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증기추출법과 결합된 공기주입법을 이용한 비수용성액체 해양퇴적물의 TPHs, TCE, PCE 및 BTEX 정화
Degradation of TPHs, TCE, PCE, and BTEX Compounds for NAPLs Contaminated Marine Sediments Using In-Situ Air Sparging Combined with Vapor Extraction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6 no.5, 2013년, pp.425 - 444  

이준호 (한국외국어대학교 환경학과) ,  한선향 (한국외국어대학교 환경학과) ,  박갑성 (한국외국어대학교 환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공기주입법(in-situ air sparging; IAS)이 결합된 증기추출법(vapor extraction; VE)을 이용한 실내 실험 연구로 비수용성액체 유기물(non-aqueous phase liquids; NAPLs)의 총유류계탄화수소(total petroleum hydrocarbons; TPHs), 트리클로에틸렌(trichloroethylene; TCE), 퍼클로로에틸렌(perchloroethylene; PCE), 벤젠(benzene), 톨루엔(toluene), 에틸벤젠(ethylbenzene) 및 크실렌(xylenes)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국내 만돌, 하전, 상암, 부산만내 해양 퇴적물들을 대상으로 실험 하였다. 만돌 퇴적물은 사질(sand; S) 특성(평균입도 1.789 ${\Phi}$), 하전은 모래실트(sandy Silt; sZ) 특성(평균입도 5.503 ${\Phi}$) 및 상암은 실트(Silt; Z) 특성(평균입도 5.835 ${\Phi}$)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부산지역 퇴적물은 점토(Clay; C) 특성(평균입도 8.528 ${\Phi}$)을 나타내었다. 48시간 동안 공기를 주입하지 않은 B1 (0 L/min) 컬럼에서 남아있는 TPHs는 만돌, 하전, 상암지역 및 부산지역 샘플퇴적물에서 각각 약 2,459, 6,712, 4,348, 14,279 ppm으로 분석 되었다. 그리고 만돌, 하전, 상암지역 및 부산지역 샘플퇴적물의 B2 (3 L/min)-B5 (5 L/min) 컬럼에서 TCE는 99.5-100.0% 제거되었으며, PCE는 93.2-100.0%까지 제거된 결과를 보였다. 입자크기에 따른 각 성분의 제거량과의 상관관계는 TCE, PCE, toluene, etylbenzene, xylene, BTEX에서 모두 0.90-0.99의 밀접한 상관계수를 보였다. 그러나 TPHs에서는 0.76, Benzene에서는 0.71의 낮은 상관계수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determine the remediation of total petroleum hydrocarbons (TPHs), trichloroethylene (TCE), perchloroethylene (PCE),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and xylenes (BTEX) compounds for non-aqueous phase liquids (NAPLs) using in-situ air sparging (IAS) / vapor extra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7년에 일어난 해양오염사고는? 2007년 12월 7일 오전 7시 15분 경 태안 만리포 북서방 10 km 해상에서 (주)삼성 중공업 소속 크레인 부선을 예인 중 기상악화로 표류하다 정박 중인 유조선 허베이스피리트호(R/V Hebei Spirit)와 충돌하여, 적재되어 있던 중 원유(Kuwait crude, iranian heavy crude, upper zakum crude)가 해상으로 유출된 사상 최악의 해양오염사고가 발생했다(Kim, 2008; Jeong, 2008). 이 사고로 적재된 총 263,000 kL의 원유 중 12,547 kL(10,900 ton)가 유출되었고, 많은 양의 기름이 주변 해역은 물론이고 제주도까지 확산되어 해양생태계에 영향을 끼쳤다.
연안지역에서의 유출된 기름에 의한 풍화과정은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연안지역에서의 유출된 기름에 의한 풍화과정은 머드지반(mud), 모래지반(sand), 자갈(gravel) 및 암반지반(rock)으로 나눌 수 있다. 머드지반에서는 유출된 기름이 유입되었을 경우 펄은 점토질토양이 가지고 있는 특성상 토양의 수분함량이 포화상태의 조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출된 기름과 비중차로 인해 표착된 기름자체 만으로 바로 토양 중으로 침투되지는 않는다.
태안에서 발생한 해양오염사고에서 유출된 기름의 양은? 2007년 12월 7일 오전 7시 15분 경 태안 만리포 북서방 10 km 해상에서 (주)삼성 중공업 소속 크레인 부선을 예인 중 기상악화로 표류하다 정박 중인 유조선 허베이스피리트호(R/V Hebei Spirit)와 충돌하여, 적재되어 있던 중 원유(Kuwait crude, iranian heavy crude, upper zakum crude)가 해상으로 유출된 사상 최악의 해양오염사고가 발생했다(Kim, 2008; Jeong, 2008). 이 사고로 적재된 총 263,000 kL의 원유 중 12,547 kL(10,900 ton)가 유출되었고, 많은 양의 기름이 주변 해역은 물론이고 제주도까지 확산되어 해양생태계에 영향을 끼쳤다. 한편 해안가에도 다량의 유류가 표착되어 향후 방제의 어려움과 아울러 상당기간 동안 생태계 회복이 용이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었다(Kim,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dams, J.A., Reddy K.R. and Tekola. L. (2011) Remediation of chlorinated solvent plumes using in-situ air sparging: A 2-D laboratory study.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v.8, p.2226-2239. 

