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25개 양돈장의 살모넬라 유병율 및 감염유형
Prevalence and Infection Status of Salmonella in 25 Conventional Swine Farms in Korea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3 no.10 = no.162, 2013년, pp.1267 - 1272  

박최규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  김희정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  김진현 (경상북도가축위생연구소) ,  조재근 (대구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  김영화 (국립축산과학원) ,  정윤수 (부경양돈농협) ,  배채운 (부경양돈농협) ,  박준철 (국립축산과학원) ,  (국립축산과학원) ,  김기석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25개 양돈장의 사육돼지를 대상으로 혈청학적 및 미생물학적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살모넬라의 유병율과 감염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한국 양돈장의 살모넬라 제어 프로그램 구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25개 양돈장의 모돈과 사육단계별 돼지 혈청 총 848두에 대한 항체검사 결과, 전체 항체 보유율은 28.4%로 나타났으며, 사육단계별로는 모돈의 항체양성율이 83.1%로 가장 높았고, 20일령 이후 모체이행항체가 소실되고, 농장에서의 사육기간이 길어질수록 살모넬라에 노출되는 빈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25개 양돈장의 모돈군은 최소한 1두 이상의 항체 양성모돈을 보유하고 있어 향후 우리나라 살모넬라 방역에 있어 종돈장의 살모넬라 감염 통제 및 음성 후보돈 공급체계 확립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25개 양돈장에서 채취한 사육단계별 돼지 분변에 대한 세균 분리 동정 결과, 혈청학적으로 감염유형인 16개 양돈장 중 3개 양돈장(12.0%)에서 살모넬라 균이 분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양돈장 사육 돼지집단에 대한 살모넬라 감염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세균검사법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돈군 내의 준임상감염축 또는 잠복감염축을 진단할 수 있는 혈청검사를 병행해야 함을 시사해준다. 또한 향후 우리나라의 양돈장 살모넬라 통제 프로그램을 구축하기 위하여 다양한 양돈장 모니터링 기법을 개발하고, 현장 효용성을 확인하기 위한 확대 시험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and infection status of Salmonella species (spp.) in 25 conventional pig farms by traditional fecal culture and serological methods to develop a Salmonella control program for Korean pig farms. The individual seroprevalence of Salmonella spp.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국가 차원의 살모넬라 제어를 위한 농장 차원의 실질적인 살모넬라 감염양상 분석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살모넬라 감염 여부를 사전에 알지 못하는 25개 일반 양돈장을 대상으로 혈청학적 및 세균학적 조사를 통하여 우리나라 양돈장의 실질적인 농장단위 살모넬라 유병율과 감염양상을 조사하여 향후 국가 살모넬라 제어 프로그램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돼지의 살모넬라 감염증이 공중보건학적으로 중요한 까닭은 무엇인가? 돼지의 살모넬라 감염증은 돼지에 대한 직접적인 질병 피해는 물론 돼지에 감염되는 다양한 혈청형의 살모넬라균이 돈육가공품을 오염시켜 사람의 식중독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공중보건학적으로도 매우 중요하다[21]. 따라서 여러 국가에서는 국가 차원의 살모넬라 통제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으며, 양돈장에 대한 사전검사를 통하여 양돈장의 살모넬라 오염도에 따라 도축 및 가공과정을 달리하는 정책을 도입하여
우리나라에서 연구된 돼지의 살모넬라감염증에 관한 연구는 무엇이 있었는가? 우리나라에서도 돼지의 살모넬라감염증 진단에 관한 많은 연구가 있어 왔으며, 도축장이나 양돈장에서 채취한 시료를 대상으로 한 살모넬라균 분리 동정[22, 23], 분리균의 특성 및 항생제 내성 분석 조사[12, 14, 16], 예방약 개발[13] 등에 대한 보고는 많이 있어 왔다. 그러나 국가 차원의 살모넬라 제어를 위한 농장 차원의 실질적인 살모넬라 감염양상 분석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진 바가 없다.
돼지의 살모넬라 감염증의 전파경로는 무엇인가? 돼지는 주로 분변-경구경로를 통하여 살모넬라균에 감염되며, 감염된 돼지는 편도, 장관 및 장관의 림프조직에 균을 잠복되며, 평상시에는 균이 배설되지 않으나 스트레스가 가해질 경우 균을 재배설하기 때문에 보균돈은 다른 동물이나 사람에게 영구적인 감염원으로 작용하게 된다[21]. 특히 도축을 위하여 도축장으로 수송하는 과정이나 계류장에 계류하는 동안의 스트레스에 의해 잠복감염되어 있던 돼지가 균을 분변으로 재배설하게 되고, 이러한 분변에 오염된 도체가 도축과정 중에 포함될 경우 해당 도체는 물론 이후의 모든 도체에 살모넬라균을 오염시킬 수 있다[3, 21, 25]. 살모넬라균 잠복감염 돼지로 인한 도축장 및 도체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축전 양돈장에서의 살모넬라 통제가 우선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농장 차원에서 살아있는 동물집단에서 살모넬라 감염상태를 정확하게 평가하는 진단법의 적용이 필수적이다[1, 2,3, 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lban, L., Stege, H. and Dahl, J. 2002. The new classification system for slaughter-pig herds in the Danish Salmonella surveillance and-control program. Prev Vet Med 53, 133-146. 

  2. Bager, F. and Petersen, J. 1991.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different methods for the isolation of Salmonella from pigs. Acta Vet Scand 32, 473-481. 

