and Freshwater Discharge in Youngsan Estuary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6 no.2, 2013년, pp.205 - 214  

윤보배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이어진 (목포해양대학교 환경.생명공학과) ,  강태안 (목포해양대학교 환경.생명공학과) ,  신용식 (목포해양대학교 환경.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산강 하구에서 담수 유입이 부유생태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국가해양환경측정망 장기자료(1999~2008년)인 클로로필 a와 수질 항목들에 대한 계절적, 공간적 변화와 장기변동 추세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여름철 (8월) 영산강 방조제 인접정점의 염분은 조사기간 중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고, 영양염류와 클로로필 a는 전반적으로 높은 분포를 나타냈다. 영산강 담수유입의 지시인자인 표-저층의 염분차 (${\Delta}salinity$)와 영양염류, 클로로필 a는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으나, 지난 10년동안 담수 방류량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영양염류, 클로로필 a는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영산강 하구 해역 영양염의 공급원이 담수유입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발달에 따른 점오염원 증가 등의 추가적인 요인이 존재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따라서 영산강 하구 주변 해역의 부영양화 방지를 위해서는 영산강 방조제의 방류와 연관한 수질개선방안 마련과 더불어 인근 지역의 점 오염원 파악 및 관리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Yeongsan River estuary, located in the southern West Coast, a dike was constructed in December 1981. After the construction of a dike, discharge mechanism of fresh water has been changed, the water quality and chlorophyll-a are expected to be influenced by fresh water discharge. We investigate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영산강 방조제에 의한 담수 유입이 영산강 하구 주변 해역의 부유생태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장기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식물 플랑크톤의 생체량 지표인 클로로필 a (chlorophyll-a)와 염분과 수온을 포함한 수질 항목들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한반도 서남해역에 위치하고, 국내 4대강 중 영산강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영산강 하구 해역을 대상으로, 영산강 방조제의 담수 유입이 영산강 하구 주변 해역의 부유생태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영산강 하구 염분의 장기변동 추세를 보면, 표층의 염분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저층의 염분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으로써 염분성층이 강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s.
  •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 하구의 부유생태 및 수질의 장기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가해양환경측정망(국립수산과학원 해양수산연구정보포털 http://portal.nfrdi.re.kr/envirodata)을 통해 1999~2008년(10년간) 조사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영산강 하구인 목포 연안(St.
  • 영산강 담수 유입의 지시인자인 표-저층의 염분차(Δsalinity)와 영양염류, 클로로필 a는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으나, 지난 10년동안 담수 방류량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영양염류, 클로로필 a는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영산강 하구 해역 영양염의 공급 원이 담수유입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발달에 따른 점 오염원 증가 등의 추가적인 요인이 존재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따라서 영산강 하구 주변 해역의 부영양화 방지를 위해서는 영산강 방조제의 방류와 연관한 수질개선 방안 마련과 더불어 인근 지역의 점 오염원 파악 및 관리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구에 서식하는 생물들이 육지에서 유입된 물질에 의해 영향받은 예는? 또한, 육지로부터 유입되는 유기물질 및 부유물질은 하구에 서식하는 생물들의 유ㆍ무기물질의 공급원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Kim and Lee, 2000). 특히, 영양염류의 유입으로 인해 일차생산자인 식물플랑크톤의 대증식이 발생할 경우, 포식되지 않은 식물플랑크톤이 저층으로 침전하여 용존산소의 감소에 기여하는 악영향을 주기도 한다(Sundbaeck et al., 1990).
해양생태계에서 하구의 특징은? 해양생태계에서 하구는 육상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고 있으며, 담수와 해수가 혼합되는 완충지대로 조석, 파랑 및 담수 유입 등에 의한 영향을 받아 물리, 화학, 생물, 지리학적으로 매우 복잡한 환경을 갖고 있다. 또한, 육지로부터 유입되는 유기물질 및 부유물질은 하구에 서식하는 생물들의 유ㆍ무기물질의 공급원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Kim and Lee, 2000).
육지로부터 유입되는 유기물질 및 부유물질은 하구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해양생태계에서 하구는 육상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고 있으며, 담수와 해수가 혼합되는 완충지대로 조석, 파랑 및 담수 유입 등에 의한 영향을 받아 물리, 화학, 생물, 지리학적으로 매우 복잡한 환경을 갖고 있다. 또한, 육지로부터 유입되는 유기물질 및 부유물질은 하구에 서식하는 생물들의 유ㆍ무기물질의 공급원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Kim and Lee, 2000). 특히, 영양염류의 유입으로 인해 일차생산자인 식물플랑크톤의 대증식이 발생할 경우, 포식되지 않은 식물플랑크톤이 저층으로 침전하여 용존산소의 감소에 기여하는 악영향을 주기도 한다(Sundbaec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oyer, J.P., R.R. Christian and D.W. Stanley. 1993. Patterns of phytoplankton primary productivity in the Neuse River estuary, North Carolina, USA.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97: 287-297. 

