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서울에 사는 길 고양이와 집 고양이에서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의 유병률
Prevalence of Feline Panleukopenia Virus in Stray and Household Cats in Seoul,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30 no.5, 2013년, pp.333 - 338  

김승곤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이교임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김하정 (플로리다 주립대학교 수의과대학 소동물 임상연구) ,  박희명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는 한국의 서울에 있는 다른 지역에 사는 길 고양이와 집 고양이의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의 유병률을 조사하였다. 혈액 샘플은 200마리 고양이 (길 고양이 100마리와 집 고양이)에서 수집하였으며 모든 샘플은 중합효소 반응검사를 실시하였다. 전체적인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의 유병률은 2%이다. 검사를 통해 양성 고양이 중 3% (100 분의 3)은 길 고양이이며 1% (100분의 1)은 집 고양이였다. 고양이 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의 발생은 성묘 (1살이상, 0.5%) 보다 자묘 (1살이내, 1.5%)에서 더 높았다. 건강한 고양이의 양성률은 1.8% (3/166)이며 아픈 고양이의 양성률은 2.2% (1/44)이다. 예방 접종한 고양이의 양성률은 1.3% (1/77)이었고 예방 접종하지 않은 고양이의 양성률은 2.3% (3/133)이다. 항체검사와 비교시 고양이 범백혈구 바이러스 항원의 검출은 길 고양이와 집 고양이의 현재 질병 감염 상태를 암시할 수 있다. 따라서 항원검사는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결론적으로 우리의 연구는 현재까지 서울에서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의 유병률을 평가한 적이 없었기 때문에 비교적 중요하다.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의 유병률은 길 고양이와 어린 고양이에서 높았다. 따라서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예방접종과 감시가 중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feline panleukopenia virus (FPV) in stray and household cats in different regions of Seoul, Republic of Korea.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200 cats (100 stray cats and 100 household cats) and examin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he overal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revalence data are necessary to define prophylactic, management, and therapeutic measures for stray and household cat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FPV infection among stray and household cats in Seoul via PCR analysis and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positivit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ddie DD, Toth S, Thompson H, Greenwood N, Jarrett JO. Detection of feline parvovirus in dying pedigree kitten. Vet Rec 1998; 142: 353-356. 

  2. An DJ, Jeong W, Jeoung HY, Yoon SH, Kim HJ, Park JY, Park BK. Phylogenetic analysis of feline panleukopenia virus (FPLV) strains in Korean cats. Res Vet Sci 2011; 90: 163-167. 

  3. Barker IK, Povey RC, Voigt DR. Response of mink, skunk, red fox and raccoon to inoculation with mink virus enteritis, feline panleukopenia and canine parvovirus and prevalence of antibody to parvovirus in wild carnivores in Ontario. Can J Comp Med 1983; 47: 188-197. 

  4. Blanco K, Prendas J, Cortes R, Jimenez C, Dolz G. Seroprevalence of viral infections in domestic cats in Costa Rica. J Vet Medi Sci 2009; 71: 661-663. 

  5. Cave TA, Thompson H, Reid SWJ, Hodgson DR, Addie DD. Kitten mortality in the United Kingdom: a retrospective analysis of 274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s (1986 to 2000). Vet Rec 2002; 151: 497-501. 

  6. Greene CE, Scott FW. Feline panleukopenia. In: Infectious Diseases of the Dog and Cat. 2nd ed. Philadelphia: WB Saunders. 1998; 52. 

  7. Hofmann-Lehmann R, Fehr D, Grob M, Elgizoli M, Packer C, Martenson JS, O'Brien SJ, Lutz H. Prevalence of Antibodies to Feline Parvovirus, Calicivirus, Herpesvirus, Coronavirus, and Immunodeficiency Virus and of Feline Leukemia Virus Antigen and the Interrelationship of These Viral Infections in Free-Ranging Lions in East Africa. Clin Vaccine Immunol 1996; 3: 554-562. 

