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염 스트레스가 근대(Beta vulgaris var. cicla L.)의 무기이온 및 glycine betaine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t Stress on Inorganic Ions and Glycine Betaine Contents in Leaves of Beta vulgaris var. cicla L.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6 no.3, 2013년, pp.388 - 394  

최성철 (경북대학교 생물학과) ,  김종국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추연식 (경북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염(NaCl) 스트레스 하에서 근대의 이온축적 및 삼투조절물질로 알려진 Glycine betaine (GB) 함량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0, 100, 200, 300 및 400mM의 염(NaCl)을 처리하여 생장, 이온양상 및 GB 함량을 조사하였다. 염(NaCl) 농도와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근대 잎의 건중량은 염(NaCl) 0, 100 그리고 200 mM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300 mM 이상의 염(NaCl) 농도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내었다. 양이온 함량은 염(NaCl) 농도 및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주로 $Na^+$ 이온을 축적하며 $K^+$, $Mg^{2+}$, $Na^+$, $Ca^{2+}$ 그리고 $Fe^{2+}$ 순으로 식물체 내에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이온함량과 삼투몰 농도는 염(NaCl)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Na^+$와 같은 무기이온을 직접적인 삼투 조절자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lycine betaine은 10일째까지는 함량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염 처리 후 20일째 200 mM 염(NaCl) 농도까지 현저하게 Glycine betaine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300mM 염(NaCl) 농도에서는 다소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다. 근대는 염(NaCl)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질성 삼투 조절물질로 Glycine betaine을 축적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근대는 식물체 내로의 염(NaCl)의 유입을 배제하는 기작보다는 효율적인 염(NaCl)의 재분배 및 구획화와 무기이온을 삼투조절에 이용하며, Glycine betaine과 같은 세포질성 삼투조절물질을 축적하는 생리적 특성으로 염(NaCl) 환경을 극복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owth, inorganic solutes and glycine betaine accumulation in spinach beet (Beta vulgaris var. cicla L.) were studied under different salt conditions. Plants of fortythree days old were assessed by growing for a further 10 and 20 days at four NaCl concentrations (0, 100, 200, 300 & 400 mM). The dr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염(NaCl) 환경하에서 명아주과 속하는 대표적인 작물인 근대(Beta vulgaris var. cicla L.)를 대상으로 체내 무기이온, 유기용질, glycine betaine 축적 등 어떠한 생리적 특성을 통해 염분 환경을 어떻게 극복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작물 생산을 제한하는 주요한 환경요인은? 자연 상태에서 식물은 다양한 형태의 환경 스트레스에 노출되며, 염과 건조는 전 세계에 걸쳐 식물의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있으며, 특히 염(NaCl) 스트레스는 농작물 생산을 제한하는 주요한 환경요인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Lopez and Satti, 1996; Larcher, 2003; Wang et al., 2003).
식물의 성장을 제한하는 염(NaCl)에 대항하여 식물이 살아남는 방법은? 염(NaCl)은 크게 세 가지 형태로 식물의 성장을 제한하는데, 첫째는 뿌리 주변 토양의 수분 퍼텐셜 감소로 인해 발생되는 수분결핍, 둘째는 과도한 Na+와 Cl의 흡수로 인한 이온의 독성효과, 마지막으로 이온 흡수와 수송 의 제한으로 인한 이온의 불균형을 들 수 있다(Marschner, 1995). 그러나 대부분의 식물은 거친 환경에서 살아 남아 생육하기 위한 다양한 방어기작을 발달시켜 왔으며, 복합적인 생리적 기작을 통해 염(NaCl)과 건조 스트레스에 극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radley and Morris, 1991; Volkmar et al., 1998; Flowers and Colmer, 2008; Li et al.
염(NaCl)은 어떤 방식으로 식물의 성장을 제한하는가? 염(NaCl)은 크게 세 가지 형태로 식물의 성장을 제한하는데, 첫째는 뿌리 주변 토양의 수분 퍼텐셜 감소로 인해 발생되는 수분결핍, 둘째는 과도한 Na+와 Cl의 흡수로 인한 이온의 독성효과, 마지막으로 이온 흡수와 수송 의 제한으로 인한 이온의 불균형을 들 수 있다(Marschner, 1995). 그러나 대부분의 식물은 거친 환경에서 살아 남아 생육하기 위한 다양한 방어기작을 발달시켜 왔으며, 복합적인 생리적 기작을 통해 염(NaCl)과 건조 스트레스에 극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radley and Morris, 1991; Volkmar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khani, H., P. Trimborn and H. Ziegler. 1997. Photosynthetic pathways in Chenopodiaceae from Africa, Asia and Europe with their ecological, phytogeographical and taxonomical importance. Plant Systematics and Evolution 206: 187-221. 

  2. Ashraf, M.R., Z.U. Noor Zafar and M. Muhahid. 1994. Growth and in distribution in salt stressed Melilotus indica (L.) ALL. And Medicago sativa L. Flora 189: 207-213. 

  3. Bradley, P.H. and J.T. Morris. 1991. Relative importance of ion exclusion, secretion and accumulation in Spartina alterniflora Loisel.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42: 1525-1532. 