  2. Cho, E.S. 2010. Variations in marine environments and phytoplankton community around Mokpo harbor. Journal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19(11): 1323-1336. 

  3. Cho, Y.G. and K.Y. Park. 1998. Heavy metals in Surface sediments of the Youngsan estuary west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7(4): 549-557. 

  4. Gallegos, C.L., T.E. Jordan and D.l. Correll. 1992. Event scale response of phytoplankton to watershed inputs in a subestuary: Timing, magnitude, and location of blooms. Limnology and Oceanography 37(4): 813-825. 

  5. Jeong, D.D. and J.S. Keum. 1999. A study on the change of current in the vicinity of Mokpo harbor due to the discharging from YongSan River estuary weir. The Journal of Mokpo Maritime University 7(2): 109-118. 

  6. Kang, J.W. 1996. Tide/Tidal currents changes by construction of seadike/seawalls near the coastal zone of Mokpo.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6(2-6): 611-619. 

  7. Kang, J.W. and B.S. Ihm. 1998. Changes of pollutant dispersion mechanism by constructions of the seawalls near the Mokpo coastal zon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8(2-6): 613-622. 

  8. Kang, J.W., J.J. Song and N.S. Oh. 1998. Analysis of ebbdominant tidal currents characteristics at Mokpo coastal zon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8(2-2): 185-193. 

  9. Kang, J.W., N.S. Oh, S.R. Moon and S.J. Park. 2003. Analysis of tidal current characteristics near Mokpo harbor by observations. Engineering Research & Technology 3: 537-544. 

  10. Kim, C.K. and J.S. Lee. 2000.Three-Dimensional Hydrodynamic and Sediment Transport Modelling in the Nakdong Estuary.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 729-732 

  11. Kim, D.H. and H.H. Ryu. 2003. Water quality in Mokpo coastal area after a strong rainfal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6(2): 28-37. 

  12. Kim, K.S. 2000. The change of pollution Loads flowing into Mokpo harbor Due to the operation of Mokpo municipal sewage treatment pla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189-193. 

  13. Kim, K.S. 2001. Seasonal variations of marine water quality and eutrophication Index in Mokpo harb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4(3): 3-15. 

  14. Madariaga, I., L. Gonzalez-Azpiri, F. Villate and E. Orive. 1992. Plankton responses to hydrological changes induced by freshets in a shallow mesotidal estuary.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35: 425-434. 

  15. Malone, T.C., L.H. Crocker, S.E. Pike and B.W. Wendler. 1988. Influences of river flow on the dynamics of phytoplankton production in a partially stratified estuary.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48: 234-249. 

  16. Park, J.H., S.Y. Park, Y.H. Lee, D.M. Choi and S.Y. Lee. 2005. Seasonal and year-to-year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Mokpo harbor area by the long-term monitoring.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al & Safety 11(2): 97-102. 

  17. Park, S.Y., S.S. Kim, P.J. Kim, E.S. Cho, S.Y. Kim, Y.S. Choi, B.M. Kim and D.U. Kim. 2010. Long-term Variation and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the Mokpo Coastal Areas of Yellow Sea, Ko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al & Safety 16(4): 321-337. 

  18. Sin, Y., B. Hyun, Q.-D. Bach, S. Yang and C. Park. 2012. Phytoplankton Size and Taxonomic Composition in a Temperate Estuary Influenced by Monsoon. Estuaries and Coasts 35: 839-852. 

  19. Sin, Y.S., C.H. Lee, K.A. Cho and E.S. Song. 2005b. Trends of phytoplankton community and water quality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in estuarine river systems. Korean Journal of Limnological Society 38(2): 160-180. 

  20. Sin, Y.S., H.Y. Sho and B.K. Hyun. 2005a. Effect of salinity change on biological structure between primary producers and herbivores in water column.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0(2): 113-123. 

  21. Sundbaeck, K., B. Joensseon, P. Nilsson and I. Lindstroem. 1990. Impact of accumulating drifting macroalgae on a shallow-water sediment system: An experimental study.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58: 261-27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