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오대산 일대에 서식하는 열목어와 산천어의 식성
Stomach Contents of the Manchurian Trout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and River Salmon (Oncorhynchus masou masou) in the Odae Mountain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25 no.2, 2013년, pp.90 - 105  

윤희남 (국립환경과학원 자연자원연구과) ,  김기동 (국립환경과학원 자연자원연구과) ,  전용락 (국립환경과학원 자연자원연구과) ,  이중효 (국립환경과학원 자연자원연구과) ,  박영준 (국립환경과학원 자연자원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강원도 오대산 일대에 서식하는 열목어와 산천어의 식성을 분석하기 위해 계방천과 양양남대천에서 2012년 5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봄, 여름, 가을로 나누어 채집조사를 수행하였다. 열목어와 산천어의 소화관 내용물을 실내에서 분석한 결과, 열목어의 먹이생물 수는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5목 23과 39종과 육상곤충류 11분류군을 포함하여 총 645개체(열목어 1개체 당 먹이생물 평균 36개체)로 나타났고, 먹이생물의 IRI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는 육 상곤충류 37.0%,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인 날도래목(Trichoptera) 36.4%,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20.0%, 파리목(Diptera) 3.9%, 강도래목(Plecoptera) 2.7%, 연가시목(Gordea) 0.1% 이하 순으로 나타났다. 산천어의 먹이생물수는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4목 20과 33종과 거미류를 포함한 육상곤충류 6분류군으로 총 1,186개체(산천어 1개체당 먹이생물 평균 66개체)였으며, 먹이생물의 IRI (%)는 거미류를 포함한 육상곤충류 2.7%, 하루살이목 52.9%, 날도래목 27.9%, 파리목 9.4%, 강도래목 7.0%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열목어와 산천어 모두 육상곤충류와 저서성대형 무척추동물을 두루 섭식하는 강한 육식성어류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유사한 서식환경을 선호하는 열목어와 산천어는 같은 시기에 같은 목의 먹이를 중요먹이로 섭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먹이원 구성 종에 있어서는 서로 많은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stomach contents of cold water fish such as Manchurian trout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and River salmon (Oncorhynchus masou masou) in the Odae mountain area. Field survey was carried out 3 times by each season from May to October 2012 along the Gyebang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lenok tsinlingensis의 먹이선택습성에 대해 일부 밝혀진 사례가 있으나, 이들에 대한 개체군의 특징 및 동태 등에 대한 생태 전반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백두대간보호지역 중 강원도 중부지역에 해당되는 오대산을 중심으로 기온 변화가 비슷한 동일 위도에 자연 분포하는 냉수성어류인 B. lenok tsinlingensis와 O. masou masou의 서식환경과 먹이 생물을 밝힘으로써, 기후변화에 따른 냉수성 어류의 보존과 증식방안 등에 활용될 기초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반도에 서식하는 연어과 어류는? 전 세계적으로 연어과 어류는 11속 66종이 분포하며, 한반도에 서식하는 연어과 어류는 Thymallus arcticus jaluensis,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Oncorhynchus keta, O. gorbuscha, O. masou masou, Hucho ishikawai 등 총 5속 9종으로 알려져 있다(김, 1997). 그러나 연어과 어류 중 우리나라에 분포하며 일생을 담수에서만 서식하는 종은 B.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연어과 어류 중 담수에서만 서식하는 종은? masou masou, Hucho ishikawai 등 총 5속 9종으로 알려져 있다(김, 1997). 그러나 연어과 어류 중 우리나라에 분포하며 일생을 담수에서만 서식하는 종은 B. lenok tsinlingensis와 O. masou masou뿐이다. 한국산 열목어는 Li(1984)와 전(1987)에 의하여 유문수, 측선 비늘수, 새파수, 체측반문 및 성숙도 등의 차이에 의하여 B.
열목어가 섭식한 먹이생물의 출현빈도, 개체수비, 습중량비, 상대중요성지수비는? 열목어가 섭식한 먹이생물중 주요한 먹이생물의 종 구성은 육상곤충인 메뚜기류, 날도래목의 띠무늬우묵날도래(Hydatophylax nigrovittatus), 하루살이목의 두점하루살이(Ecdyonurus kibunensis) 순으로 나타났다. 메뚜기류는 출현빈도 44.4%, 개체수비 2.2%, 습중량비 36.5%, 상대중요성지수비 32.6%로 분석되었으며, 띠무늬우묵날도래는 출현빈도 33.3%, 개체수비 24.2%, 습중량비 6.9%, 상대중요성지수비 19.7%로 나타났고, 두점하루살이는 출현빈도 44.4%, 개체 수비 10.4%, 습중량비 2.1% 상대중요성지수비 10.5%를 보였다. 그 외에 거미류 0.2%, 연가시(Gordius aquaticus), 알락하루살이(Ephemerella dentata), 몽땅하루살이(Ecdyonurus bajkovae), 줄날도래(Hydropsyche kozhantschikovi), 클레멘스물날도래(Rhyacophila clemens), 네모집날도래 KUb (Goerodes KUb), 수염치레날도래(Psilotreta locumtenens)는 0.1%미만의 매우 적은 양으로 나타났다(Appendix 1). 산천어가 섭식한 먹이생물 중 주요한 먹이생물의 종 구성은 하루살이목의 애호랑하루살이(Baetiella tuberculata), 날도래목의 가시우묵날도래(Neophylax ussuriensis)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국립생물자원관. 2011. 한국의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적색자료집(어류). 국립생물자원관, pp. 74-159. 

