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2006년~2009년 새만금호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과 환경요인의 변화
Changes in Phytoplankton Communitie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Saemangeum Artificial Lake, South Korea between 2006 and 2009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1 no.3, 2013년, pp.213 - 224  

최충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시료도서관) ,  정승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시료도서관) ,  윤석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시료도서관) ,  김성현 (군산대학교 해양학과) ,  박종규 (군산대학교 해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새만금호는 만경강과 동진강에서 유입되는 담수를 통해 영양염을 지속적으로 공급받아 부영양이 가속화되고 있었다. 또한 담수 유입에 따라 구역별로 환경요인들이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환경의 차이는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출현양상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었다. 새만금호의 부영양화된 수계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개체수가 증가하고 종 다양성이 감소하고 있었으며, 와편모조류 등의 일부 종이 대발생을 일으키고 있었다. 특히 2009년에는 기존에 크게 출현하지 않았던 Heterocapsa triquetra, Karlodinium veneficum, Heterocapsa rotundata가 우점하여 새만금호 내부의 부영양화에 따른 수환경변화로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변화가 나타났다. 이와 같이, 새만금호의 서식환경의 변화는 와편모조류의 적조발생 등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환경 적응력과 연관하여 파악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tween May 2006 and November 2009,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luctuations in environmental factors and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Saemangeum Artificial Lake, South Korea. Nutrient concentrations in the lake increased because of the inflow of water from Mankyung and Dongjin Rivers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담수 유입이 새만금호 내에서 식물플랑크톤에 미치는 영향 및 대발생 원인 종의 변화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비하다. 본 연구는 2006년에서 2009년까지 4년에 걸쳐 새만금호에서 담수 유입에 따른 환경요인의 변화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 거동의 변화와 대발생 원인 종의 계절별 발생 변화를 보고하고자 한다.
  • 1). 조사 기간은 2006년 5월부터 2009년 11월까지로 총 34회 조사를 수행하여 2006년 4월 새만금 방조제 완공 후 새만금호의 식물플랑크톤 및 환경요인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시료 채집은 식물플랑크톤의 광주기와 암주기 사이에서 세포분열 및 chlorophyll a 함량의 차이를 고려하여 08:00~12:00시에 동일하게 수심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천 및 강이 잘 발달된 기수역에서 나타는 식물플랑크톤의 특징은? 식물플랑크톤은 해양의 중요 기초생산자로써 각 구역에 따라 특이적인 분포를 하고 있다. 특히, 하천 및 강이 잘 발달된 기수역에서는 담수, 해수 및 기수 종 등 다양한 생태적 특징을 가지는 식물플랑크톤이 출현하며, 종에 따른 천이양상이 뚜렷하다(Lee 1989). 그러나 새만금호와 같은 인간의 인위적인 개발에 의해 형성된 호수에서는 자연생태계와 다른 식물플랑크톤 생태계가 나타나고(Shin et al.
새만금호에서 계절별 강수량은 평균 얼마인가? 새만금호에서 계절별 강수량은 여름철 풍수기(6월~9월)에 평균 218 mm로 가장 높았으며, 갈수기(11월~5월)에는 50 mm 이하의 값을 기록하였다. 특히, 2007년 9월 태풍 나리가 한반도로 북상했을 때 새만금호 유역에서는 575.
방조제 건설 후 새만금호는 어떻게 될 것이라고 예상되는가? 2000a). 새만금호도 시화호와 같이 인근에 공단이 발달해 있고, 만경강 및 동진강으로부터 부영양화된 담수가 유입되고 있어 수질 악화가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n S and CH Koh. 1992. Environments and distribution of benthic animals on the Mangyung-Donjin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J. Kor. Soc. Oceanogr. 27:78-90. 

  2. Baek SH, JS Ki, T Katano, K You, BS Park, HH Shin, K Shin, YO Kim and MS Han. 2011. Dense winter bloom of the dinoflagellate Heterocapsa triquetra below the thick surface ice of brackish lake Shihwa, Korea. Phycol. Res. 59:273-285. 

  3. Brzezinski MA, DR Phillips, FP Chavez, GE Friederich and RC Dugdale. 1997. Silica production in the Monterey, California, upwelling system. Limnol. Oceanogr. 42:1694-1705. 

  4. Choi JK, EH Lee, JH Noh and SH Huh. 1997. The study on the phytoplankton bloom and primary productivity in lake Shihwa and adjacent coastal areas. J. Korean Soc. Oceanogr. (The Sea) 2:78-86. 

  5. Gomez F and H Claustre. 2000. Spreading of Gymnodinium catenatum Graham in the western Mediterranean Sea. Harmful Algae News 22:1-3. 

