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상전단유동의 급개시에 따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수용액의 응력성장거동
Stress Growth Behavior of Aqueous Poly(ethylene oxide) Solutions at Start-up of Steady Shear Flow

한국섬유공학회지 = Textile science and engineering, v.50 no.5, 2013년, pp.292 - 307  

배준웅 ((주)효성 나이론폴리에스터원사 퍼포먼스유니트 기술팀) ,  이지석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유기소재시스템공학과) ,  송기원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유기소재시스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elucidate the transient rheological behavior of viscoelastic polymer solutions at start-up of steady shear flow. Using a strain-controlled rheometer [Advanced Rheometric Expansion System (ARES)], the stress overshoot behavior of concentrated aqueous p...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선형 거동은 무엇으로 대별할 수 있는가? 이러한 과도적 상태에서의 비선형 거동은 물질에 주어진 자극의 양식에 따라 단계적 변형(step strain) 및 단계적 속도(step rate)로 대별할 수 있다[4,5]. 단계적 변형이란 정지 상태의 시료에 갑자기 일정한 크기의 변형을 발생시켜서 시간경과에 따른 응력의 완화거동(relaxation behavior)을 관찰하는 방법이다.
실제 공정상 발생하는 급격한 유동특성의 파악을 위해서 비선형 점탄성 거동에 관한 고찰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점탄성 고분자액체의 유변학적 거동(rheological behavior)을 설명함에 있어서 선형 점탄성 이론은 전체 변형의 크기 또는 최대 변형 속도가 작은 경우에만 적용될 수 있다[1,2]. 그러나 실제 공정중에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선형 점탄성 이론만으로는 실제 공정에서 발생하는 고분자 액체의 유변학적 거동을 정확히 기술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실제 공정상에서 발생하는 급격한 유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과도적 상태에서의 비선형 점탄성 거동에 대한 고찰이 반드시 요구된다[3].
폴리에틸렌 옥사이드는 무엇인가?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이하 PEO)는 올리고머(oligomer)에서 분자량이 8×106 정도의 초고중합체에 이르기까지 공업적 제조가 가능한 대표적인 수용성 선형 고분자(water-soluble linear polymer)로서 분자쇄의 높은 유연성(flexibility)에 기인하는 독특한 유변학적 특성을 나타낸다고 보고되고 있다[13,14]. 또한 PEO는 물 이외에도 여러 종류의 유기용매에 용해되며 높은 겔화 능력 및 낮은 독성을 갖고 있고 오랜 기간에 걸쳐 부패하지 않으므로 의약품, 화장품, 식품, 제지, 섬유공업 등에서 기능첨가제의 역할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J. D. Ferry, "Viscoelastic Properties of Polymers", 3rd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1980. 

  2. N. W. Tschoegl, "The Phenomenological Theory of Linear Viscoelastic Behavior", Springer-Verlag, Berlin, 1989. 

  3. R. I. Tanner, "Engineering Rheology", 2nd Ed.,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2000. 

  4. J. M. Dealy and K. F. Wissbrun, "Melt Rheology and Its Role in Plastics Processing : Theory and Applications",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1990. 

  5. P. J. Carreau, D. C. R. De Kee, and R. P. Chhabra, "Rheology of Polymeric Systems : Principles and Applications", Carl Hanser Verlag, Munich, 1997. 

  6. D. S. Soong, “Time Dependent Nonlinear Viscoelastic Behavior of Polymer Fluids: A Review of Current Understanding”, Rubber Chem Technol, 1981, 54, 641-661. 

  7. P. Attane, J. M. Pierrard, and G. Turrel, “Steady and Transient Shear Flows of Polystyrene Solutions I : Concentration and Molecular Weight Dependence of Non-Dimensional Viscometric Functions”, J Non-Newt Fluid Mech, 1985, 18, 295-317. 

  8. F. Beekmans, A. D. Gotsis, and B. Norder, “Influence of the Flow History on Stress Growth and Structure Changes in the 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Polymer Vectra B950”, Rheol Acta, 1997, 36, 82-95. 

  9. M. T. Islam and L. A. Archer, "Nonlinear Rheology of Highly Entangled Polymer Solutions in Start-Up and Steady Shear Flow", J Polym Sci, Part B : Polym Phys, 2001, 39, 2275-2289. 

  10. K. Krishnan, W. R. Burghardt, T. P. Lodge, and F. S. Bates, “Transient Rheology of a Polymeric Bicontinuous Microemulsion”, Langmuir, 2002, 18, 9676-9686. 

  11. W. Letwimolnun, B. Vergnes, G. Ausias, and P. J. Carreau, “Stress Overshoots of Organoclay Nanocomposites in Transient Shear Flow”, J Non-Newt Fluid Mech, 2007, 141, 167-179. 