  4. Chaplin, M.F. and J.F, Kennedy. 1994. Carbohydrate Analysis: A Practical Approach, p. 2-3. In: Monosaccharide (Chaplin, M.F. eds.).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5. Choi, S.C., J.J. Bae and Y.S. Choo. 2004. Inorganic and organic solute pattern of costal plant, Korea. Korea Journal of Ecology 27: 355-361. 

  6. Choi, S.C., S.H. Lim, S.H. Kim, D.G. Choi, J.G. Kim and Y.S. Choo. 2012. Growth and solute pattern of Suaeda maritima and Suaeda asparagoides in an abandoned salt field.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35: 1-8. 

  7. Choo, Y.S. and R. Albert. 1997. The physiotype concept: an approach integrating plant ecophysiology and systematics. Phyton 37: 93-106. 

  8. Choo, Y.S. and R. Albert. 1999. Mineral ion, nitrogen and organic solute pattern in sedges (Carex spp.) - a contribution to the physiotype concept, I. Field samples. Flora 194: 59-74. 

  9. Choo, Y.S. and S.D. Song. 1998. Ecophysiological characeristics of plant taxon-specific calcium metabolism. Korean Journal of Ecology 21: 47-74. 

  10. Di Martino, C.S. Delfine, R. Pizzuto, F. Loreto and A. Fuggi. 2003. Free amino acids and glycine betaine in leaf osmoregulation of spinach responding to increasing salt stress. New Phytologist 158: 455-463. 

  11. Flowers, T.J. and T.D. Colmer. 2008. Salinity tolerance in halophytes. New Phytologist 179: 945-963 

  12. Ghoulam, C. and K. Fares. 2001. Effect of salinity on seed germination and early seedling growth of sugar beet (Beta vulgaris L.) Seed Science and Technology 29: 357- 364. 

  13. Gzik, A. 1996. Accumulation of proline and pattern of alphaamino acids in sugar beet plants in response to osmotic, water and salt stress. Environmental and Experimental Botany 36: 29-38. 

  14. Harinasut P., K. Tsutsui, T. Takabe, M. Nomura, T. Takabe and S. Kishitani. 1996. Exogenous glycinebetaine accumulation and increased salt-tolerance in rice seedings.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Bionchemistry 60: 366- 368. 

  15. Heywood, V.H. 1993. Flowering Plants of the World, p. 72- 73. B.T. Batsford, London.. 

  16. Kenter C. and C.M. Hoffmann. 2005. Seasonal patterns of sucrose concentration in relation to other quality parameters of sugar beet (Beta vulgaris L.). Journal of the Science of Food and Agriculture 86: 62-70. 

  17. Kim, J.A., Y.S. Choo, I.J. Lee, J.J. Bae, I.S. Kim, B.Y. Choo and S.D. Song. 2002. Adaptations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ree Chenopodiaceae Species under Saline Environments. Korean Journal of Ecology 25: 171-177. 

  18. Larcher, W. 2003. Physiological Plant Ecology, p. 345-450, Springer. 

  19. Lee, J.S. 198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egetation in the salt marsh of the Mankyung River estuary.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6: 1-10. 

  20. Li, R., F. Shi and K. Fukuda. 2010. Interactive effects of various salt and alkali stresses on growth, organic solutes and cation accumulation in halophyte Spartina alterniflora (Poaceae). Environmental and Experimental Botany 68: 66-74. 

  21. Lopez, M.V. and S.M. E Satti. 1996. Calcium and potassiumenhanced growth and yield of tomato under sodium chloride stress. Plant Science 114: 19-27. 

  22. Marschner, H. 1995. Minernal nutirition of higher plant, p. 662-663. Academic press, London. 

  23. McCue, K.F. and A.D. Hanson. 1990. Drought and salt tolerance: towards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Trends Biotechnol 8: 358-362. 

  24. Moghaieb, R.E.A., H. Saneoka and K. Fujita. 2004. Effect of salinity on osmoticadjustment, glycinebetaine accumulation and the betaine aldehyde dehydrogenase gene expression in two halophytic plants, Salicornia europaea and Suaeda maritima. Plant Science 166: 1345-1349. 

  25. Popp, M. and N. Smirnoff. 1995. Polyol accumulation and metabolism during water deficit, p. 199-215. In: Environment and Plant Metabolism : Flexibility and Acclimation (Smironoff, N. ed.). Bios Scientific oxford. 

  26. Rhodes, D. and A.D. Hanson. 1993. Quaternary ammonium and tertiary sulfonium compounds in higher plants. Annual Review of Plant Physiology and Plant Molecular Biology 44: 357-384. 

  27. Sakamoto, A. and N. Murata. 2002. The role of glycine betaine in the protection of plant from stress: clues from transgenic plants. Plant, Cell and Environment 25: 163- 171. 

  28. Shabala, S. and A. Mackay. 2011. Ion transport in halophytes. Advances in Botany 57: 151-199. 

  29. Volkmar, K.M., Y. Hu and H. Steppuhn. 1998. Physiological responses of plants to salinity: a review. Canadian Journal of Plant Science 78: 19-27. 

  30. Wang, L.W. and A.M. Showalter. 2004. Cloning and saltinduced, ABA-independent expression of choline monooxygenase in Atriplex prostrata. Physiologia Plantarum 120: 405-412. 

  31. Wang, W., B. Vinocur and A. Altman. 2003. Plant responses to drought, salinity and extreme temperatures: towards genetic engineering for stress tolerance. Planta 218: 1- 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