  3. Berends, B., Van Knapen, F., Snijders, J. and Mossel, D. 1997.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risk factors regarding Salmonella spp. on pork carcassess. Int J Food Microbiol 36, 199-206. 

  4. Davies, P. R., Turkson, P. K., Funk, J. A., Nichols, M. A., Ladely, S. R. and Fedorka-Cray, P. J. 2000. Comparison of methods for isolating Salmonella bacteria from faeces of naturally infected pigs. J Appl Microbiol 89, 169-177. 

  5. Difco Laboratories. 1977. Serological Identification of Salmonella. Difco Laboratories, Detroit, MI. 

  6. Funk, J. A., Davies, P. R. and Nichols, M. A. 2000. The effect of fecal sample weight on detection of Salmonella enterica in swine feces. J Vet Diagn Invest 12, 412-418. 

  7. Gardner, I. A. 2004. An epidemiologic critique of current microbial risk assessment practices: the importance of prevalence and test accuracy data. J Food Prot 67, 2000-2007. 

  8. Henrik, C. W., Tine, H., Lo, F. W., Mogens, M., Helle, K., Flemming, B., Peter, G-S. and Kare, M. 2003. Salmonella control programs in Denmark. Emerg Infect Dis 9, 774-780. 

  9. Hopp, P., Wahlstrom, H. and Hirn, J. 1999. A common Salmonella control programme in Finland, Norway and Sweden. Acta Vet Scand Suppl 91, 45-49. 

  10. Hurd, H. S., McKean, J. D., Griffith, R. D. and Rostagno, M. H. 2004. Estimation of the Salmonella enterica prevalence in finishing swine. Epidemiol Infect 132, 127-135. 

  11. Isabel, T. H. 2003. Serological basis for assessment of subclinical Salmonella infection in swine. J Swine Health Prod 11, 247-302. 

  12. Jung, H. K., Lee, S. S., Kim, C. Y., Sunwoo, S. Y. and Lyoo, Y. S. 2011. Serovars distribution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s of Salmonella spp. isolated from the swine farms and slaughter houses. Korean J Vet Res 51, 123-128. 

  13. Kang, Z. W., Won, H. K., Kim, E. H., Noh, Y. H., Choi, H. W. and Hahn, T. W. 2011. Protective effects and immunogenicity of Salmonella Enteritidis killed vaccine strains selected from virulent Salmonella Enteritidis isolates. Korean J Vet Res 51, 21-28. 

  14. Kim, E. M., Kim, H. K., Park, S. J., Lee, C. S., Luo, Y., Moon, H. J., Yang, J. S. and Park, B. K. 2005. Prevalence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s of Salmonella spp. isolated from different aged pigs in Korea. Korean J Vet Res 47, 395-398. 

  15. Kim, Y. H., Kwon, I. K. and Han, J. H. 2010. Seroprevalence of swine salmonellosis in Korean swine herd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0, 62-65. 

  16. Lim, S. K., Lee, H. S., Nam, H. M., Jung, S. C., Koh, H. B. and Roh, I. S. 2009.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Phage Types of Salmonella Isolates from Healthy and Diarrheic Pigs in Korea. Foodborne Pathogens Disease 6, 981-987. 

  17. Lo Fo Wong, D. M. A., Dahl, J., van der Wolf, P. J., Wingstrand, A., Leontides, L. and von Altrock, A. 2003. Recovery of Salmonella enterica from seropositive finishing pig herds. Vet Microbiol 97, 201-214. 

  18. Nielsen, B., Baggesen, D., Bager, F., Haugegaard, J. and Lind, P. 1995. The serological response to Salmonella serovars typhimurium and infantis in experimentally infected pigs. The time course followed with an indirect anti-LPS ELISA and bacteriological examinations. Vet Microbiol 47, 205-218. 

  19. Sorensen, L. L., Alban, L., Nielsen, B. and Dahl, J. 2004. The correlation between Salmonella serology and isolation of Salmonella in Danish pigs at slaughter. Vet Microbiol 101, 131-141. 

  20. Stege, H., Christensen, J., Nielsen, J. P., Baggesen, D. L., Enoe, C. and Willeberg, P. 2000. Prevalence of subclinical Salmonella enterica infection in Danish finishing pig herds. Prev Vet Med 44, 175-188. 

  21. Steven, A. C., Alison, E. B. and Ronald, W. G. 2012. Salmonellosis, pp 821-833. In: Jeffrey, J. Z., Locke, A. K., Alejandro, R., Kent, J. S. and Gregory, W. S. (eds.), Disease of Swine. John Wiley & Sons, Inc., Publication. 

  22. Suh, D. K. and Jung, S. C. 2005.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almonella spp. isolated from different stages of commercial swine farms. Korean J Vet Res 45, 179-183. 

  23. Suh, D. K. and Song, J. C. 2005. Prevalence of Lawsonia intracellularis, Brachyspira hyodysenteriae and Salmonella in swine herds. J Vet Sci 6, 289-293. 

  24. van Winsen, R. L., van Nes, A., Keuzenkamp, D., Urlings, H. A., Lipman, L. J., Biesterveld, S., Snijders, J. M., Verheijden, J. H. and van Knapen, F. 2001. Monitoring of transmission of Salmonella enterica serovars in pigs using bacteriological and serological detection methods. Vet Microbiol 80, 267-274. 

  25. Wegener, H. C., Hald, T., Lo Fo Wong, D., Madsen, M., Korsgaard, H., Bager, F., Gerner-Smidt, P. and Molbak, K. 2003. Salmonella control programs in Denmark. Emerg Infect Dis 9, 774-78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