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도 용인시 지역주민의 수불사업에 관한 의식
Awareness towards water fluoridation program in Yongin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3 no.5, 2013년, pp.807 - 817  

이선미 (동남보건대학교 치위생과) ,  조은별 (한국건강증진재단) ,  강부월 (동남보건대학교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aim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towards water fluoridation program in the residents of Yongin. Methods : Subjects were 1,016 adults over 19 years old living in Yongin for more than one year.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done by structured questionnaires. Some of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건복지부가 2005년도에 제시한 ‘수불사업 여론조사 표준안 개발에 관한 연구’에 수록된 설문조사 표준안 중 1안22)을 활용하여 용인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수불사업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용인시 수불사업 시행여부 결정에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용인시에 1년 이상 거주하는 19세 이상의 성인 1,016명을 대상으로 수돗물 음용실태, 수불사업에 대한 인지 및 찬반여부, 사업결정방법을 조사 분석하여, 용인시 수불사업 시행여부 결정과 사업계획 수립 및 성공적 시행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용인시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수불사업에 대한 의견을 조사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용인시 수불사업 시행여부 결정에 근거자료를 마련하고, 수불사업의 계획 수립 및 성공적 시행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아우식증이 중요한 관리대상 질병으로 지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치아우식증은 2011년 건강보험 급여 다빈도 상병으로 전체 10위 중 7위를 차지하고 있고3), 건강보험 요양급여 비용에 있어서도 치아우식증과 치아우식을 방치하여 발생되는 치수 및 치근단 주위조직질환의 진료에 투입되는 급여비용도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중요한 관리대상 질병으로 지목되고 있다.
수불사업이 해결할 수 있는 노인들의 문제는 무엇인가? 수불사업은 모든 계층이 혜택 받는 선진국형 복지 정책으로서 경제사정으로 진료받기 힘든 저소득층이나 몸이 불편한 장애인, 맞벌이 부부의 자녀들이 상대적으로 더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노인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우식증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데, 노인우식증은 다발성으로 다수 치아에 이환되며 치수 침범이 쉽고 특히 사회경제적인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많이 발생된다는 특성이 있다5).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수불사업은 더욱 필요한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치아우식증을 예방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치아우식증을 예방하는 방법에는 치아홈메우기, 불소배합치약을 사용한 칫솔질, 단 음식 덜먹기, 불소용액으로 입가심, 불소도포, 불소보강 소금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는데, 이러한 예방사업은 지역주민 모두가 균등한 혜택을 볼 수도 없으며 방법에 따라서는 개인이 상당액의 비용을 투자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이 따르기도 한다. 반면에 수돗물불소농도조정 사업(이하 수불사업)은 정수장에서 수돗물에 직접 불소를 첨가하는 방법으로서, 비용이 적게 들어 경제적이고, 수혜자들의 특별한 관심 없이도 시행할 수 있는 실용성이 높으며, 연령과 사회경제수준에 관계없이 주민 모두가 기회를 갖게 되는 공평성이 있고, 저농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인체에 하등의 위해작용이 없어 안전성이 보장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타 예방법에 비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점에서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공중구강보건사업으로 손꼽이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2 Korean national oral health survey:III.Summary.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2: 165. 

  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n health promotion foundation. Water fluoridation 30th international symposium.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n Health Promotion Foundation; 2011: 110-2. 

  3.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Information, disease information, high frequency of disease[Internet]. [cited 2012 Mar 02]. Available from:http://www.hira.or.kr /search/search, jsp. 

  4. Kang BW, Kang JO, Kwag JS, Kwon SJ, Kwon HS, Kwon HM, et al. Public oral health. 3rd ed. Seoul: Komoonsa; 2013: 217. 

  5. Kang BW, Kang HK, Ku IY, Kwon HM, Kim KS, Kin SS, et al. Preventive dentistry. 4th ed. Seoul: Koonja; 2012: 28. 

  6. World health organization, expert committee on water fluoridation. World health organization technical report series, First repor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1958: 146. 

  7. Kang BW, Kang HK, Ku IY, Kwon HM, Kim KS, Kin SS, et al. Preventive dentistry. 4th ed. Seoul: Koonja; 2012: 117. 

  8. Kang BW, Ko MH, Kim YK, Kim EH, Kim JA, Kim HD, et al. Medical legislation. 9th ed. Seoul: Komoonsa; 2012: 451. 

  9. Kang BW, Ko MH, Kim YK, Kim EH, Kim JA, Kim HD, et al. Medical legislation. 9th ed, Seoul: Komoonsa; 2012: 405. 

  10. Kim JB, Bae KH, Park JH, Kang SM. The report public opinion survey on water fluoridation. Incheon Metropolitan C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1; 10: 1-19. 

  11. Lee HS, Kang KW, Kim JB, Kim DK, Kim KS, Park DY et al. The effectiveness of community water fluoridation in Korea.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2011; 11: 125-35. 

  12. Kwag JS, Moon SE, Choi HH. A survey on the awareness of water fluoridation in Mokpo city. J Korean Soc Dent Hyg 2013; 13(1): 158-65. 

  13. Research & Research. The report public opinion survey on water fluoridation- Gyeonggi-do Yangpyung. Research & Research 2012: 11-9. 

  14. Kim TY, Ryu ES, Ang JS. The public opinion survey on water fluoridation. Chungbuk Provincial College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2010: 27-8. 

  15. Kim JB, Bae KH, Kim DY, Yang DK, Lee SM. 2005 Jinju city water fluoridation evaluation. Jinju: Jinju Public Healthcare Center, Pusan National University Engineering institute of oral biology; 2005: 18. 

  16. Kim JB, Han DH, Kim BJ, Kim DH, Cho HJ, Kang SH. et al. Ulsan metropolitan city Nam-gu oral health survey. Ulsan: Ulsan metropolitan city Nam-gu public healthcare Center, Pusan National University; 2009: 52. 

  17. Kim JB, Han DH, You HY, Kim JE, Jeong JI, Kim MJ. et al. The basic research for performance evaluation on water fluoridation. Changwon: Pusan National University; 2008: 29. 

  18. Kim JB, Bae KH, Kim DY, Yang DK, Kim Ms, Baek SJ. et al. Bukjeju water fluoridation evaluation. Bukjeju: Bukjeju Public Healthcare Center Pusan National University; 2006: 51-2. 

  19. Kim JY, Choi JS. Related factors of the approval for the community water fluoridation program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2; 36: 38-45. 

  20. Lee JH, Kim MK, Kim HJ, Kim JS, Kim JB. Perception and associated factors of primary schoolchildren's parents concerning approval on the expansion implementation of community water fluoridation program in Gimhae, Korea. J Korean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0; 27: 113-21. 

  21. Lee SM, Kang SH, Lee EK, Park SH, Bae KH, Kim JB. Knowledge, attitude and variables related to an approval of adjusted water fluoridation Program in the western area of Jeju, korea.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0; 34: 378-86. 

  22. Kang MA, Shin YJ, Choi YJ, Kim DS, Kim HJ, Son JY. et al. Development of a standard tool for the public opinion survey on water fluoridation. Ewha Womans University, Management Center for Health Promotion 2005: 18-9. 

  2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3 Integrated community health promotion information-Oral health sector.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3: 78. 

  24. Kang BW, Kang HK, Ku IY, Kwon HM, Kim KS, Kin SS, et al. Preventive dentistry. 4th ed. Seoul: Koonja; 2012: 198-202. 

  25. Kim YI, Oh HW.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dentists in Jeollabuk-do Province towards the water fluoridation program.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1; 35: 457-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