  2. Albergaria, J.T., Alvim-Ferraz M.D.C.M. and Delerue- Matos. C. (2012) Remediation of sandy soils contaminated with hydrocarbons and halogenated hydrocarbons by soil vapour extrac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v.104, p.195-201. 

  3. Al-maamari, R.S., Hirayama A.T., Shiga M., Sueyoshi M. and Al-Shuely O.A.E. (2011) Fluids' dynamics in transient air sparging of a heterogeneous unconfined aquifer. Environmental Earth Sci., v.63, p.1189-1198. 

  4. Carter, M.R and Gregorich E.G. (2006) Soil Sampling and Methods of Analysis. 2nd (ed.), CRC Press, Canadian Society of Soil Science, p.101-130. 

  5. Folk, R.L. (1968)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s. The university of Texas Hemphill's draver M, university station Austin, Texas, 170p. 

  6. Google map. (2013) http://maps.google.co.kr. 

  7. Han, J.S. (2000) Underground Water Environment and Pollution. 2nd (ed.), Bakyeongsa, Seoul, 2p. (in Korea). 

  8. Herbes, S.E., Southworth G.R. and Ghers C.W. (1976) Organic Contamination in Aqueous Coal Conversion Effluents: Environmental Consequences and Research Priorities (Technical report). University of Missouri, Columbia, p.20-24. 

  9. Japan Society on Water Envionment. (2011) Administration of Water Environment in Japan, Academy Press, 184p. (in Korea). 

  10. Jeong, C.J. (2008) Behavior and clean-up technique of spilled oil at sea and shoreline. J. Kor. Soc. Environ. Eng., v.30, p.136-145. (in Korea). 

  11. Johnston, C.D., Rayne J.L. and Briegel D. (2002) Effectiveness of in-situ air sparging for removing NAPL gasoline from a sandy aquifer near Perth, Western Australia. Journal of Contaminant Hydrology, v.59, p.87-111. 

  12. Jonn, W. (2003) How to clean a beach. Nature, v.422, p.464-466. 

  13. Kim, H.M. and Lee K.G. (2003) Numerical simulation and laboratory test analysis of air sparging for TCE remediation, The general meeting and the spring seminar. J. Soil & Groundwater Env., p.348-351. (in Korea). 

  14. Kim, J.D., Kim Y.R., Hwang K.Y. and Lee. S.C. (2000) A study on recovery of gasoline-polluted soil site by the soil vapor extraction method. J. Soil & Groundwater Env., v.5, p.13-23. (in Korea). 

  15. Kim, S.J. (2008) Herbei sprit oil spill accident. J. Kor. Soc. Environ. Eng., v.30, p.146-152. (in Korea). 

  16. Krumbein, W.C. (1934) Size frequency distributions of sediments.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v.4, p.65-77. 

  17. KS M ISO 16703. (2005) Content Measurement of Hydrocarbons in the Range of C10-C40 using Soil Quality-gas Chromatograph. (in Korea). 