  2. 권오길.박갑만.이준상. 1993. 원색한국패류도감. 아카데미서적, 401pp. 

  3.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담수어류). 교육부, 37: 354-370. 

  4. 김익수.강언종. 1993. 원색 한국어류도감. 아카데미서적, 477 pp. 

  5. 김익수.박종영. 2007.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pp. 274-290. 

  6. 김익수.이금영.양서영. 1985. 한국산 황어 아과 어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한국수산과학회지, 18: 381-400 

  7. 변화근.조규송.최재석.박정호.최준길.손영목.전상린. 1995. 열목어(Brachymstax lenok tsinlingensis)의 먹이선택 습성. 한국육수학회지, 28: 279-287. 

  8. 원두희.권순직.전영철. 2005. 한국의 수서곤충. 생태계조사단, 415pp. 

  9. 윤일병. 1988. 한국동식물도감 제30편 동물편(수서곤충류). 문교 , 840pp. 

  10. 윤일병. 1995. 수서곤충 검색도설. 정행사, 262pp. 

  11. 윤희남.김종명.배양섭.채병수. 2007. 남한강 지류에 서식하는 퉁가리(Liobagrus andersoni)의 식성. 한국어류학회, 19: 236-245. 

  12. 전상린. 1980. 한국산 담수어의 분포에 관하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91pp. 

  13. 전상린. 1983. 한국산 미꾸리과 어류의 분포와 검색에 관하여. 상명여자대학교논문집, 11: 289-321. 

  14. 전상린. 1987. 한강 Brachymystax lenok (연어과)의 학명의 재검토. 한국육수학회지, 20: 113-116. 

  15. 전상린. 1989. 한국산 황어속, 연준모치속 및 버들치속(황어아과) 어류의 검색과 분포. 상명여자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논문집, 3: 17-36. 

  16. 최기철.전상린.김익수.손영목. 1990. 원색 한국담수어도감. 향문사, pp. 154-160. 

  17. 허성회.남기문.박수면.정재묵.백근욱. 2012. 통영주변해역에 서식하는 문치가자미(Pleuronectes yokohamae)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24: 77-83. 

  18. Biron, D.G., L. Marche, F. Ponton, H.D. Loxdale, N. Galeotti, L. Renault, C. Jolt and F. Thomas. 2005. Behavioral manipulation in a grasshopper harboring hairworm; a proteomics approach. Proceedings. Biological sciences. The Royal Society, 272: 2117-2126. 

  19. Cummins, K.W. 1962. An evolution of some techniques for collection and analysis of benthic samples with special emphasis on lotic waters. Am. Midl. Nat., 67: 477-504. 

  20. Hardin, G. 1960. The competitive exclusion principle. Science, 131: 1292-1297. 

  21. Ivlev, V.W. 1961. Experimental Ecology of the Feeding of Fishs. Yale Univ. Michigan Press 1, pp. 19-26. 

  22. Li, S. 1984. Discussion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salmonid fishes in China. Chinese J. Zool., 1: 34-37. 

  23. Merritt, R.W. and K.W. Cummins. 1996. An Introduction to the Aquatic Insects of North America. 3th ed. Kendall/Hunt Publishing Company Dubuque, Iowa, 862pp. 

  24. Nelson, J.S. 2006. Fishes of the world (Fourth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601pp. 

  25. Nilsson, N.A. 1967. Interactive segregation between fish species. In: Gerking, S.D. (ed.), The Biological Basis of Freshwater Fish Production, Blackwell Sci. Publ., Oxford, 259-313pp. 

  26. Pinkas, L., M.S. Oilphant and I.K.K. Iverson. 1971. Food habits of albacore, bluefin tuna, and bonito in California water. Calif. Dep. Fish Game Fish/Bull., 152: 1-105. 

  27. Sale, P.F. 1969. A suggested mechanism for habitat selection by juvenile manini Acanthurus triostegus sandvicensis Streets. Behaviour, 35: 27-44. 

  28. Uchida, K. 1939. The Fishes of Tyosen. Part 1. Nematognathi, Eventognathi. Bull. Fish. Exp. Sta. Gov. Gener. Tyosen, 6. 458pp. (In Japanes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