  8. Horiuchi M, Ishiguro N, Sinagawa M, Mochizuki M. Production of monoclonal antibodies specific to both feline panleukopenia virus (FPLV) and mink enteritis virus, and characterization of escape mutants from FPLV strains, abstr. 5067, p. 302. In Program and abstracts of the 43rd Annual Meeting of the Society of Japanese Virologists, 31 October to 2 November, 1995, Okayama, Japan. 

  9. Horzinek MC. Vaccine use and disease prevalence in dogs and cats. Vet Microbiol 2006; 117: 2-8. 

  10. Kariatsumari T, Horiuchi M, Hama E, Yaguchi K, Ishiguro N, Goto H, Shinagawa M. Construction and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of an infectious DNA clone of the autonomous parvovirus, mink enteritis virus. J Gen Virol 1991; 72: 867-875 

  11. Kruse BD, Unterer S, Horlacher K, Sauter-Louis K, and Hartmann K. Prognostic Factors in cats with Feline panleukopenia. J Vet Intern Med 2010; 24: 1271-1276. 

  12. Lee H, Lee M, Lee J, Kim H, Yoon J, Choi J. Ultrasonographic diagnosis of a fibrinonecrotic colonic cast in a kitten with feline panleukopenia virus. J Small Anim Pract 2012; 53: 416-418. 

  13. Lee SM, Yoon IJ, Lee KJ, Lee KY, Kim MK, Choi HW. Effect of a trivalent (FPV, FHV, FCV) inactivated vaccine in kittens. Kor J Vet Res 2005; 45: 311-323. 

  14. Levy JK, Crawford PC, Lappin MR, Dubovi EJ, Levy MG, Alleman R, Tucker SJ, Clifford EL. Infectious Diseases of Dogs and Cats on Isabela Island, Galapagos. J Vet Intern Med 2008; 22: 60-65. 

  15. Macieira DB, Menezes RCA, Damico CB, Almosny NR, McLane HL, Daggy JK, Messick JB.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hemoplasmas in domestic cats naturally infected with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and/or feline leukemia virus in Rio de Janeiro - Brazil. J Feline Med Surg 2008; 10: 120-129. 

  16. Millan J, Rodriguez A. A serological survey of common feline pathogens in free-living European wildcats (Felis silvestris) in central Spain. Eur J Wildl Res 2009; 55: 285-291. 

  17. Mochizuki M, Horiuchi M, Hiragi H, San Gabiel MC, Yasuda N, Uno T. Isolation of Canine Parvovirus from a Cat Manifesting Clinical Signs of Feline Panleukopenia. J Clin Microbiol 1996; 34: 2101-2105. 

  18. Mosallanejad B, Avizeh R, Ghorbanpoor NM. Antigenic detection of Feline Panleukopenia virus (FPV) in diarrhoeic companion cats in Ahvaz area. Iranian J Vet Res 2009; 10: 289-293. 

  19. Nakamura K, Ikeda Y, Miyazawa T, Nguyen NT, Duong DD, Le KH, Vo SD, Phan LV, Mikami T, Takahashi E. Comparison of prevalence of feline herpesvirus type 1, calicivirus and parvovirus infections in domestic and leopard cats in Vietnam. J Vet Med Sci 1999; 61: 1313-1315. 

  20. Ohtaishi N, Hachiya N. Aging Techniques from Annual Layers in Teeth and Bone. Contemporary Mammalogy in China and Japan. Mammalogical Society of Japan 1985; 180-190. 

  21. Ostrowski S, Van Vuuren M, Lenain DM, Durand A. A serologic survey of wild felids from central west Saudi Arabia. J Wildlife Dis 2003; 39: 696-701. 

  22. Sykes J. Vaccination regimes for dogs and cats. Vet Focus 2012; 22: 29-35. 

  23. Truyen U, Addie D, Belak S, Boucraut-Baralon C, Egberink H, Frymus T, Gruffydd-Jones T, Hartmann K, Hosie MJ, Lloret A, Lutz H, Marsilio F, Pennisi MG, Radford AD, Thiry E, Horzinek MC. Feline panleukopenia. ABCD guidelines on prevention and management. J Feline Med Surg 2009; 11: 538-54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