  18. Lee, J.H. and Park. K.S. (2007) Oil pollution degree on the Gurumpo beach, Taean, using SCAT evaluation technique. J. Environ. Sci. Eng., v.9, p.19-25. (in Korea). 

  19. Lee, J.H., Cho B.C. and Park K.S. (2008) The recovery method of Uheundol north area, Taean, using the coastal pollution evaluation technology of Canada. J. Environ. Sci. Eng, v.10, p.24-32. (in Korea). 

  20. Lundegard, P.D. and Labrecque D.J. (1995) Air spaging in a sandy aquifer (Florence, Oregon, U.S.A.): Actual and apparent radius of influence. Journal of Contaminant Hydrology, v.19, p.1-27. 

  21. Mcmanus, J. (1988) Grain Size Determination and Interpretation. M. Tucker (Ed.), Techniques in Sedimentology, Blackwell, Oxford, p.63-85. 

  22. Meegoda. J.N. and Hu. L. (2011) A review of centrifugal testing of gasoline contamination and remediation. Int. J. Environ.l Res. Public Health, v.8, p.3496-3513. 

  23. NOAA. (2002) Ocean Service Office of Response and Restoration. Shoreline assessment job aid, U.S. Departmnt of commerce, p.20-44. 

  24. Oh, I.S., Jang S.W. and Lee S.J. (2002) Natural purification technology of BTEX-polluted soil and underground water, Collection of Essays. Industrial Technology Comprehensive Institute, v.24, p.135-154. (in Korea). 

  25. Park, J.S., Nam G.W. and Hwang E.Y. (2000) The effect of air supply on removal of phenol compounds. J. Soil & Groundwater Env., v.5, p.3-12. (in Korea). 

  26. Percy, R.J. (2008) Shoreline Clean-up Assessment Technology (SCAT). Polaris applied sciences, Inc., Environment Canada, p.5-20. 

  27. Peterson, J.W., Murray K.S., Tulu Y.I. and Peuler B.D. (2001) Air-flow geometry in air sparging of finegrained sands. Hydrogeology Journal, v.9, p.168-176. 

  28. Peterson, J.W., DeBoer M.J. and Lake. K.L. (2000) A laboratory simulation of toluene cleanup by air sparging of water-saturated sand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v.72, p.167-178. 

  29. Peterson, J.W., Lepczyk P.A. and Lake. K.L. (1999) Effect of sediment size on area of influence during groundwater remediation by air sparging: A laboratory approach. Environmental Geol., v.38, p.1-6. 

  30. Reddy, K.R. and Adams J.A. (1996) In-situ Air Sparging: A new approach for groundwater remediation. Geotech. News, v.14, p.27-32. 

  31. Rivett, M.O., Wealthall G.P., Dearden R.A. and Mcalary T.A. (2011) Review of unsaturated-zone transport and attenu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 (VOC) plumes leached from shallow source zones. Journal of Contaminant Hydrology, v.132, p.130-156. 

  32. Rockne, K.J. and Stuart E.S. (1998) Biodegradation of bicyclic an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anaerobic enrichments. Environ. Sci. Technol., v.32, p.3962-3967. 

  33. Umfleet, D.A., Sims R.C. and Pano A. (1984) Reclamation of PAH Contaminated Soils. ASCE Envir. Engrg, Specialty Conf., Los Angeles, Calif. 

  34. US EPA. (1992) A Technology Assessment of Soil Vapor Extraction and Air Sparging. EPA/600/R-92/173, p.214-215. 

  35. US EPA. (1996) Assessing UST Corrective Action Technologies: Diagnostic Evaluation of In-situ SVE-based System Performance. EPA/600/R-96/041, p.250-251. 

  36. US EPA Method 8021B. (1996) Aromatic and Halogenated Volatiles by Gas Chromatography using Photoionization and/or Electrolytic Conductivity Detectors. 

  37. US EPA Method 8260B. (1996) Volatile Organic Compounds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38. Wentworth, C.K. (1922) A scale of grade and class terms for clastic sediments. Journal of Geology, v.30, p.377-3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