  12. A. K. Tezel, J. P. Oberhauser, R. S. Graham, K. Jagannathan, T. C. B. McLeish, and L. G. Leal, “The Nonlinear Response of Entangled Star Polymers to Start-Up of Shear Flow”, J Rheol, 2009, 53, 1193-1241. 

  13. M. Ortiz, D. De Kee, and P. J. Carreau, “Rheology of Concentrated Poly(Ethylene Oxide) Solutions”, J Rheol, 1994, 38, 519-539. 

  14. B. Briscoe, P. Luckham, and S. Zhu, “Rheological Study of Poly(Ethylene Oxide) in Aqueous Salt Solutions at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Macromolecules, 1996, 29, 6208-6211. 

  15. W. M. Kulicke, M. Ktter, and H. Grger, “Drag Reduction Phenomenon with Special Emphasis on Homogeneous Polymer Solutions”, Adv Polym Sci, 1989, 89, 1-68. 

  16. K. W. Song, G. S. Chang, C. B. Kim, J. O. Lee, and J. S. Paik, “Rheological Characterization of Aqueous Poly(Ethylene Oxide) Solutions (I) : Limits of Linear Viscoelastic Response and Nonlinear Behavior with Large Amplitude Oscillatory Shear Deformation”, J Korean Fiber Soc, 1996, 33, 1083-1093. 

  17. K. W. Song, G. S. Chang, C. B. Kim, J. O. Lee, and J. S. Paik, “Rheological Characterization of Aqueous Poly(Ethylene Oxide) Solutions (II) : Comparison of Steady Flow Viscosity with Dynamic and Complex Viscosities”, J Korean Fiber Soc, 1998, 35, 480-489. 

  18. K. W. Song, D. H. Noh, and G. S. Chang, “Rheological Characterization of Aqueous Poly(Ethylene Oxide) Solutions (III) : Determination of Discrete Relaxation Spectrum and Relaxation Modulus from Linear Viscoelastic Functions”, J Korean Fiber Soc, 1998, 35, 550-561. 

  19. K. W. Song, S. H. Ye, and G. S. Chang, “Rheological Characterization of Aqueous Poly(Ethylene Oxide) Solutions (IV) : Nonlinear Stress Relaxation in Single-Step Large Shear Deformations”, J Korean Fiber Soc, 1999, 36, 383-395. 

  20. G. S. Chang, T. H. Kim, K. W. Song, and Y. H. Park, "Rheological Characterization of Aqueous Poly(Ethylene Oxide) Solutions (V) : Creep and Creep Recovery Behavior", J Korean Fiber Soc, 2002, 39, 660-670. 

  21. A. S. Lodge, “A Network Theory of Flow Birefringence and Stress in Concentrated Polymer Solutions”, Trans Faraday Soc, 1956, 52, 120-130. 

  22. A. S. Lodge, "Elastic Liquids", Academic Press, New York, 1964. 

  23. M. S. Green and A. V. Tobolsky, “A New Approach to the Theory of Relaxing Polymeric Media”, J Chem Phys, 1945, 14, 80-92. 

  24. M. H. Wagner, “Analysis of Time-Dependent Non-Linear Stress-Growth Data for Shear and Elongational Flow of a Low-Density Branched Polyethylene Melt”, Rheol Acta, 1976, 15, 136-142. 

  25. P. J. Leider and R. B. Bird, “Squeezing Flow between Parallel Disks. I. Theoretical Analysis”, Ind Eng Chem Fundam, 1974, 13, 336-341. 

  26. P. J. Leider, “Squeezing Flow between Parallel Disks. II. Experimental Results”, Ind Eng Chem Fundam, 1974, 13, 342-346. 

  27. H. Fromm and Z. Angew, “Laminare Strmung Newtonscher und Maxwellscher Flssigkeiten”, Math Mech, 1947, 25/27, 146-150. 

  28. H. Fromm and Z. Angew, “Laminare Strmung Newtonscher und Maxwellscher Flssigkeiten”, Math Mech, 1948, 28, 43-54. 

  29. F. E. Bailey, Jr. and J. V. Koleske, "Poly(Ethylene Oxide)", Academic Press, New York, 1976. 

  30. V. Gauri and K. W. Koelling, “Extensional Rheology of Concentrated Poly(Ethylene Oxide) Solutions”, Rheol Acta, 1997, 36, 555-567. 

  31. S. Q. Wang, S. Ravindranath, Y. Wang, and P. Boukany, “New Theoretical Considerations in Polymer Rheology : Elastic Breakdown of Chain Entanglement Network”, J Chem Phys, 2007, 127, 64903-64916. 

  32. R. G. Larson, “Constitutive Relationships for Polymeric Materials with Power-Law Distributions of Relaxation Times”, Rheol Acta, 1985, 24, 327-334. 

  33. P. R. Soskey and H. H. Winter, “Large Step Shear Strain Experiments with Parallel Disk Rotational Rheometers”, J Rheol, 1984, 28, 625-64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