  6. Grzebyk D and B Berland. 1996. Influences of temperature, salinity and irradiance on growth of Prorocentrum minimum from the Mediterranean Sea. J. Plankton Res. 18:1837-1849. 

  7. Hajdu S, L Elder, I Olenina and B Witek. 2000. Spreading and establishment of the potentially toxic dinoflagellate Prorocentrum minimum in Baltic Sea. Int. Rev. Hydrobiol. 85: 561-575. 

  8. Jang KG, JW Park, JH Park, N Ha and W Yih. 2009. Drastic change of phytoplankton community at the station 'ankyeong Bridge'of the new Saemankeum lake during 2006- 2007. Ocean Polar Res. 31:71-76. 

  9. Jung SW, D Lim, HH Shin, DH Jeong and YH Roh. 2011. Relationship between physico-chemical factors and chlorophyll-a concentration in surface water of Masan bay: Didaily monitoring data. Korean J. Environ. Biol. 29:98-106. 

  10. Kim YG, JW Park, KG Jang and W Yih. 2009. Cyclic change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Mankyeong River Estuary prior to the completion of the Saemankeum seawall. Ocean Polar Res. 31:63-70. 

  11. Kondo K, Y Seike and Y Date. 1990. Red tides in the brackish Lake Nakanoumi (II), Relationships between the occurrence of Prorocentrum minimum red tide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Bull. Plankton Soc. Jap. 37:19-34. 

  12. Koo BJ, SH Shin, HJ Woo, ES Kim and JG Je. 2008. Changes in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on Gunsan tidal flat after the closing of the Saemangeum 4th Dyke. Ocean Polar Res. 30:497-507. 

  13. Lee RD. 1989. Phycology. 2n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ublishing. NY. USA, 645pp. 

  14. Lee SH, HY Choi, YT Son, HK Kwon, YK Kim, JS Yang, HJ Jeong and JG Kim. 2003. Low-salinity water and circulation in summer around Saemangeum area in the west coast of Korea. J. Korean Soc. Oceanogr. (The Sea) 8:138-150. 

  15. Litaker RW, PA Tester, CS Duke, BE Kenney, JL Pinckney and J Ramus. 2002. Seasonal niche strategy of the bloomforming dinoflagellate Heterocapsa triquetra. Mar. Ecol. Prog. Ser. 232:45-62. 

  16.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0. Standard methods for marine environments. 495 pp. 

  17. Nybakken JW and MD Bertness. 2005. Marine Biology: An Ecological Approach. Benjamin Cummings, San Francisco. 

  18. Oostdam BL and RR Jordan. 1972.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in Delaware Bay. Geol. Soc. Amer. Memoir. 133:143-149. 

  19. Park JK, ES Kim, SR Cho, KT Kim and YC Park. 2003. Annual variation of water qualities in the Shihwa lake. Ocean Polar Res. 25:459-468. 

  20. Park JK, ES Kim, KT Kim, SR Cho, TY Song, JK Yoo, SS Kim and YC Park. 2009. Characteristics in organic carbon distribution in the Saemangeum area during the construction of artificial sea dike, Korea. J. Korean Soc. Mar. Environ. Engineer. 12:75-83. 

  21. Shim JH, YK Shin and W Yih. 1991. Environmental properties and phytoplankton community of the lower Mankeong River. Kor. J. Limnol. 24:45-54. 

  22. Shin JK, DS Kim and KJ Cho. 2000a. Dynamics of inorganic nutrients and phytoplankton in Shihwa Reservoir. Kor. J. Limnol. 33:109-118. 

  23. Shin JK, DS Kim and KJ Cho. 2000b. Dynamics of water environmental factors and phytoplankton before and after inflow of seawater in Shihwa Reservoir. JESI. 9:115-123. 

  24. Sohn JH, TY Ahn and SJ Kim. 2000.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distribution of heterotrophic bacteria and chlorophyll a content in the water column of Masan and Haengam Bays. Korea. Korea. J. Korean Soc. Mar. Environ. Engineer. 3:65-75. 

  25. Suh SW and HY Lee. 2008. Water Quality Simulations after Completion of Saemangeum Reservoir Construction. KSCE J. Civ. Eng. 28:79-93. 

  26. Yeo HG. 2012. Annual Variations (2001-2010) of Phytoplankton Standing Stocks in Saemangeum Water Region. J. Korea Acad. Indust. Cooper. Soc. 13:4326-4333. 

  27. Yoo YD, HJ Jeong, JH Shim, JY Park, KJ Lee, W Yih, HK Kweon, SJ Pae and JK Park. 2002. Outbreak of red tides in the coastal waters off the southern Saemankeum areas, Jeonbuk, Korea. 1.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in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summer-fall of 1999. J. Korean Soc. Oceanogr. (The Sea) 7:129-1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